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선진 기술 현황 분석 및 적용 방안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Strategies for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 김태영;강주연;김건;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9-182
    • /
    • 2018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제도적${\cdot}$행정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기록관리 영역에 신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 선진 기술을 적용한 국내외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에 기록관 이외에 도서관, 박물관을 포함한 이유는 해당 기관들이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 하나의 범주로 포괄되기 때문이며,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에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 적용 시 문제점, 적용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변화된 전자기록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보훈복지 관점에서 살펴본 미 육군의 인사기록 관리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Personnel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U.S. Army in terms of Veterans' Welfare)

  • 김용찬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259-286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보훈복지 사업 추진을 위한 근간이 되는 군 인사기록의 중요성과 철저한 기록관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미 육군의 사례(육군 군 인사기록(AMHRR), 양방향 인사 전자기록 관리 시스템(iPERMS), 기록정보서비스)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 군에 적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훈복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사회 저변에 군을 예우하는 풍토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 김소연;이은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7-10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정보 서비스의 연구 성과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의 정의, 유형, 대상을 검토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183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내용분석은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양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추이 분석과 더불어 노드엑셀을 활용하여 확대된 내용분석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가 2006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적용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논의의 대상과 연구방법, 게재 학회지 등이 편중되어 있는 한계 또한 확인하였고, 향후 논의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Evaluat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Subject Repository: Focused on the 5·18 Archives

  • Lee, Dae-Hong;Hong, Hyun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85-10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the users by evalu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chives, which is a representative,special subject repository, using the SERVQUAL model. To do thi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such as service satisfaction of the archive users, overall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of the 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eveloped service evaluation factors by considering the special subject repository.

기록관리기관 이용 학술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Academic Researchers Using Archival Institutions)

  • 성면섭;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9-138
    • /
    • 2020
  • 현재 대부분의 기록관리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는 기관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와 학술 목적의 이용자들에게 민원 성격의 행정적 절차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 학술 목적 이용자의 연구 활동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기관의 주요한 이용자 집단인 학술연구자들이 주로 연구에 활용하는 정보원, 기록관리기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경험 및 인식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기록관리기관의 효과적인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진행하여, 75명의 설문결과와 8명의 면담결과를 받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구자 배경정보, 활용 정보원, 기록관리기관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 활용, 개선 요구사항 및 희망서비스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리기관의 바람직한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 김현지;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78
    • /
    • 2009
  • 이 연구는 대학기록관에서 웹을 통해 제공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웹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주와 내용을 파악하여,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가 있는 국내 대학기록관 몇 곳을 선정하여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결과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의 미션과 비전을 설정하고 제시해야 한다. 둘째, 소장기록의 목록과 기록컬렉션에 대한 소개를 상세히 제공해야 한다. 셋째, 상세검색, 재검색, 원문검색 기능 및 검색방법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 전시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뉴스레터를 제공해야 한다.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의 상호보완적 고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mplementary Advancement Plan for the Archival Description and Content Service)

  • 고은지;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1-174
    • /
    • 2022
  • 기록 기술은 기록의 검색과 이용에 필수적인 도구로써 기록의 활용에 있어 핵심적이다. 콘텐츠 서비스는 기록의 활용과 콘텐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핵심적인 서비스다. 이 연구에서는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를 다른 영역으로 볼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관계로 보았다. 기록 기술이 풍부하게 갖추어져 있으면 이를 기반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만든 콘텐츠를 다시 기록 기술과 연계하여 기록 기술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의 상호보완적 관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의 기록 기술 및 콘텐츠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했고, 이와 비교할 모범사례로 영국의 TNA와 미국의 NARA, 서울기록원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를 선정하였다. 6개의 기관을 분석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 각각의 고도화방안과 상호보완적 발전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가 상호보완적 방향으로 발전하길 기대해본다.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of Users in the Internet Board of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Service)

  • 정경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303
    • /
    • 2006
  • 기록물에 대한 접근서비스는 그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인터넷 상에서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하여 인터넷에서 기록물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누구이고, 어떻게, 폐 기록물을 이용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록물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에 대한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sim2005$년간 국가기록원 게시판에 게시된 3,760건의 게시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들은 주로 기록관리 업무에 관련한 질문과 특정 기록물 요청을 위한 질문을 하고 있었다 게시판 이용자들은 공무원, 기록관리업무 담당자, 가족을 대신한 질문자, 학생, 연구자, 미디어 제작자 등이었으며, 주로 단답형 질문을 하고 있었다. 이들 질문에 대한 응답글은 평균 5일 내에 게시되었다.

  • PDF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Perception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 김두리;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7
    • /
    • 2014
  •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 기록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에서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들의 기록관에 대한 인식, 이용현황, 직원에 대한 평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47명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와 기록연구사와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의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자원기반학습을 위한 기록정보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of Archival Information for Resource-based Learning)

  • 한현진;이수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3-16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을 자원기반학습에 적용하여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집단과의 협력작업을 통해 기록-자원기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교수학습안과 일반적인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기록-자원기반학습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