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37초

Influence of Phytase and Xylan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sation of Broilers Offered Wheat-based Diets

  • Selle, P.H.;Ravindran, V.;Ravindran, G.;Pittolo, P.H.;Bryden, W.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394-402
    • /
    • 2003
  • Individual and combined supplementation of phosphorus-adequate, wheat-based broiler diets with exogenous phytase and xylanase was evaluated in three experiments. The effects of the enzyme combination in lysine-eficient diets containing wheat and sorghum were more pronounced than those of the individual feed enzymes. The inclusion of phytase plus xylanase improved (p<0.05) weight gains (7.3%) and feed efficiency (7.0%) of broilers (7-28 days post-hatch) and apparent metabolisable energy (AME) by 0.76 MJ/kg DM. Phytase plus xylanase increased (p<0.05) the overall,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by 4.5% (0.781 to 0.816); this was greater than the responses to either phytase (3.6%; 0.781 to 0.809) or xylanase (0.7%; 0.781 to 0.784). Absolute increases in amino acid digestibility with the combination exceeded the sum of the individual increases generated by phytase and xylanase for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hreonine, tyrosine and valine. These synergistic responses may have resulted from phytase and xylanase having complementary modes of action for enhancing amino acid digestibilities and/or facilitating substrate access. The two remaining experiments were almost identical except wheat used in Experiment 2 had a higher phytate concentration and a lower estimated AME content than wheat used in Experiment 3. Individually, phytase and xylanase were generally more effective in Experiment 2, which probably reflects the higher dietary substrate levels present. Phytase plus xylanase increased (p<0.05) gains (15.4%) and feed efficiency (7.0%) of broiler chicks from 4-24 days post-hatch in Experiment 2; whereas, in Experiment 3, the combination increased (p<0.05) growth to a lesser extent (5.6%) and had no effect on feed efficiency. This difference in performance responses appeared to be 'rotein driven'as the combination increased (p<0.05) nitrogen retention in Experiment 2 but not in Experiment 3; whereas phytase plus xylanase significantly increased AME in both experiments. In Experiments 2 and 3 the combined inclusion levels of phytase and xylanase were lower that the individual additions, which demonstrates the benefits of simultaneously including phytase and xylanase in wheat-based poultry diets.

명태(Theragra chalcogramma) 및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부산물 유래 효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천연 풍미 소재의 제조 (Preparation of Natural Seasoning using Enzymatic Hydrolysates from Byproducts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an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 김정균;노윤이;박권현;이지선;김현정;김민지;윤무호;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45-552
    • /
    • 2012
  • This study developed a natural seasoning (NS) and characterized its food components. Hydrolysate from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heads an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byproduct were obtained by incubating them with Neutrase for 4 h. NS was prepared by mixing sorbitol 2%, salt 2%, ginger powder 0.04%, garlic powder 0.2%, onion powder 0.2% and inosine monophosphate (IMP) 0.1% based on concentrated hydrolysates from Alaska pollock head and sea tangle byproduct before vaccum filter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NS was 82.7% moisture, 9.0% crude protein, and 5.1% ash. It had a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than commercial anchovy sauce (CS), it was lower in moisture and ash.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ng activity of NS were 90.1% and 88.9%, respectively, which were superior to those of CS. The free amino acid content and total taste value of NS were 1,626.0 mg/100 mL and 165.86,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aste value,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and taste of NS were superior to those of CS. No difference in fish odor between NS and CS was found.

엽삭젓 제조중의 미생물 및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and Chemical Components in Salt-fermented Youbsak during the Fermentation)

