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Flow Visualization Device with Smoke Generator in Learning Wind Tunnel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가시화 장치 개발

  • Lim, Chang-Su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i, Jun-Seop (Technology D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임창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최준섭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07.10.30
  • Accepted : 2007.12.12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the smoke flow visualization device of learning wind tunnel,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demonstrate air-flow around the fluid-flow field qualitatively and understand the resistance concepts of fluid-flow in secondary school.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the development and experiment of smoke flow visualization for learning wind tunn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 here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fundamental physical phenomena related with the resistance of fluid and the various patterns of air-flow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Second, flow visualization has shown the same tendency in both of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atterns. Third, the airfoil model has the smallest wake region meaning resistance against air-flow of circular cylinder and square rod model. Forth, flow separation point at leading edge and wide wake region began to show under the angle of attack of airfoil model ${\alpha}$ is $20^{\circ}$. Fifth, the wake width of the flow field behind a golf ball with dimple became slightly narrower than that without dimple. Sixth, the developed device was made to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and practice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

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유동장 주위의 유체의 흐름을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유체의 저항 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용 자료인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 가시화 장치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학습용 풍동의 연기 유동가시화 장치 개발과 이를 활용한 실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 영역에서 다양한 유체의 흐름 형태와 저항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유동가시화 실험을 통하여 실험 모델에 따른 유체의 흐름은 이론적인 유동 패턴과 전체적으로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공기의 저항을 의미하는 후류 영역은 유선형 모델이 원형이나 사각형 모델에 비해 훨씬 작게 나타났다. 넷째, 유선형 모델의 받음각을 $20^{\circ}$로 하였을 때 앞전(leading edge)에 생기는 박리점과 넓은 영역의 후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골프공과 매끈한 공의 비교실험에서 딤플이 있는 골프공 모델 하류에 형성되는 후류영역의 폭(wake width)은 다소 좁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섯째, 수송 영역에서, 자동차나 항공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험 실습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고시(1998) 실과(기술 . 가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10.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문병환(2000),사각 실린더 주위의 표면 압력 측정에 관한 풍동실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계향,유상신(1992). 유동가시화용 저난류 연풍동의 개발. 한국항공우주대학교 논문집, 30
  4. 양기훈(2005). 공기 유속과 저항제 형태에 따른 압력계수 측정에 관한 풍동 실험,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채연석 (2003. 7. 7). 왜 항공우주산업인가,중앙일보,p. 10
  6. 최준섭(2003). 앞으로의 기술교육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2003년도 한국기술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및 워크삽: 한국 기술교육 혁신을 위한 성찰과 과제 한국기술교육학회,pp. 31-41
  7. Barlow,J. B., Rae,W,H. and Pope,A. (1999). Low Speed Wind Tunnel Testing, 3rd ed. New York : John Wiley & Sons,Inc. 90-125
  8. Munson,B. R.,Young,D. F. and Okiishi, T. H. (1990). Fundamentals of Fluid Mechanics(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Inc. 599-615
  9. Roberson,J. A. and Crowe,C. T. (1993). Engineering Fluid Mechanics(5th ed.).)d.e New York. John Wiley & Sons,Inc. 502-525
  10. White,F. M. (2003). Fluid Mechanics(4th ed.). Peoria. IL: Glencoe/McGraw.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