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devic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보행보조기기 사용자를 위한 2축 회전 자기안정화 휴대물품 장치의 개발 (2-axis Rotation Self-Stabilizing Platform for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s)

  • 이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0-5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목발을 사용하는 교통약자가 물품을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2축 짐벌 구조를 기반으로 서보모터, IMU센서, 아두이노 나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하였고, Pitch와 Roll 방향 회전을 상쇄하기 위해 센서 각도를 변환 없이 사용하는 기본제어법과 PID 제어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 PDF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 김정호;서준교;구교준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81-5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 및 정보격차 현황의 파악 분석과 정보통신기기 수요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제시와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및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정보격차 실태 및 현황 파악을 위해서,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 사용능력(역량), 활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10*). 본 연구의 수요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전체 응답자 중 약 28% 정도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수의 응답자들이 보조기기의 사용이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답하였다(67%). 정부나 관련기관으로부터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 중 36%로 나타났으며, 기기의 성능 측면에서도 대체로 만족스러웠다는 의견이 전체의 응답의 약 46%로 나타났다. 한편 기능조작 및 사용법 측면에서는 쉽고 편리다고 응답한 경우가 사용 경험자 전체의 36%에 불과했는데,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는 보조기기 조작의 어려움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밖에 정보통신 보조기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은 기기 성능의 안정화, 크기의 소형화, 버튼의 간소화, 무게의 경량화 등이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이용 실태 및 수요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정보화기기 이용 시 보조기기가 필요한 장애인을 위한 보급정책 수립과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됨으로써 정책 실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Assertive Devices to Improve the Accuracy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 장보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3-159
    • /
    • 2024
  •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접이식 전동휠체어의 동적 전도해석 연구 (Study on Dynamic Tip-over Analysis of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 장대진;김용철;김신기;문무성;박종철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9
    • /
    • 2016
  • 전동휠체어는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다. 하지만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다가 전복되는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동휠체어 관련한 KS P 7176 규격에는 동적안전성 시험항목이 있지만 이는 전동휠체어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한 장애인 차량에 적재 가능한 접이식 전동휠체어를 소개하고 본 휠체어를 기본으로 주행 중 동적 전도해석 기법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전도해석은 force-moment 안정성 측정법을 사용하였으며 회전반경, 가속도, 무게중심점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해석 방법으로 전동휠체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적 안정성 평가 항목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의 보행보조기구 사용 보행시 보행패턴의 변화연구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Elderly Gait with a Walking Assistive Device)

  • 윤석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
    • /
    • 2007
  • Walking is not only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human mobility, but also is a good exercise. Inability to walk freely can reduc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ce substantially. Being a relatively low impact activity, walking is particularly good for the elderly and research has shown that regular walking in the elderly reduces the chance of fall-related injuries and mental diseases as well. In spite of the documented benefits of regular walking, it is still difficult to walk without the aid of assistive devices for the frail elderly who have lower extremity problems. Assistive walking devices(AWD), such as crutches, canes, hiking-poles, T-Poles and walkers, are often prescribed to the elderly to make their walking be safe and efficient. Many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AWDs such as reducing lower extremity loading, improved dynamic/gait stability, yet, no study has been done for gait pattern when the elderly gait with AW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Poles, one of the AWDs, change the elderly gait pattern. Eight community-dwelling femal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boratory kinematics during walking with T-Poles(PW) and with out T-Poles(NPW) was assessed. PW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tep width, stride length, gait velocity and decrease in swing time. No significances were found in lower body joint angles but meaningful trend and pattern were found. Maybe the reason was due to the participants. Our participants were healthy enough so that the effect of T-Poles was minimum. PW also showed typical gait phases which are no single support phase during a gait cycle. It indicates that walking with T-Poles may guarantee safe and confident walking to the frail elderly.

