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botrys dactyloid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Fertilizers and Neem Cake Amendment in Soil on Spore Germination of Arthrobotrys dactyloides

  • Kumar, D.;Singh, K.P.;Jaiswal, R.K.
    • Mycobiology
    • /
    • 제33권4호
    • /
    • pp.194-199
    • /
    • 2005
  • Application of fertilizers such as urea, diammonium phosphate (DAP) and muriate of potash in soil adversely affected the spore germination of Arthrobotrys dactyloides. Amendment of soil with urea at the concentrations of 1.0%, 0.5% and 0.1 % completely inhibited spore germination and direct trap formation on the conidium, whereas muriate of potash delayed and reduced the spore germination even at the lowest concentration. DAP also inhibited spore germination at 1.0% concentration, while at lower concentration the percentage of spore germination was reduced. Application of neem cake at the concentration of 0.5% also inhibited spore germination after 24 h of amend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neem cake was reduced after 15 days of amendment, while after 30 days after amendment the inhibitory effect was completely lost and the spore germinated by direct trap as in unamended soil. Nematodes were not attracted to ungerminated spores after 24 h of amendment. After 15 days of amendment nematodes were attracted to agar blocks containing fewer germinated spores after 24 h of incubation but after 48 h of incubation large number of nematodes were attracted and trapped by the germinated spores with direct traps. After 30 days of amendment, larger number of nematodes were attracted and trapped by direct traps.

선충포획성 Arthrobotrys속균에 의한 소나무재선충 포획 특성 (Characteristics of Pinewood Nematode Trapping by Nematophagous Arthrobotrys spp.)

  • 이각중;구창덕;성주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2
    • /
    • 2008
  • Arthrobotrys속 균은 불완전균으로 토양선충을 포획하는 살선충 곰팡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충포획성 균종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균사생장, 선충 포획기작의 특성, 그리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능력을 이해하여 살선충 효과가 높은 균종을 알고자 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a)에 접종해 증식시켰으며 여기에 Arthrobotrys속 3종 각각의 균사배양체 $1\;cm^2$씩 접종하고 배지, 온도, pH, 소나무재선충 접종밀도, 영양조건이 균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A. conoides의 생장이 가장 빨랐으며(13.9 mm/day, PDA) A. dactyloides가 가장 느렸다(3 mm/day, PDA). 3가지 균의 생장은 PDA배지, $25^{\circ}C$, pH 4.5의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A. conoides 균과 A. oligospora 균은 500마리의 재선충 접종으로 생장이 촉진됐으나, 10,000마리 접종으로는 느려졌다. A. dactyloides는 산성에서 생장하지 않았으며 재선충이 많을수록 더 느렸다. A. conoides와 A. oligospora의 선충포획기관은 균사보다 굵은 고리들의 망상 구조로서 선충 존재시만 형성되었으나, A. dactyloides의 포획기관은 단일한 원모양으로 선충이 없어도 형성되었다. A. conoides가 A. oligosora보다 포획기관 형성이 빨랐으며, 재선충 포획 후 균사가 재선충 내부로 침입하여 작고 많은 침입구(infection bulb)를 만들고 선충을 소화하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포획기관의 수가 적었고 포획도 하지 못하였다. A. conoides의 재선충 감염율은 95%였고, A. oligospora의 감염율은 80%였다. 그리고 위 두 균의 조합접종에 의한 선충감염율은 92%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오히려 재선충의 밀도를 증가시켰다. A. conoides 균은 빠른 생장률과 초기 포획으로, A. oligospora는 균밀도를 증가시켜서 재선충 감염율을 높였다. 결론적으로 A. conoides균은 균사생장률과 재선충감염율이 높으므로 소나무재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Screening of Different Media and Substrates for Cultural Variability and Mass Culture of Arthrobotrys dactyloides Drechsler

  • Kumar, D.;Singh, K.P.;Jaiswal, R.K.
    • Myco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15-222
    • /
    • 2005
  • Variability in growth and sporulation of five isolates of Arthrobotrys dactyloides was studied on five agar, 6 bran and 5 grain media. Potato dextrose agar (PDA) supported maximum growth of isolate A, C and E, while growth of isolate Band D was significantly lower on this medium. On Czapek's agar and yeast glucose agar media the differentiation in the isolates in relation to growth was poor than PDA. The other two media showed much poorer differentiation. On Czapek's agar medium, sporulation was recorded in isolate B only, whereas other isolates showed rare sporulation. Among the bran media, pea bran agar medium supported maximum growth of all the isolates except isolate B. Gram and rice bran agar media were next best. However, the growth of isolate B on the gram bran agar medium was more or less equal as other isolates. On pigeon pea bran agar medium, isolate E failed to grow while other isolates recorded poor growth. On lentil bran agar medium, only isolate Band D recorded little growth, whereas other isolates failed to grow. All the isolates recorded good sporulation on bran agar media except pigeon pea and lentil bran agar media. The grain agar media supported moderate to very good growth of all the isolates. In general isolate B remained slow growing on these media except gram grain and sorghum grain agar media on which growth of this isolate was comparable to other isolates. Sporulation in general, was good on all the grain agar media. Among different substrates screened, barley grain and pea bran were found superior to others for mass culture of isolate A of A. dactyloides.

