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t-Villag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유휴산업시설 재생공간의 장소성이 방문만족도와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 문래예술창작촌의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Place on Regeneration Space us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Length of Stay - Focused on Visitors of Mullae Art Village -)

  • 윤한;윤희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공간 방문자들의 장소성이 방문만족도와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문래예술창작촌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결과, 문래예술창작촌의 장소성 요인인 매력성, 의미성은 방문만족도와 체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역사성은 방문만족도와 체류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만족도는 체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공간의 장소성을 진단하고, 추후 도시공간 계획가 및 관리자가 유휴산업시설 재생공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Urban Forest Composition Using Needs Analysis - Targeting Paju Heyri Village

  • Kang, Byong-Rho;Koo, Ja-Houng;Kim, Hyoung-Tae;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87-94
    • /
    • 2018
  •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y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in Paju Heyri art village. Urban forest composition attributes (4 categories and 16 items) were extrac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asked to the level and the current level for tourists, local residents and workers in Paju Heyri art village. And the priority order for the creation of urban forests was deriv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level (performance) and the required level (importance) and the requirements analysis procedure. In this study, the priorities of each item of urban forest formation attributes were determined. The t-test alone had limitations, so we calculated the Borich needs which were not covered by the existing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 We used the Locus for Focus Model, which is a method for visually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required value for the required level in the 4-quadrant coordinate pla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even priorities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the formulation of urban forests and operational strategies and can be a basic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urban forests in the future.

<짐가제굿>에 나타난 살(煞) 막음의 의미와 제의적 성격 (A study on the correlations of between the ritual feature and the narrative)

  • 이경화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225-248
    • /
    • 2019
  • <짐가제굿>은 함경도의 망묵굿에서 구송되는 무가로, '살(煞)이 들어오는 걸 막는 거리'로 알려져 있다. <짐가제굿>은 서사의 길이가 짧고 조사된 각편의 수가 적으며 추가 조사 또한 어렵다. 이에 <짐가제굿> 연구는 현재도 연행되며 서사가 유사한 <차사본풀이>와의 비교 속에서 이루어졌다. <짐가제굿>을 보다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짐가제굿>을 중심에 두고 논의되어야 하며, <짐가제굿>의 '살이 들어오는 걸 막는 거리'의 제의적 역할과 서사의 상관성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짐가제굿>의 서사 속 살을 막는 화소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짐가제굿>은 강림골이 주요 배경으로 나타나며, 마을 외부인의 죽음과 그 한을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개인의 문제가 마을의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로 인해 문제의 영향이 마을 전체에 미쳤으며, 마을 구성원 간에는 공포의 감정을 공유했다 이에 원혼의 해원, 악인의 징치와 더불어 살을 막아 마을 사람들의 두려움을 해소함으로써 완전한 해결이 이루어졌다고 논의했다. 나아가 <짐가제굿>은 개인굿인 망묵굿에서 구송되나 서사 속 살 막음의 의미를 통해, 이 거리는 그 제의적 기능이 개인굿의 범위를 넘어 마을의 안녕을 위한 거리로서 기능한다고 논하였다.

도시공간의 생산과 전유에 관한 연구 -서울 문래예술공단을 사례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Urban Space and Appropriation Activity: The Case of Mullae Art Village in Seoul)

  • 윤지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33-256
    • /
    • 2011
  • 본 논문은 현대 도시공간의 파편화와 소외현상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주체적인 극복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사회적 움직임의 공간적 맥락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를 이론적 배경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고 특히 Lefebvre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고찰하도록 하겠다. Lefebvre의 공간생산이론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본 논문은 실 세계에서의 공간적 맥락을 담보로 한 사회 구성원들의 움직임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서울 문래예술공단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문래동과 관련된 통계 자료 수집 및 예술인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들이 행하는 공간적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소외 현상 극복의 실마리를 포착하는데 주력하였다.

Natural Dyes on Indonesian Traditional Textiles - A Case Study: Geringsing Woven Fabric, In Tenganan Pegeringsingan Village Bali -

  • Widiawati, Dian;Sn, S.;Sn, M.;Rosandini, Morinta;Ds, S.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2
  • Indonesia has a wealth of traditional textiles that are spread in every corner of its region, each of them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uniquennes. Among the diversity of decorative and techniques used, there are also peculiarities arising from the coloring techniques, that is staining with natural dyes. The existence and the authenticity of the coloring techniques are still retained in some places in Indonesia until today. Generally, these societies make the fabric-making process as part of the ritual beliefs. One of which are the societies in Tenganan, Bali, an area in Bali which always use fabric as an important part in every traditional ceremony. The fabrics is known by the name Geringsing. The typically color which shown and also the sacred values that accompany make Geringsing a very special woven fabric and cannot be found in other areas. This is one of the local geniuses that need to be preserved. In addition to its unique techniques and special materials, Geringsing woven also keeps its myth and its philosophy. The emersion of Geringsing woven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trust in God Indra as the main protector deity. The necessary initial process of making Geringsing is holding special ceremony attended by various circles of Tenganan village society. People in Tenganan believe that Geringsing is a precious heritage avoiding all diseases and disorders of evil spirits.