장애아동 특성과 편리성을 바탕으로 디자인된 유모차의 사용성 평가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and Ease Usability Testing of the Stroller)

  • 오도영;안나연;공진용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67-273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신체적 특성과 편리성을 바탕으로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기능성, 편의성 및 안정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용자 평가 분석을 위하여 장애인용 유모차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장애아동의 보호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제시되는 시나리오 평가방법을 참고하여 유모차의 기능 및 구조 항목별로 용이성 여부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용 유모차에 대한 사용과정을 직접 체험하면서 탐색적 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및 설계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사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기존 국외 장애인용 유모차와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유모차 기능 및 편의성 등의 조건을 분석 제안하여 국내 제품의 만족도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2차원 와이어 구동식 중량물 권양 시스템을 위한 퍼지제어기 설계 (Design of Fuzzy Controller for a 2-Dimensional Wire-Driven Heavy Material Lifting System)

  • 이용찬;이형준;이연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97-10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자를 돕기 위한 2차원 와이어 구동식 중량물 권양 시스템과 퍼지제어기를 제안한다. 2차원 와이어 구동식 중량물 권양 시스템은 사람이 전체 제어루프에 포함된 인간지원시스템의 일종이다. 기존 인간지원시스템 대부분의 제어 방식이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자의 힘을 덜어주어야 하는 요구조건과 사람의 작업 모션을 고려한 퍼지제어기 설계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2차원 작업 모션의 성능을 검증한다.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 Kim, Jin Sook;Kim, Chun Hyeok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1
    • /
    • 2014
  • Assistive listening devices (ALDs) refer to various types of amplification equipment designe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individuals with hard of hearing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to speech signal when individual hearing instruments are not sufficient. There are many types of ALDs to overcome a triangle of speech to noise ratio (SNR) problems, noise, distance, and reverberation. ALDs vary in their internal electronic mechanisms ranging from simple hard-wire microphone-amplifier units to more sophisticated broadcasting systems. They usually use microphones to capture an audio source and broadcast it wirelessly over a frequency modulation (FM), infra-red, induction loop, or other transmission techniques. The seven types of ALDs are introduced including hardwire devices, FM sound system, infra-red sound system, induction loop system, telephone listening devices, television, and alert/alarm system. Further development of digital wireless technology in hearing instruments will make possible direct communication with ALDs without any accessories in the near future. There are two technology solutions for digital wireless hearing instruments improving SNR and convenience. One is near-field magnetic induction combined with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transmission or proprietary RF transmission and the other is proprietary RF transmission alone. Recently launched digital wireless hearing aid applying this new technology can communicate from the hearing instrument to personal computer, phones, Wi-Fi, alert systems, and ALDs via iPhone, iPad, and iPod. However, it comes with its own iOS application offering a range of features but there is no option for Android users as of this moment.

전신마비 환자를 위한 EOG 기반 디스플레이 상의 응시 좌표 산출 (Extraction or gaze point on display based on EOG for general paralysis patient)

  • 이동훈;유재환;김덕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7-9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EOG(Electrooculography)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상 응시하는 좌표를 산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EOG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와 EOG 신호의 2차원 좌표계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스케일링, 원점의 차이를 머리의 움직임 대신에 보정 작업으로 일치시켰다. 1680*1050 해상도를 가지는 모니터에서 출력한 원의 좌표와 이를 응시 할 때 발생되는 EOG 신호에 보정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좌표와의 비교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x, y좌표는 평균적으로 각각 56픽셀(3%), 47픽셀(4%)의 오차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전신 마비 환자를 위한 포인팅 장치나 가상현실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HCI(Human Computer Interface)로 활용이 가능하다.

고주파 응용의료기기의 전자파장해·내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in the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Standard of High-Frequency Medical Devices)

  • 최승선;이준식;황인호;차지훈;허찬회;박기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35-41
    • /
    • 2010
  • 의료장비의 발달로 인해 병원에서의 영상진단, 고주파 수술기를 통한 위생적 치료, 고주파 온열기를 통한 암 치료 등 우리 생활에 가까운 곳에서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기기들이 넓게 활용되고 있는 시점에 고주파를 이용한 응용기기들 간의 RF상호 간섭 문제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향후기술개발과 고주파응용 의료기기의 산업발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요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주파응용의료기기의 사용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호 간섭 문제를 합리적이고 적합한 시험방법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응용 의료기기에 대한 상호 간섭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전자파 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