선충 포식성 곰팡이를 이용한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Root-Lesion Nematodes(Pratylenchus spp.) by Nematode-Trapping Fungi)

  • 손흥대;김성렬;최광호;추호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3-407
    • /
    • 2000
  • 잎들깨 재배지에서 직$\cdot$간접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서 3종의 선충포식성 곰팡이, Arthrobotrys oligospora, A. conoides와 A. dactyloides의 선충방제 효과를 포장시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3종의 Arthrobotrys는 1998년 잎들깨 재배지 토양에서 분리하였으며, 이들 곰팡이들은 한천배지상에서 끈끈이그물 또는 수축성 올가미와 같은 특이한 균사구조를 형성하여 뿌리썩이선층을 포획하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야외포장 실험결과, 대조구에서는 40일 경과 후 식물기생성 선충 및 뿌리썩이선충의 밀도가 약 3.5배 증가한 반면 선충포식성 곰팡이 A. oligospora와 A. conoides 처리구에서는 단지 선충의 밀도가 큰 증감없이 접종 전의 수준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 처리구에서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밀도를 약 65%, 뿌리썩이 선충의 밀도를 약 53% 감소시켜, 선충포식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PDF

A New Technique for Single Spore Isolation of Two Predacious Fungi Forming Constricting Ring

  • Singh, Kalika Prasad;Kumar, Dharmendra;Bandyopadhyay, Pinaki
    • Myco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97-198
    • /
    • 2004
  • A new technique for single spore isolation was developed for predacious fungi forming constricting rings directly on the spores using Dactylaria brochopaga and Arthrobotrys dactyloides. Constricting rings were induced directly on the spores by transferring the spores in 25 ppm solution of DL-Valine in sterile distilled water. Freshly hatched and thoroughly washed second stage juveniles of Meloidogyne incognita were transferred into cavity blocks containing induced rings for trapping and killing of nematodes. The killed nematodes were surface sterilized with streptomycin and inoculated into petri dishes containing maize meal agar media with 100 ppm streptomycin. The petri dishes were incubated at $29{\pm}1^{\circ}C$ for few days which yielded axenic culture of these fungi.

식물기생성 선충 포식곰팡이의 형태 및 계통분류학적 특성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Nematophagous Fungi)

  • 강두선;전한기;손희성;황경숙;조천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01-106
    • /
    • 2007
  • 국내 다양한 토양시료로부터 우수 선충포식곰팡이 9 균주를 선발하였다. 순수분리된 선충포식곰팡이는 포식기관의 형태에 따라 3차원적 점착성 그물구조(3-dimensional adhesive nets)를 나타내는 선충포식곰팡이(A 그룹), 2차원적 점착성 그물구조(2-dimensional adhesive nets)를 나타내는 선충포식곰팡이(B 그룹)와 수축성 고리구조(constricting ring)를 나타내는 선충포식곰팡이(C 그룹)로 크게 3개의 형태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각 그룹에 속하는 선충포식곰팡이의 균사체, 분생포자병, 분생포자의 모양과 크기, 분생포자 형성 개수, 분생포자 마디(node), 분생포자 격막의 수와 격막의 위치, 휴면포자의 형성과 크기 및 색 등 형태학적 특징과 선충포식곰팡이의 rDNA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된 포식곰팡이는 Monacrosporium thaumasium(Kan-2, Kan-4, Kan-11), Arthrobotrys oligospora(Kan-9, Kan-13, Kan-20, Kan-21), A. musiformis (Kan-12), A. dactyloides(Kan-22)로 동정되었다.

서식 환경에 따른 선충잡이곰팡이의 종류와 분포 (Distribution of Nematophagous Fungi Under Different Habitats)

  • 김동근;배수곤;신용습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3-126
    • /
    • 2001
  • 국내 남부지역의 논, 밭, 산, 시설재배지 토양 총 43점에서 선충잡이곰팡이를 조사하여, 9종의 포식성곰팡이와 2종의 기생성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논 토양에서는 1종이 분리되어 선충잡이곰팡이의 검출률이 가장 낮았고(17%), 산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여 두 번째였으며, 밭과 시설재배지에서는 거의 100% 선충잡이곰팡이가 검출되었다. 우점종은 Arthrobotrys oligospora로 국내 토양 4곳 중 1곳에 서식하며, 시설재배지 토양에서는 2곳 중 1곳에 서식하고 있었다. 선충잡이 도구 중에서는 끈끈이그물(Adhesive nets)을 이용하여 선충을 포식하는 종류가 전체의 72.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수축성올가미를 가진 A. dactyloides (10.0%), 끈끈이균사를 가진 Cystopage lateralis 7.8%, 내부기생성곰팡이 5.0%, 끈끈이봉을 가진 Monacrosporium ellipsosporum 4.8% 순이었다. 선충잡이곰팡이의 종이나 밀도는 서식 지역에 따라 다르며 토양이 비옥한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선충잡이곰팡이의 종과 밀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