•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and Practice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26초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가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및 학교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 조사: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the Contribution of Public Educational Programs to School Education - A Case Study of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 손정주;김이슬;정종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237-24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만족도와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 밖 교육활동의 장으로서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립 자연사박물관으로서 최근 6년간 3만명 이상의 가장 많은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유치했으며 매년 6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함으로서 안정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소재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대상 박물관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 여름학기 교육프로그램에 참가자 중 988명의 학생과 479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학교 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프로그램 내적으로는 전시물 활용 교육 강화와 실험시간의 확보가 중요하며 프로그램 외적으로는 교통 및 홍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교육과의 연계는 지식적 측면 보다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의 측면에서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 PDF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가시화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Flow Visualization Device with Smoke Generator in Learning Wind Tunnel)

  • 임창수;최준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7-103
    • /
    • 2007
  • 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유동장 주위의 유체의 흐름을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유체의 저항 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용 자료인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 가시화 장치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가시화 장치 개발과 이를 활용한 실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 영역에서 다양한 유체의 흐름 형태와 저항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유동가시화 실험을 통하여 실험 모델에 따른 유체의 흐름은 이론적인 유동 패턴과 전체적으로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공기의 저항을 의미하는 후류 영역은 유선형 모델이 원형이나 사각형 모델에 비해 훨씬 작게 나타났다. 넷째, 유선형 모델의 받음각을 $20^{\circ}$로 하였을 때 앞전(leading edge)에 생기는 박리점과 넓은 영역의 후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골프공과 매끈한 공의 비교실험에서 딤플이 있는 골프공 모델 하류에 형성되는 후류영역의 폭(wake width)은 다소 좁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섯째, 수송 영역에서, 자동차나 항공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험 실습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Style and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MBTI Personality Disposition Types)

  • 강윤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99-3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 성격기질별 특징을 확인하고 각 성격기질별로 수학학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75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 수학학습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고 교과서보다는 참고서를 활용한 수학학습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학습 태도, 학습 습관(개념이해 집중도), 문제해결 전략(문제이해 노력, 다양한 전략 사용), 자기 관리(메타인지) 영역에서 성격기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단기 학습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성찰노트)이나 수학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수학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

해석학과 과학교육 : 개념변화이론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Hermeneutics and Science Education : Focus on I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Theory)

  • 하상우;이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94
    • /
    • 2015
  • 구성주의는 현재의 과학교육 발달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지만, 동시에 교육 현장의 적용에 있어 여러 가지 혼란도 야기했다. 해석학은 이런 혼란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 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철학이다. 해석학과 구성주의는 모두 학생의 선이해를 긍정하고, 지식의 맥락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교수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해석학은 이해란 무엇인가를 다루는 학문으로 지평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이해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며, 이 개념으로부터 과학 교육에서의 학생의 이해에 대해서도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한 수업을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해석학은 이해의 과정이 부분과 전체, 익숙함과 낯섦 사이의 끊임없는 해석학적 순환의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이해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인간의 '이해 과정'에 있어서 간과하기 쉬운 순환성에 주목할 것과, 학생들이 끊임없이 자신들의 선이해를 재해석, 재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제안한다. 또한 수업 하나 하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전체적인 틀 속에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마지막으로 해석학은 지평의 융합의 개념을 통해 인간이 이해에 도달한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학생의 이해의 과정을 '갈등'의 개념 보다는 '융합'의 개념으로 바라볼 것과, 수업의 목표를 학생 개인의 전인적인 변화에 둘 것을 제안한다. 이처럼 과학교육에 많은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해석학이 앞으로 과학교육 분야에 새로운 지평과 담론을 제공하면서, 과학교육 연구와 실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놀이에 관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on Play: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34-46
    • /
    • 2023
  • 본 연구는 초·중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진행된 놀이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국내·외에서 출판된 놀이 관련 과학교육 연구 109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 연구는 2009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놀이의 대상이 중학생인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에 비해 국내 연구는 초등학생을 놀이의 대상으로 설정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 방법이 가장 많았다. 셋째, 놀이에 관한 과학교육 논문들은 설문을 활용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국내 연구의 경우 관찰과 활동 산출물의 비중이 국외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놀이의 내용 영역은 물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대상 연구를 살펴보면 국내 연구들은 과학의 4개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효과변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 과학 분야 정의적 영역, 탐구실행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논문에서 제시된 놀이의 유형은 온라인게임, 비디오게임, 가상놀이, 규칙이 있는 게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연구를 비교한 결과, 국내 연구가 아날로그 놀이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국외 연구는 디지털게임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 일곱째, 교사 지시적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국내 연구에서 두드러졌다.

