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devic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학생 보조기기 사용 실태 (Status of Assistive Device Availa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 조병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efficient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A comple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reques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Welfare. The subjects were 1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pplied for assistive device rental. The status of the supply of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was investig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earning support was measured. The questionnaire content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actors to determine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support overall (role, staff, facilities) learning support (learning support, learning counseling, life consultation), assistive device supply (counseling, rental, uses, rental period, maintenance services).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physical disabilities 62 (29.38%) and hearing impairments 62 (29.38%).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rented manual and electric wheelchairs the most.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was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ors support overall, learning and assistive device supply effects. satisfaction of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83.5 points. CONCLUSION: The satisfaction with assistive device supply appears to be relatively lower than support overall. Each university will gradually secure assistive device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Study on Needs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for Long-Term Care Elderly : Focused on Beneficiary Older Adults People in Long-term Care Insurance)

  • 우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장애인보조기구 연구동향 분석: 2002년 ~ 2014년 (System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2002 to 2014)

  • 김창걸;강정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3-10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장애를 예방 보완하고 일상생활의 편의를 증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기구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 하여왔으며, 그 연구영역 또한 실태조사 연구에서 서비스관련 연구, 보조기구개발연구 등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련 용어 사용에 있어서 초기에는 '재활공학', '재활보조공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는 부분이 현재에는 '보조공학', '보조공학서비스', '보조공학기', '보조기구'의 용어로 주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Development and feasibility test of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 Ha, SinHo;Jeong, SeYeon;Hong, SoungKyun;Choi, Wonjae;Lee, Kwangkook;Park, Donghwan;Son, SangJun;Shin, HyeonHui;Lee, GyuChang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6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and to conduct a feasibility test. Design: A technical note.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y standing up independently from sitting positions. The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allows the user to transfer the weight from a sitting position to a standing position while shifting the weight forward by grabbing and pulling a support stand. Ten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e feasibility test of the device. Each participant used the developed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and investigated supplementation through a brief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feasibility test, the opinion was that the device could assist the sit-to-stand transfer to some extent. There were opinions that it needed a fun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knee protective plate in the sit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lock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and adjusting inclination,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improvement for a locking device is needed. There were opinions that it would be better to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due to its inconvenience of portabilit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it-to-stand transfer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y standing up independently from sitting position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upgrade of the device is necessary for the future since there are supplementary opinions on some points.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Employment Effect on Assistive Technology Program for the Disabl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전영환;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33-138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효과를 실증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장애인고용단의 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집단의 오염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에 비해 퇴사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한 기업체가 그렇지 않은 기업체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대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고용에 효과적임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조공학기기 지원 대상을 취업자에서 구직자로 확대하고, 구직상담에서 직무배치에 이르는 일련의 고용서비스 전 과정에서 보조공학기기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MR 댐퍼를 이용한 장애인의 무릎관절 보조 장치 설계 및 실험 (Design and Experiment of an Assistive Device for a Knee Joint of a Disabled Person Using an MR Damper)

  • 전형진;정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79-585
    • /
    • 2010
  • In this paper, an assistive device for a knee joint to help a disabled person to stand up by supporting power is presented. The device is designed and controlled by using damping characteristics of the MR (Magneto-Rheological) damper. The MR damper helps the person to sit slowly and safely. A DC motor supports muscle power in the case of standing motion. Thus the device helps the disabled person to sit down and stand up. Through the experiments, it is feasible that an assistive device can help the disabled person to standup according to the foot pressure change.

공적급여 보조기구 전달체계에서 전문보조기구센터의 실효성 연구 : 광주광역시 보조기구센터의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 중심으로 (A Effectiveness Study of Public Funds Assistive Technology Delivery System Through the Profess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 황준길;송길호;오수진;장완호;한승호;송병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3-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공적급여 보조기구 전달체계에서 전문보조기구센터가 개입함으로써 실제로 효과성이 있는 지를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1년 하반기, 2012년 상반기 1년간 광주광역시에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 신청자 253명을 대상으로 상담, 평가 과정을 진행하여 적합 197명, 부적합 28명, 품목변경 28명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문보조기구센터 개입 전에는 신청자 253명이 모두 지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개입 후에는 28명이 자신에게 맞는 보조기구를 변경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28명에게는 불필요한 지원을 피하게 되어 또 다른 사람에게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 PDF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의 변화형태 분석 (Analysis of Change Pattern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Use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 전영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3-87
    • /
    • 2012
  • 본 연구는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3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준모수적 집단 중심 접근방법(semi-parametric group based approach)을 적용하였다. 분석모형은 종속변수가 보조공학기기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이분형 척도(dichotomous scale)라는 특성을 고려해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변화 형태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보조기기 지속사용 집단, 보조기기 중간사용 집단, 보조기기 사용 급감소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다항로짓분석으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학력, 장애유형, ICF,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가 잠재계층을 결정하는 데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장애인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과 시사점 연구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Public Benefits linkage i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 이진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21-226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광역 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보조기구센터가 공적급여 사업에서 연계하고 있는 서비스 단계 및 주요 연계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지역사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리사업의 현황과 연계 현황 그리고 각 서비스에 필요한 공급 업체 연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공적급여는 보조기구 정보제공 수준에서의 연계가 가장 많았다. 수리사업은 모든 센터들이 실시하지만 경 정비 수준의 수리를 일반적으로 수행하였고, 지역사회 전문 수리 업체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정이었다. 공급 업체 연계는 지역별로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문센터에 보다 다양한 보조기구의 확충을 통한 공적급여 정보제공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공적급여 지원 기관과의 긴밀한 교류가 필요하며, 연계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정책 수립의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 PDF

Law법 수직입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3D 프린터 제작 연구 (Study on 3D Printer Producing of Assistive Devices for Vertical Incidence of Law Method)

  • 김상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6호
    • /
    • pp.489-494
    • /
    • 2020
  • The Law method is observing the temporal bone. There are two types of methods: the double angle method, which manipulates the center ray angle of the tube twice, and the single angle method, which manipulates once.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reproducibility of the image by making vertical incidence by making an assistive device using a 3D printer. Two assistive devices with a wedge-shaped 8.5 × 10 × 2.3 cm, an inclined surface of 7.5 cm, and an inclination angle of 15° were fabricated. Assistive devic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form of grooves, and PLA (Poly Lactic Acid) is used as a material. In the first experiment, 10 examiners operated the tube 15° in the caudad direction and 15° in the anterior direction, and measured it with a protractor to conduct a reproducibility experiment. Second, two examiners acquired vertically incidence images using the existing law method and assistive devices, and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each measurement point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The tube center ray angle reproducibility experi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ngle difference was up to 9° between examiners. The reproducibility experiment of radiographic imag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method using an assistive dev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regardless of skill level, an image capable of securing reproducibility, which is the advantage of vertical incidence, could be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