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tional Concentr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목격 여부에 따른 배가쪽 이마앞 영역의 활성화 차이: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 연구 (Increase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An Explorator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

  • 함근수;김기평;정호진;유성호
    • 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
    • /
    • 제42권4호
    • /
    • pp.146-152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neural correlates of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We analyzed oxygenated hemoglobin ($HbO_2$) concentration in the prefrontal cortex during eyewitness memory retrieval task and examined regional $HbO_2$ differences between observed objects (target) and unobserved objects (lure). We found that target objects elicited increased activation in the bilateral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which is known for monitoring retrieval processing via bottom-up attentional processing. Our results suggest bottom-up attentional mechanisms could be different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vestigating retrieval mechanisms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might be useful for establishing an accurate eyewitness recognition model.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moto Program Based on Convergent Intervention on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ADHD)

  • 유진호;강유석;채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63-470
    • /
    • 2018
  • 본 연구는 융합적 중재의 심리운동프로그램의 참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Kiphard의 6단계의 심리운동 적용에 따른 시각과 청각의 주의집중력에 하위요인 중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를 반복측정 분석하였다. ADHD 아동의 심리운동 중재에 따른 분석결과 시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에서만 오류가 감소하였으며 청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서 감소하지 않으며 중재에 따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심리운동의 후속 연구는 주의집중력 뿐만이 아닌 다양한 중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ADHD 아동을 위한 융합적 중재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비선형 반복 패턴과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 집중-비집중 분류기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ttention-inattetion Classifiers using Non-linear Recurrence Pattern and Spectrum Analysis)

  • 이지은;유선국;이병채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409-416
    • /
    • 2013
  • 집중은 관련된 사건을 선택적으로 주의하고, 관련 없는 사건을 무시하는 인간의 중요한 인지 기능중의 하나이다. 인간의 집중 능력을 관리 이용하는 컴퓨터 기반 장치에 있어서 집중과 비집중 상태를 구분하는 것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뇌파신호로부터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특징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비선형 반복 패턴 분석기법과 스펙트럼 분석 기법을 새로이 결합하였고(13개 특징 추출), 서포트벡터머신, 역전파 알고리즘, 선형분리, 로지스틱 회귀 분류 기반 분류기들을 포함하는 집중-비집중 분류기들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중에서 81 %의 정확도를 보이는 서포트벡터머신 분류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으로 추출한 특징만을 사용하였을 경우(76 % 정확도)가 비선형 분석 방법으로 추출한 특징만을 사용했을 경우(67 % 정확도)보다 좀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비선형-스펙트럼 분석법을 복합 적용한 서포트벡터머신 분류기가 추후 집중 관련 장비 설계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엔터테인먼트 요소 구분을 통한 상업시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Entertainment Commercial Center by Analyzing the Entertainment Factors)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7-100
    • /
    • 2008
  • Commerce has been taking a part of important on composing structure and system, having been started with simple role on exchange goods. In this point, We can say that commerce is the condensation of life based on understanding human cultures. Commercial center has been changing on a form as well as a function all through the history, following the changes of society. The attentional point is that there are always entertainment factors and have the relationship with space of the building in constant The purpose of comsume is not only just for a product but also enjoy consuming time and space. Most people have concentration spending their free time city where they live. This study identify the entertainment factors for a commerce an entertainment center.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ADHD Digital Therapy Using VR Games

  • Dae-Won Park;Han-Byul Kang;Sa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32-336
    • /
    • 2023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ADHD diagnostic rating scale algorithm and virtual reality- based digital treatment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enables multiple access based on specialized medical data. The VR ADHD digital treatment to be implemented is intended to be applied directly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adolescent ADHD by applying various psychiatric treatment technologies. In order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digital therapeutic agent developed in this paper,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2 males and 12 females "targeted counseling psychology majors at the Asian Dementia Center once a day for 3 weeks, ADHD VR-based digital therapeutics for children Experienced and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As a final result of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develop attentional concentration ability, working memory improvement ability, and impulsive control ability in four games of digital therap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significant results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ADHD therapeutic effects.