농촌 일차 보건사업에 있어서 마을건강원 업무량 및 업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Village Health Workers in Rural Primary Health Care Program)

  • 허달영;이명숙;염용태;김순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2권1호
    • /
    • pp.36-53
    • /
    • 1987
  • It is utmostly important to establish the efficient fitable way of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in primary health care especially in the areas where the public or governmental service input for the basic health care is insufficient like as in rural areas of Korea. In light of above reason, this study focused mainly on the evaluation of roles and activities of village health workers (VHWs) who were selected from grass- root level of village people in order to derive further motiv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This is believed to be a sort of feedback mechanisms. Actually, the authors collected the activity reports of VHWs who had been devoting themselves in the primary health care services of Jeomdong Area, of Yeoju Gun one of Korea University Community Health Action Programmes and survey record on the VHWs activity from correspondent people. 1 ho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mputer programmed package. The activities performed by VHWs were limited to the performance in 1985 for conveniance.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VHWs. Among a total of 28 VHWs in the area, about 39.3g of them have been replaced up to the date since the implementation in 1983, because of moving out, occupational employment and of others. The age of majority (75.0%) lied between the range of 30-50,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67.9% belonged to category of primary school graduation, about 50% of them experienced to be or were also entiled "chief of women club" of corresponding villages. 2) Work-load of VHWs. Each VHW was assigned for tasks of health care for average 55 households of 248 persons. They shared approximately 6 days a month for the activity in average and it covered 17 cases of basic health care in a month. A half of the VHWs performed home visits irregularly without solidified schedule. 3) Work performance analysis. Informations collected through VHWs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official vital registration at local administration center "Myon Office" in 1985. VHWs collected 100.8 of new born, 116.2 of death, 58.3 of move in and 74.8 of move out in comparison with 100.0 of official registration each. Pregnant women of 79.8% of mothers among the total pregnancy of 94 which were confirmed as normally delivered or aborted cases by all means afterwards had been detected by VHWs as being pregnant and all of them received some of antenatal cares by VHWs. All(100%) of delivered women were detected by VHWs through home visits and they were cared postnatally. Wherea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birth registration, the places of delivery were clinic in 33.7%, and mother's home in 66.3%, VHWs reported them to be clinic in 48.9%, midwifery in 20.2%. It was cleared that most of misinformation was caused by uncautious filling of birth registration at notification. Among the total of 717 eligible women under age 44 years, family planning status of 92.6% was reported by VHWs confirming practice of control to be 70.8% of reported fertile women. 4) Attitude of VHW on the roles and functions. Although 92.0% of VHWs expressed VHWs to be worthwhile, only 52.0% of them had dignity and satisfaction in their activity and 44.0% of them had passive attitude of working saying they followed direction regardlessly. Concerning difficulties in performance as a VHW, 60.7% of them pointed out lacking of medical and health related knowledge by themselves. Still, 64.0% of them thought visiting unfamilier house to be awful and 40.0% complained forms of activity to be difficult and hard. It was also revealed that 56.6% confessed lack of interest on community health service itself. Most of VHWs needed more educational training especially on clinical fields such as cares of gynecological diseases, hypertension, diabetes, and other chronic diseaes of the aged. Regular on-the-job basic trainings were said to be needed twice a year.

  • PDF

양호겸직교사 연수과정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Holding Additional Job of School Health Nursing in Kyeong Nam Province)

