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net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2초

미거지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nailfish, Liparis ingens (Gibert et Burke))

  • 김용억;박양성;명정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8-374
    • /
    • 1986
  • 1986년 1월 16일에 강원도 명주군 강동면 정동진리 앞 1 kim 연해에서 삼중자망으로 잡은 미거지 친어(전장: 60cm, 전장: 70m)를 채포 즉시 선상에서 건도법으로 인공수정시켜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에 대해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숙란은 많은 유구를 지니며, 난황이 담황색 또는 담자색인 구형의 침성점착난으로 난경은 $1.55{\sim}1.65mm$(평균, 1.59mm, n=28)이다. 실내사육수온 $7.09{\sim}10.99^{\circ}C$(평균, $8.79^{\circ}C$), 염분농도 $30.62{\sim}33.98\%0$(평균, $32.32\%0$)에서 수정후 747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4.40{\sim}4.85mm$로서 근절수 $12{\sim}13+40=52{\sim}53$이며, 아래턱, 난황등쪽, 배쪽 그리고 가슴지느러미위에 수지상의 흑색소포가 발달하며, 꼬리부분의 배쪽 막지느러미와의 경계상에 일열로 병행하여 흑색소포가 나타나 있다. 부화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 $5.15{\sim}5.25mm$이고, 배쪽 막지느러미위에 갈색소포가 줄지어 나타나며, 이포뒤에 몇개의 흑색소포가 나타난다. 부화후 7일째의 자어는 전장 $5.75{\sim}5.85mm$로서 난황이 상당히 흡수되고 두부가 커지며, 소화관이 발달한다.

  • PDF

Re-evaluation of the optimum dietary protein level for maximum growth of juvenile barr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reared in cages

  • Kim, Kang-Woong;Moniruzzaman, Mohammad;Kim, Kyoung-Duck;Han, Hyon Sob;Yun, Hyeonho;Lee, Seunghan;Bai, Sungchul C.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24.1-24.6
    • /
    • 2016
  • We determined the optimum dietary protein level in juvenile barr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in cages. Five semi-purified isocaloric diets were formulated with white fish meal and casein-based diets to contain 35, 40, 45, 50, and 60 % crude protein (CP). Fish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7.1{\pm}0.06g$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5 net cages (each size: $60cm{\times}40cm{\times}90cm$, $W{\times}L{\times}H$) as groups of 20 fish in triplicates. The fish were fed at apparent satiation level twice a day. After 8 weeks of feeding, the weight gain (WG) of fish fed 45, 50, and 60 % CP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35 and 40 % CP die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among fish fed 45, 50, and 60 % CP diets. Generally, feed efficiency (FE)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showed a similar trend as WG. However,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was inversely related to dietary protein levels. Energy reten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etary protein levels by protein sparing from non-protein energy sources. Blood hematocrit content was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s. However, a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hemoglobin was found in fish fed 35 % CP than in fish fed 40, 45, 50, and 60 % CP diets. Fish fed 60 % CP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than the fish fed 35, 40, 45, and 50 % CP diets. Broken-line analysis of WG showed the optimum dietary protein level was 45.2 % with 18.8 kJ/g diet for juvenile barred knifejaw. This study has potential implication for the successful cage culture of barred knifejaw.

양식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Epitheliocystis, Microcotyle sebastes 및 미동정 생물체의 혼합감염 (A mixed infection of epitheliocystis, Microcotyle sebstes and unknown aetiology in cultur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rom farms in Huksan Island)

  • 박성우;유진하;이경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4
    • /
    • 2009
  • 흑산도 근해의 가두리 양식장에서 아가미에 백색 결절을 주 증상으로 하는 조피볼락이 발견 되었다. 간과 신장에서는 병원균의 검출과 병리 조직학적인 변화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아가미의 경우, epitheliocystis, Microcotyle sebastes 및 아가미 새변의 연골내에 미동정 생물(unknown aetiology)의 cyst가 확인되었다. Epitheliocystis의 cyst크기는 약 44.1-68.9 $\mu{m}$이었고 주로 새변의 끝과 중간부위에 기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새변내의 cyst형성에도 불구하고 숙주의 반응은 미약했다. M. sebastes는 2차새변에 고착기를 이용하여 달라붙어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상피세포의 증생이 발생하였다. 미동정 생물체의 경우, cyst는 호산성의 물질로 충만되어 있었고 cyst전체가 연골에 의해 싸여 있는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cyst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새변의 크기가 증대된 것 이외에는 별다른 병리학적인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이들 기생충들의 의한 숙주세포의 조직반응은 미약하여 폐사는 유발되지 않았지만, 호흡과 삼투압 조절에는 장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수리적 접근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15-326
    • /
    • 1991
  • 본 조사는 노래미(Agrammus agrmmus)의 위만복도의 일주변화에 관한 수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표본은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1984년 9월부터 1985년 8월사이에 낚시와 삼중자강으로 채집된 것이다. 하루 중 위만복도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각각 한차례씩 증가하였고, 늦은 오전과 정오무렵 및 야간에는 감소하였다. 즉, 노래미의 섭식활동은 해뜰무렵과 해질무렵에 강하였다. 본 종의 하루 중 일주섭식활동은 위배출만 일어나는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단위시간당 위배출률과 섭식률, 위의 최대만복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위배출률은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 또는 $F_t$$t+\Delta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Delta t}$, 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분터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써 구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의 최대만복도는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F_t$$t+\Delta t$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배출률은 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았다. 본 종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가설들로부터 추논된 위배출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의 관계식은 각각 아래와 같다. $$F_t=F_{to}e^{-r(t-to)}$$, $$F_t=F\infty-(F\infty-F_{to})e^{-(p+r)(t-{to})}$$