  • 양호철;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5-192
    • /
    • 1995
  • 함평군 손불면의 특산물인 엽삭젓을 염농도 18%와 22%로 각각 엽삭젓을 제조하여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발효와 관련된 미생물과 여러가지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초기에 지질과 단백질의 감소와 총균수의 증가가 있었고 총산도의 증가는 어느정도 pH와 반비례적인 경향을 보였고, 아미노태질소와 지질의 산가는 급증한 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선도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휘발성염기질소는 뼈국물을 넣어줌으로서 그 증가가 억제됨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때 발효 기간중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염도 22% 엽삭젓보다는 염도 18% 엽삭젓이 훨씬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C_{16:0}$)가 20% 정도 함유되어 가장 많았고, palmitoleic acid($C_{16:1}$), eicosapentaenoic acid($C_{20:5}$), oleic acid($C_{18:1}$), myristic acid($C_{14:0}$)순으로 함유되어 이들이 전체 지방산의 77.3%를 차지하였으며 EPA와 DHA도 약 20%정도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 기간중 큰 변화가 없었으며 염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도 휘발성 염기질소와 마찬가지로 계속 증가하지만 뼈국물을 넣고 젓국물 달여 붓기를 하므로서 상당히 그 증가의 지연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원료육의 경우 aspartic acid, threonine, histidine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숙성된 염도 18% 엽삭젓의 경우는 leucine, tyros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이, 염도 22% 엽삭젓의 경우는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methionine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상의 결과를 비교해 볼때 엽삭젓에는 고도불포화지방산 특히 EPA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염도 18%와 22%의 엽삭젓의 염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VBN등의 변화에 있어서 엽삭젓 제조의 염도로는 18%에 비하여 22%가 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이스라엘잉어의 연령별 근육단백질 조성의 비교 (Muscle Protein Compositions of Cultured Israeli Strain of Common Carp by Age)

  • 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0-196
    • /
    • 1983
  • 1년생과 3년생의 이스라엘잉어를 시료로 택하여 단백질의 조성과 육의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조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분획한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 및 세포내잔사단백질은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분석에 의하여 그 구성 subunit의 차이에 관하여도 검토하였다. 근육단백질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1년생은 5년생에 비하여 근원섬유단백질의 양이 $6\%$정도 많았고, 근형질단백질과 세포내잔사단백질 및 기질단백질은 3년생이 1년생보다 조금 많았다. 그리고 전기영동상을 해석한 결과, 1년생과 3년생의 근형질단백질은 각각 11개와 10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1년생의 분자량 210,000에 해당하는 subunit가 3년생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점을 보였다. 근원섬유단백질에 있어서는 1년생과 3년생이 모두 $7.5\%$$10\%$ gel 전기영동가교를 사용했을 때의 분리된 subunit를 합하면 23개의 subunit로 구성되고 있었으며, 연령별에 따른 subunit 조성차이는 거의 없었다. 세포내잔사단백질에 있어서도 1년생과 3년생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았다. 한편, 육의 단백질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두 연령별 시료간에 구성아미노산의 양적인 비율은 비슷하였다. 그리고 두 연령별의 시료가 모두 글루탐산, 아스팔트산 및 라이신을 어느 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 있어서도 3년생은 아스팔트산, 이소류신 및 페닐알라닌 등이 조금 많았고, 라이신, 히스티닌, 알기닌, 글루탐산등의 양은 조금 적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양은 1년생이 3년생보다 많았다.

  • PDF

외과적 수술에 의한 송어의 혈장 아미노산 농도 측정을 이용한 아미노산 요구량 설정 모델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Development of Modeling System for Assessing Essential Amino Acid Requirements Using Surgically Modified Rainbow Trout)