장소의 문화화를 타겟으로 한 농촌마을 권역종합정비사업 모델 - 영천시 가상권역 사업을 중심으로 -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Model on Target for Strengthening Culture of Place)

  • 한성미;엄붕훈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165-177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Gasangri, Yeongcheon city area, based on the use of the cultural factors and strengthening them in study area. Unlike other cases of today's Korea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keenly concerns not only for tourists but also for the village people. Since culture means the quality of life also, this project especially deals with 'community', 'well-being', and '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it attempts to connect with "Cyan Museum", which is the first grade art gallery remodelled from closed school, to make village of culturally abundant atmosphere. In result, seven sub-projects of the expansion of basic living foundation, and two improvement of landscape in area have planned. Among stereotyp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imilar programs of tourism, the project makes difference on targeting for the meaning and resource of place culture.

역사문화경관 이미지가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 - 경주시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mages on Healing Characteristics - Around the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

  • 천겅;이선호;이영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8
    • /
    • 2021
  • 집중력회복 이론(ART)에 의하면 인간이 치유특질을 가진 경관을 경험하면 의도적인 집중력으로 유발된 정신적 피로감이 치유될 수 있다. ART에서는 다양한 경관이 치유특질을 가질 수 있다고 인정하고, 경관의 네 가지 치유특질은 지각강도가 클수록 치유효과가 강해진다고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치유경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연경관과 도시경관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RCS를 이용하여 양동마을 경관을 대상으로 치유특질을 평가하고, 치유특질이 대상지경관의 방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양동마을경관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를 평가하여, 경관이미지가 경관의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주시 양동마을이며, 127명의 대학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SD 16항목, 치유특질을 평가하기 위한 Laumann (2001)의 RCS 22항목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SD법을 통해 양동마을의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양동마을 경관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장소성 요인과 특이성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RCS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경관 이미지가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출된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이 방문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인 방문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는 매력·적합, 탈출감, 공간감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RCS의 신뢰성을 재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여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산업 유휴공간의 문화재생을 통한 지역 변화 비교연구 - 문래동 문래예술공장, 금천구 금천예술공장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Local through Cultural Regeneration of Industrial Idle Space - Focused on Mullae-dong Mullae Art Factory, Geumcheon-gu Geumcheon Art Factory -)

  • 한민지;이희정
    • 국토계획
    • /
    • 제54권1호
    • /
    • pp.108-1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lan reflecting the place in cultural regeneration was implemented and whether it was a change of place in culture through culture analyze. Mullae-dong has changed its urban structure into a textile factory, a manufacturing industry, an ironworks+artistic complex, and the Mullae art factory has been organizing a festival that has been created by artists and residents alike in the Mullae creative village. However,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Mullae art factory in the social element, self-sustaining programs of Mullae creative villages were derived, but now commercial space is mainly deri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for coexistence of ironworks, cultural space and commercial space rather than expanding into commercial space. Geumcheon-gu Geumcheon-gu Geumcheon Art Factory has become an integrated complex where various industries coexist in industrial complex. Geumcheon Art Factory also holds an artist support program every year and actively works as an international creative exchange center in Seoul. However, programs that act as a mediator are not implemented since 2014, and the Open Studio stops once a year. Therefore, Geumcheon-gu needs to expand programs that can include local programs and programs that can be combined with local cultural media.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제안 - 커뮤니티퍼니쳐를 중심으로 - (Suggestion of Community Design for the Efficiency of CPTED - Focused on Community Furniture -)

  • 이호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9권
    • /
    • pp.305-318
    • /
    • 2017
  • 도시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도시환경설계와 관련하여 범죄예방에 관한 공간 디자인연구와 각종 지침 작성 등 구체적 접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셉테드' 라고 표기)"의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리동 소금길은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범죄예방 디자인프로젝트'가 적용된 첫 대상지이다. 사업시행주체와 커뮤니티 구성원의 협업 및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 환경개선이라는 사업목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의 효율성이 입증되어 이후 대상지가 확대되며 각 지자체의 벤치마킹 사례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노력은 공공미술을 도입하여 낙후지역의 문화증진과 주민참여 유도 등 쾌적한 마을 만들기를 목표로 2009년부터 시행되어오고 있는 '마을미술프로젝트'와 목적과 방향에서 같은 맥락을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커뮤니티의 기능과 가치라는 특성을 중심개념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거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CPTED의 효율성 증대 방안으로 커뮤니티퍼니쳐 적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CPTED와 커뮤니티디자인, 공공미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와 '마을미술프로젝트'의 대표적 성공 사례지 서울 염리동과 부산 감천문화마을 현장답사를 토대로 문제점과 시사점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두 사례지 공통적 요소는 첫째, 환경의 물리적 조성 외 협업에 의한 커뮤니티 활성화로 지역주민의 '삶'이 중심에 놓이는 환경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커뮤니티디자인과 공공미술 도입으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여 많은 이들의 방문으로 마을의 활기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루었다. 셋째, 이로 인해 CPTED 요소중 자연적 감시와 영역성과 통제력, 활동성 증대를 강화시켰다. CPTED의 심리적 측면과 공공미술의 정서적 기능이 '커뮤니티퍼니쳐'와 융합됨으로써 지역민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특정한 지역적 맥락을 통해 공공공간에 대한 막연하거나 거창한 접근을 지양하고 모두에게 유익한 환경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CPTED와 공공미술의 융복합 성과의 개연성과 시사점은 도시재생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 CPTED 적용 공간 확장 등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 및 시각적 어메니티 구현 방안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