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36초

야채류(野菜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Vegetables)

  • 조수열;김석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4
    • /
    • 1976
  • P. edulis순(荀)의 free amino acid 및 organic acid의 종류(種類)와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Free amino acid는 18종(種)이 검출(檢出)되었는데,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serine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 17종(種)이 정량(定量)되었으며 이들 중 serine이 가장 많았고, 1종(種)은 미확인(未確認)되었다. (2) Organic acid는 11종(種)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이들 중 formic acid acetic acid oxal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sorbic acid 등 9종(種)이 확인(確認)되었고, 이들 중 oxalic acid가 가장 많아 291.14mg%이었으며, 2종(種)은 미확인(未確認)되었다.

  • PDF

사과.감과실을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중 성분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pple and Persimmon during Fermentation)

  • 정용진;서지형;이기동;이명희;윤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5-581
    • /
    • 2000
  • 본 연구는 사과과즙 및 감을 부재료 로 첨가하여 고추장을 담금하고 이들 과실고추장의 숙성에 따른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활성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사과고추장이 감고추장보 다 수분활성도가 높았다. 환원당 함량응ㄴ 숙성 초기 사과고추장과 감고추장 각각 10.95, 10.30%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여 숙성 10주째에 각각 16.68, 19.14%로 최고치를 나태내었다. 유리당 성분으로 사과고추장은 숙성 12주째에 maltose 10.55%, glucose 8.47%, fructose 3.02%로 나타났으며, 감고추장은 숙성 6주째에 maltose 21.65%, glucose 8.71%, fructose 2.98%로 maltose 함량이 특이적으로 높았다. 유기산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2종의 과실고추장 모두 citr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과실고추장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사과고추장에서 188.59~420.94mg%, 감고 추장에서 154.67~316.93 mg%로, 숙성 10~12주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aspartic acid, proline, glutamic acid 등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 PDF

한국산 긴마(Dioscorea batatas)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Doughnut에 대한 관능 검사 (Phyg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with Doughnut of Yam (Dioscorea batatas) in Korea)

  • 김화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4-77
    • /
    • 1993
  • 우리나라에 분포되어 있는 마중 긴마(D. batatas)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복합분으로써 튀김류인 Doughnut의 흡유율과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마는 수분 76.10%, 당질 18.63%, 조단백질 4.03%, 지방 0.27%, 회분 1.02% 및 전분 함량은 17.20%로 나타났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로 구성 함량이 각각 30% 정도로 동등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Serine, Arginine, Alanine순으로 이들이 전체 아미노산의 70.3%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의 47%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가 차지하였고 함황 아미노산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튀김 식품인 Doughnut에 있어 마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기름 함유율이 낮아졌으며 관능 검사시 control과 마 10% 첨가군이 각 항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영양가와 기름 함유율을 고려해 볼 때 튀김시 밀가루에 10% 마가루 첨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시판 유화형 소시지의 영양품질 및 저장(1$0^{\circ}C$) 중 이화학적 성분변화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Emulsified-Sausages Sold at Korean Markets during Storage at 1$0^{\circ}C$)

  • 권관웅;이성갑;김동수;이옥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300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3대 회사의 비엔나, 푸랑크푸르트 및 보일드 소시지를 대상으로 저장 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여 소시지 제품의 품질개선 및 품질특성 변화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중제품을 구입하여 1$0^{\circ}C$에서 40일간 10일 간격으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50.4~53.4%, 조단백질은 12.3~16.0%, 조지방 22.8~26.5%, 조회분 2.O~2.9%, 탄수화물 6.5~9.8%였다. 조지방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바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이었다. 소시지의 아질산염은 3가지 시료에서 모두 식품공전상의 기준치인 0.07g/kg보다 적은 함량을 나타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의 관능평점보다 조금씩 낮아지는 반응을 보여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전반적인 기호도는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초기에는 <$10^2$cfu/g 이하의 균수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총균수는 1.9$\times$10~2.9$\times$$10^4$cfu/g까지 증가하였다. TBA가의 변화는 저장초기에 0.25mg/kg에서 저장 40일에는 0.70~0.75mg/k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한편 VBN 값은 저장초기 5.0~5.3mg%에서 저장기간 40일에는 16.5~8.7mg%의 분포를 나타냈다.

구실잣밤나무 열매의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s in Edible Por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Seeds)

  • 이진철;이병두;이홍열;정동옥;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9-652
    • /
    • 2009
  • 잣밤의 소재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습물기준으로 일반성분 중 수탄수화물은 63.10, 수분 29.64, 조단백질 5.03, 회분 1.25 및 조지방 함량은 1.00%이었다. 주요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과 histidine이었고, 유리당은 3.74%로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잣밤 총 지질의 지방산 중 linolenic acid(18:3), palmitic acid(16:0) 및 oleic acid(18:1)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무기성분은 P, K, Mg, Zn 및 Ca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각각 88.31, 26.00, 13.20, 10.90 및 3.93 mg/100g이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풍부한 영양성분을 포함한 구실잣밤의 열매를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에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제조과정에 따른 자소엽의 화학적 성분 및 자소숙수의 기호적 특성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by the Making Process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 김성미;정현숙;최옥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scuta Kudo) according to the making process, and to examine Hunter's color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by extraction time. Perilla leaves were prepared in three types; fresh leaf, dried leaf in the shade and roasted leaf after being dried in the shade in order to make Jasosuksu.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ee sugars(sucrose, glucose, fructose) and organic acids(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were present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15{\sim}16$ 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aspartic acid were determined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ser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The major total amino acids of til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were glutamic acid, histinine, and glycine. The major fatty acids of Perilla leaves were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content ratio of linolenic acid in fresh leaves was the highest, but that of palmitic acid was lower than that of dried leaves and roasted leaves. L value, a value, and b value of Perilla leaf were the highest in the roasted leaves followed by the order of dried leaves and fresh leaves. L value and b valu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ere higher than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sweetness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0 min. at $70^{\circ}C$, but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5 min. at $70^{\circ}C$.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tast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higher than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 PDF