  • 강영실;정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3-14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in schools lacking in a school nurs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rainess to the training course of school health nurs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from 150 teachers(100 of primary school and 50 of middle school)who attended the training course superintended by the Board of Education of Kyeong Nam Province from July 27 to August 6 in 1987.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s: The majority of the trainees (71.3%) were in the age of twenties, 86.5% graduated from four-year teachers' college, 63.5% had less than five-year experience as a teacher. 2. 60.5% of the trainees were actually offering school health nursing services. 67.8% decided voluntarily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course, and 62.7% attended the cours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health knowledge. 3. Only 4.2% of schools established appropriate health organization, and 34.5% were equipped with nursing clinic. But the main reas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were not performed very well was the insufficient supply of needed medicines and related materials. 4. School health nursing services in schools lacking in a school nurse were offered mainly by the teacher holding additional job of school health. class teacher and atheletic teacher. But the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meal services and community health activities were not carried out at all in many schools. 5. As a whole, trainees were satisfied with training program. But some subjects of the course did not satisfy them because those ones were so theoretical without any practice. 6. Many trainees wished the training course to be more concentrated on case studies which are helpful to solve actual problems. 7. 75% of trainees answered to have decided to perform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more actively than before. 8.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can not be found between traine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attitude to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after the training course. Only one factor-motivation to attend the training course-ha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8.7%.

  • PDF

전염병관리 전문요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사정 (Educational Need Assessment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on Infectious Disease)

  • 박노례;정인숙;김영택;정은경;전진호;송미숙;이인숙;조성일;천병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6-91
    • /
    • 2002
  • 본 연구는 국가의 위기관리 차원에서 실시되는 보건소 전염병 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앞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전국 242개 보건소에서 실제 전염병 관리 업무나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48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3문항)외에, 전염병 감시체계의 효율적 운영(12문항), 역학조사(11문항), 환자관리 및 방역조치(9문항), 예방접종률 제고(14문항), 관리(15문항), 교육 및 홍보(8문항) 등 7개 영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배부하였는데 300명이 응답하여 62.0%의 응답률을 보였다. 4점 만점 척도에서 전채적으로 2.10점에서 2.31점으로 교육 요구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관리영역(2.31점)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전염병 감시체계의 효율적 운영(2.10점)이었다. 직종간 영역별 교육요구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예방접종률 제고, 환자 관리 및 역학조사, 그리고 환자관리 및 방역조치이며, 전염병관리 업무의 근무연한과 하부영역별 교육 요구도는 역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지식 제공은 최소화하고 기존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어떻게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초점을 두며, 전염병 감시, 역학조사, 예방접종 사업 등을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처리하거나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심폐소생술금지 교육 및 임상 경험에 따른 윤리적 태도 (Ethical Attitudes according to Education and Clinical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DNR))

  • 계영애;이미연;박진숙;김효주;정태연;장보영;김윤정;구동회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208-218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관해 간호사와 의사의 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DNR 관련 교육 및 임상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단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로서 총 310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8월 19일부터 8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DNR에 관해 간호사와 의사의 임상 경험과 윤리문제에 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문헌고찰을 통해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참여자 중에 간호사는 238명(77%), 의사는 72명(23%)이었다. 대부분의 참가자들(99%)이 DNR의 필요성에 동의하였고 이유로는 환자의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52%), 회복이 불가능한 의학적 상태(23%), 환자 본인의 죽음에 대한 선택(19%)의 순이었다. DNR 임상경험에 따른 차이는 DNR 필요성의 동의, DNR 시기 및 DNR 이후의 다른 치료의 허용에 대해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DNR 교육 여부에 따른 차이는 DNR 시기 이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DNR에 대한 교육보다는 임상에서의 경험이 실제 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기에 효과적인 DNR 교육을 위하여는 실제 임상 실습을 통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Activation Plan of Image Making Program for Life Care)

  • 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면접지도와 예비 직장인에게 있어서 대인 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과과정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고, 이미지메이킹 교과목을 수강한 광주·전남지역 전문대학교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취업과 예비 직장인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강의실은 일반 강의실,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실, 전용 강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중요도는 태도(행동), 예절 및 인사법, 표정, 화법, 대인 관계법, 의복,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의 중요 요소는 표정,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태도(행동), 대인 관계법, 화법, 의복, 예절 및 인사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영향력 정도는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시점은 2학년부터이고, 교육시간은 한 학기 주 1회, 교과과정 구분은 교양이나 교양선택 과정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과내용은 예절 및 인사법, 메이크업 및 코디 방법, 취업 설명회, 기능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국내 기업체 연수 순으로 나타나 예절 및 인사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지도자는 전공교수를 희망하고, 교육방법은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매체를 희망한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육은 화법이나 목소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분석하는 교육,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교육, 기업의 면접에 관한 교육, 워킹이나 자세교정에 관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