독립성분 분석기법에 의한 집중 상태 뇌파의 주파수 요소 특성 (Features of EEG Signal during Attentional Status by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n Frequency-Domain)

  • 김병남;유선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70-2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작업수행시의 집중상태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 동안 집중을 유발하는 시각유발자극에 대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한 피험자들 중 한명의 뇌파신호를 분석하였다. 두피에서 측정한 뇌파신호로부터 집중관련 뇌 안에서의 발원 신호와 안구운동잡음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독립성분 분석기법을 측정뇌파 신호에 적용하였다. 안구운동잡음신호가 제거된 집중관련 신호원을 단시간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축적함으로서 시변 특징 형태를 나타내는 에포크 그래프와 스펙트럴 칼라 맵에서의 도식 표현상 규칙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추출한 감각운동리듬 (SMR: 12-15Hz)과 세타파 리듬 (4-7Hz)관련 집중 지표는 집중시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단시간 푸리에 변환과 결합한 독립성분 분석기법은 참여자의 집중상태 변화를 분석하는데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뇌파측정을 이용한 비염 환아와 정상아의 주의집중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d EEG Spectrum Difference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Normal Children)

  • 이남열;김윤희;한재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
    • /
    • 2007
  • Objectives : Allergic children have known to have multiple behavior problems. Among them, attentional ability disorder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blems.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allergic rhinitis by analyzing EEG status of children. Methods : We analyzed cognitive functions of two different children groups; 21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and 19 normal children with CANS 3000(Central & Autonomic Nervous System, LAXTHA Inc., Korea),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 program by EEG. Results : 1. According to mean active EEG rhythm of Theta, Alpha, SMR, M-bet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the normal group. 2. According to mean active EEG rhythm of right H-beta, Gamma wave allergic rhinitis group'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3. According to mean cognitive strength, response, concentration, left / right brain activity and learning ability s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the normal group. 4. According to mean workload score, allergic rhinitis group'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Conclusions : It is likely that allergic rhinitis group,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frequency EEG rhythm, is more fragile to stress and less active on mental processing. Along side with physical examin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should also be conjugated on treating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 PDF

온라인 수업에서 주의 집중을 저해하는 요인과 해결방안 (Factors which Hinder Attention in Online Classes and Solutions)

  • 신수범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59-168
    • /
    • 2020
  • 교실수업과 같은 대면 수업과 달리 온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변인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사전에 인지해야 하며 만일 학습을 저해하는 변인들이 있다면 이를 제거함으로써 학습 주의 집중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변인들이 주의 집중을 떨어뜨리는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주의 집중 저해 변인들을 선별하여 설문을 통해 요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주의 집중 저해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다양하지 못한 교수 방법, 지루함, 알고 있는 내용, 피드백과 의사소통 부족 등과 같은 수업 진행 요인, 늦잠이나 주변 소음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 정보기기 조작의 어려움, 화면이나 소리가 나오지 않음, 인터넷 끊김 등과 같은 기기 조작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요인별 온라인 수업 주의 집중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휠체어컬링 국가대표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EEG 뇌파활용 연구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a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National Wheelchair Curling Players -Frontal EEG Asymmetry)

  • 김성운;최석립;김한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75-2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컬링 국가대표선수와 팀의 요구에 기초하여 현장 활용도와 시합 및 훈련 기여도가 높은 스포츠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휠체어컬링 국가대표선수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담은 내담자와 편안한 분위기에서 일주일에 1회씩 매 60-90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스포츠심리기술 질문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질문지, 한국판수행전략검사지, 기분상태프로파일질문지, 경쟁상태불안 검사지, 경기 참여 휠체어컬링 수행결과 변화, 심리기술훈련 평가질문지,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 분석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기술훈련은 사전단계에서 연구대상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3개의 하위 요인인 각성조절, 걱정, 주의집중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기술훈련은 휠체어컬링 대표선수들의 수행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형질문지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는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경기력에도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심리기술훈련 처치 전에는 EEG대뇌반구비대칭 차이지표가 부정적 정서 상태를 보였지만 처치 후 긍정적 정서 상태를 보였다. 이것은 뇌 과학적 접근인 EEG 뇌파분석을 통해 심리기술훈련이 휠체어컬링 대표선수들의 심리적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