진도산 울금(Curcuma longa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Turmeric (Curcuma longa L.) in Jindo Korea)

  • 오다영;김한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3-412
    • /
    • 2019
  •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hysiological activity substance in turmeric (Curcuma longa L.)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The proximate compositions in the vacuum freeze dried turmeric were carbohydrate 72.90%, moisture 5.74%, crude protein 10.02%, crude fat 4.67%, and crude ash 6.69%,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turmeric were calcium (Ca) $2,294.77mg\;kg^{-1}$, potassium (K) $28,780.54mg\;kg^{-1}$, magnesium (Mg) $2,826.90mg\;kg^{-1}$, sodium (Na) $1,826.58mg\;kg^{-1}$, iron (Fe) $190.94mg\;kg^{-1}$, and manganese (Mn) $620.16mg\;kg^{-1}$. The vitamin contents of turmeric were pantothenic acid 1.040 mg/100 g, riboflavin 0.166 mg/100 g, thiamin 0.148 mg/100 g, pyridoxine 0.010 mg/100 g, and calciferol 0.008 mg/100 g,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protein of turmeric were 7.66 g%, and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1.45 g%, glutamic acid 1.07 g%, leucine 0.71 g%, phenylalanine 0.47 g%, and arginine 0.46 g%, respectively.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of turmeric were 225.81 mg%, and major free amino acids were asparag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and alanine. Especially, in the case of asparagine, it was highest.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were saturated fatty acid 45.09%, monoenes 8.62%, and polyenes 46.30%.

바지락젓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lam, Tapes japonica)

  • 김행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1호
    • /
    • pp.34-40
    • /
    • 1983
  • Clam, Tapes japonica, has been widely used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markets. More than thirty kinds of fermented fish and shellfish are presently available in the markets in korea.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taste compounds of the clam. The free amino acids as taste 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he clam, Tapes japonica, were analyzed by an amino acid autoanalyzer. Alanine (17.0%), glycine (15.5%), taurine (13.9%) were high in amount in the fresh clam and then glutamic acid, arginine, tyrosine, asparagine, lysine, threonine, serine and leucine were the next in order. Such amino acids as methionine, phenylalanine, histidine and cystine were low in amounts. The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in the fresh clam was 45.5% of its extract nitrogen. During the fermentation of the clam, the kinds of the free amino acids were the same with the fresh samples although the amounts were changed. It is believed that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ysine, and leucine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taste compounds in the fermented clam.

  • PDF

안데스 작물 '아마란스'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 변화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Amaranthus Spe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Varieties in South Korea)

  • 홍수영;조광수;진용익;윤영호;김수정;남정환;정진철;권오근;손황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6-21
    • /
    • 2014
  • 본 연구는 강릉, 대관령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품종별로 수량,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총페놀함량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차이를 조사하고 국내 적응이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수량은 125~465 kg $10a^{-1}$의 범위였으며 RRC 1027 품종이 가장 많았다. 천립중은 0.42~0.82 g으로 아주 작았고 특히 Kerala Red 품종이 가장 가벼웠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강릉과 대관령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품종별로는 유색품종인 Kerala Red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994{\sim}1,732mg\;kg^{-1}$의 범위를 보였다. 종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분석 결과 glutamic acid 30.5 mg $100g^{-1}$, aspartic acid 26.1 mg $100^{-1}$, arginine 24.3 mg $100g^{-1}$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에서 아마란스 재배는 수량 등에 서도 안정적이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등 곡물에 부족할 수 있는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새로운 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산화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닭 우모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eratinolytic Protein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 김세종;조천휘;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6-92
    • /
    • 2010
  • 양계장 부산물 시료로부터 우모 분해세균 31균주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우모 분해세균에 대해 16S rRNA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irmicutes (21균주), ${\gamma}$-proteobacteria (4균주), Actinobacteria (4균주) 그리고 Bacteroidetes (2균주) 계통군에 속하는 다양한 세균이 확보되었다. 우모 분해세균 중 우모 분해율이 75-90% 이상인 우수균주 Chryseobacterium sp. FBF-7,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BS-4 그리고 Lysinibacillus sp. FBW-3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를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법과 Ca(OH)2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661.6 ${\mu}mol$/ml로 선발 균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과 유사하였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생성된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은 619.3 ${\mu}mol$/ml로 총 아미노산의 37%를 함유하였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한 경우, 596.9 ${\mu}mol$/ml의 필수 아미노산을 생산하여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va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그리고 proline이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cysteine 그리고 tyrosine이 화학적 추출법보다 더 높게 추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