  • 배승철;옥임호;박건준;김강웅;최세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03
  • 무지개송어의 대동맥에 삽입관을 부착한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화학적 반응을 조사하였고, 실험사료의 위내 강제공급 후 혈장내 유리 아미노산의 농도변화를 비교하였다. 무지개 송어에 있어 아미노산의 요구량 설정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사료 영양학적 연구를 위한 새로운 사료공급 및 혈액채취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강제투여 및 대동맥 삽입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화학적 반응조사에 있어서 혈액내 헤마토크리트(Ht)는 6시간에 최대치를 보였고, 12시간에 최초수준으로 돌아와 48시간까지 유지되었고 혈장내 코티졸과 글루코스는 3시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6시간에 최대치를 보였으며(P<0.05), 48시간에 최초수준으로 돌아왔다. 혈장내 총 단백질 함량, 삼투압, Na농도, K농도, Cl농도, 헤모글로빈(Hb)수와 적혈구수(red blood cell, RBC)는 48시간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사료의 위내 강제 공급 후 혈장내 유리 아미노산의 농도 변화는, arginine, histidine, Iysine, methionine, threonine. val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과 tryptophan이 사료공급 후 4시간에 최대치를 보였고, 8~24시간사이에 최초수준 또는 감소하고, 48시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glycine은 사료공급 후 4~8사이에 감소하여 12시간에 최대치를 보였고 24시간에 최초수준으로 돌아왔다. alanine과 aspartic acid의 농도는 사료공급 후 4시간에 최대치를 보였고, 48시간에 기본농도로 돌아왔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위내 강제 공급 방법과 대동맥 삽입방법을 무지개 송어의 사료 영양학적 연구에 적용 가능하였고, 유리아미노산의 농도 측정으로 필수 아미노산 요구량 추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효소분해법에 의한 키조개부산물 젓갈의 제조 (Processing of Fermented Squeezed-type Pen Shell By-product by Proteolytic Enzyme)

  • 강훈이;강태중;배태진;김현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9-514
    • /
    • 1994
  • 키조개 부산물을 이용하여 속성 젓갈화를 시도하였다. 마쇄한 키조개부산물에 Protin P $5\%$를 가하여 pH 7.0, $55^{\circ}C$에서 1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불활성화를 위하여 $100^{\circ}C$에서 40분간 열처리시키되, 풍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10\%$의 invert sugar를 첨가하였다. 또한 제품의 물성개선을 위하여 PGDG을 $8\%$ 가하여 유화시킨 후 $2\%$의 한천과 $6\%$의 전분을 함께 첨가하여 조직감을 갖는 반고형 상태로 하고 최종적으로 식염농도를 $15\%$로 조절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키조개부산물은 패주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전내용고형물 중량의 $51.6\%$를 차지하였다. 풍미개선을 위하여 $10\%$의 invert sugar를 첨가하여 열처리한 것이 비린내와 쓴맛을 억제시켰다. 또한 한천 $2\%$ 및 전분 $6\%$의 첨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hardness, springiness 및 chewiness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23{\pm}3^{\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생균수는 60일째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키조개부산물로 제조한 젓갈중의 주요 아미노산들로는 Glu, Arg, Asp, Leu, Lys, Gly 및 Ala 순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60\%$ 이상을 차지하였고, 저장 90일후에도 양적순서와 함량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 PDF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명태고기풀 수세액으로부터 Peptide 생산에 관한 연구 (Peptide Production from the Washing Liquid of the Fish Paste of Alaska pollak (Theragria chalcogramma) by Immobilized Enzyme)

  • 신석우;말강방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2
    • /
    • 1997
  • 명태 (Alask pollack, Theragia chalcogramma) 고기풀 수세액 중의 단백질 활용방안으로 기능성 peptide생산을 위해 고정화 protease를 이용한 생물반응기에서 가수분해하여 gel 여과후 정제 peptide의 특성 및 아미노산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5\%$ 농도의 고기를 수세액을 반응온도 $50^{\circ}C$에서 24시간 가수분해 하였을 때 분해율은 $50\%$ (OPA법)였다. 2.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고기풀 수세 액과 조peptide의 분자량은 각각 $10,000\~50,000Da$과, $600\~12,000Da$의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3. SP-Sephadex C-25 $(H^+)$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식염농도 $0\~3\%$의 농도구배에서 $0.6\~0.9\%\;NaCl$, pH 2 범위에서 염기성이 약한 아미노산을 함유하였고, $1.2\~2.0\%$에서는 염기성이 강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peptide가 용출되었다. 4. SP-Sephadex C-25 ($(H^+)$ column chromatography에서 분획한 SP-분획을 Sephadex G-50 colum chromatography에서 peptide의 분자량 측정 결과는 대게 저분자로 분자량 1,000Da에서 3,000Da 범위였고, SP-4>SP-3>SP-2>SP-1의 순으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5. 정제 peptide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세 peptide에서 glycine, arginine이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그외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icd 등이였고, SP-분획 peptide는 수세 peptide와 대동소이하였으나 SP-2에서 glycine이 $33\%$로 가장 높았다.

  • PDF

효소분해 진주조개(Pinctada fucata martensii) 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zymatic Salt-ferment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 김인수;김혜숙;한병욱;강경태;박정민;오현석;한강욱;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5
    • /
    • 2006
  •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for utilizing pearl oyster by-products, a rapid salt-fermented pearl oyster using commercial enzyme was prepared and also examin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salt-fermented pearl oyster prepared by optimal condition, which was prepared by mixing of minced pearl oyster, 15% salt, and 1% $Protamex^\circledR$ and fermented for 4 weeks, was superior in hydrolysis degree (28.7%) and ACE inhibitory activity (92.6%) to salt-fermented pearl oyster prepared by other conditions, such as the use of whole tissue, different enzymes $(Alcalase^\circledR,\;Neutrase^\circledR\;and\;Flavourzyme^\circledR)$,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20 and 25%), and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2, 6 and 8 weeks). There were, however, some shortcomings with this product. It showed a dark green color and an unfavorable bitter taste. These shortcomings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seasoning paste. The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of the seasoned salt-fermented pearl oyster were 64.2 mg/100 g and 71.6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calcium content based on phosphorus was a good ratio for absorbing calcium.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easoned and salt-fermented pearl oyster was 7,054 m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are aspartic acid (555.1 mg/100 g), glutamic acid (1,131.2 mg/100 g), alanine (658.2 mg/100 g), and lysine (695.5 mg/100 g). The seasoned salt-fermented pearl oyster, along with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98.3%), also showed a recognizable level (87.5%) of anti-oxidative activity.

전기투석에 의한 재래식 간장의 저염화 (Desalination of Traditional Soy Sauce Using Electrodialysis)

  • 정재호;목철균;임상빈;우건조;백형희;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11-817
    • /
    • 2002
  • 재래식 간장의 식염농도를 저하시킨 저염화 간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기투석을 실시한 후 탈염 전후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농도 18.9%(w/v)인 재래식 간장 1,000 mL를 2 A의 조건하에서 450분 동안 전기투석한 결과 염농도가 0.5%(w/v)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최종부피는 330 mL로 감소하였다. 간장에 존재하는 미생물 수를 측정한 결과 세균, 효모, 곰팡이의 생균수가 투석 후 증가하였는데 이는 탈염과정에서 간장이 농축되는 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장의 탁도는 탈염 전 3.1에서 8.5로 크게 증가하였고 총질소, 총당 및 황원당도 약간 증가하였다. pH는 탈염 전 4.55에서 탈염 후 4.22로 약간 감소하였고 아미노태질소와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 역시 감소하였으며 특히 암모니아는 투석 전 $19.4\;{\mu}mol/mL$에서 1.3 umol/mL로 크게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투석 후 2배 가까이 증가하였는데 aspartic acid만은 함량이 감소하였다. 간장의 향미성분의 변화를 GC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투석 후 360분까지는 향미성분의 변화가 없었으나 540분 후에는 대부분의 향미성분이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Red Tanner Crab Cooking Drip Using Commercial Enzymes)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22-1030
    • /
    • 2007
  •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로 이용도가 낮은 자숙액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맛, 영양 및 건강기능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은 일반성분 및 안전성면에서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단 가수분해물의 경우 TCA soluble index(TSI),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는 경우 Alcalase로 2.0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 유래 Alcalase 1단 가수분해물을 기질로 하여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로 각각 2시간씩 연속적으로 가수분해시킨 2단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은 1단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약간 우수하여 2단 가수분해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붉은 대게 자숙액에 비하여 이를 Alcalase 처리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일반성분 및 색조는 차이가 없었으나,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와 같은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증가하였다. 붉은 대게 유래 Alcalase 처리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11,859.6 mg/100 mL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0.2%), proline(10.1%) 및 glycine (10.7%)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