  • PDF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Kori, Korea)

  •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3-642
    • /
    • 1994
  •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앨퉁이,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79.52\%$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1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52.39\%$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갈양태속어류가 $29.36\%$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쥐치, 조피볼락, 까나리 및 벵에돔이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4.3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연안쪽에서는 온배수 영향으로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에 서는 용승류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이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위내용물 분석 (Stomach Contents Analysis of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2-441
    • /
    • 1997
  •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섭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 사천시 신수도 연안에서 채집된 쥐노래미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쥐노래미의 표본은 0세군부터 3세군까지 채집되었으며, 이들의 주요 먹이 생물은 gammarids, caprellids, brachyurans 등이었으나, 어류의 연령이나 계절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랐다. 0세군은 copepods, gammarids, caprellids를 주먹이로 섭식하였고, 1세군은 0세군때 많이 섭식하였던 먹이 생물 중 copepods는 기의 섭식하지 않고 gammarids와 caprellids를 많이 섭식하였다. 2세군과 3세군은 1세군때 보다 caprellids를 적게 먹는 대신에 brachyurans, carideans 등 크기가 큰 먹이 생물을 많이 먹었다. 계절에 따른 먹이 생물의 차이는 연령에 따른 먹이 생물의 차리보다 컸다. 쥐노래미의 암, 수간에 먹는 먹이 생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환경생물 중 선택성이 높은 것은 gammarids, polychaetes, brachyurans 등이었고, 선택성이 낮은 것은 gastropods였다. 그 외 환경생물 중 먹이 생물로 이용되던 caprellids, sphaeromids, idoteids, copepods 등의 선택정도는 어류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어류가 섭식하는 먹이 생물의 크기를 보면, gammarids나 caprellids처럼 소형성 먹이 생물에 대해 쥐노래미는 성장할수록 큰 먹이 생물을 섭식하였지만, sphaeromids, brachyurans, polychaetes 등 대형성 먹이 생물에 대해 쥐노래미는 성장하더라도 일정 크기 이상의 먹이 생물을 섭식하지 않았다.

  • PDF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 사는 저서성 단각류의 겨울철 대상분포 (Winter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s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 서해립;유옥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8
    • /
    • 1997
  •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썰매네트로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 1m 수심의 표층과 저층과 바닷가에서 옆새우 단각류를 채집해서 우점하는 세 종의 대상분포를 비교했다. 단각류는 표층보다는 저층과 바닷가에 많이 나타났다. Pontogenera rostrata와 Allorchestes anusta의 밀도는 저층과 바닷가에서 대조보다 소조때 높았으나, Synchelidium lenorostralum은 소조때 더 낮았다. P. rostrata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수평이동을 했으나, S. lenrostralum과 A. angusta는 수평이동을 하지 않았다. 다른 두 종과 달리 P. rostrata는 낮보다는 밤에 유의하게 많이 나타나, 밤에 활발히 이동하는 듯하다. P. rostrata는 밀물때 밤에는 평균해수면 (MSL) 위 100cm까지 나타나지만, 낮에는 MSL 위쪽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썰물때는 낮과 밤 모두 MSL 부근부터 MSL 아래 150cm 사이에 분포했다. S. lenorostralum과 A. angusta는 썰물때만 나타났으며, 분포범위는 전자가 MSL 150cm보다 아래쪽, 후자가 MSL부근부터 MSL 아래 150 cm 사이였다. P. rostrata와 S. lenorostralum과 A. angusta의 최고 밀도는 각각 32, 26, 3마리/$m^2$였다. 그리고, 모래해안에 사는 단각류의 분포양상과 생활양식의 관계를 논의했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5. 붕장어통발의 개량실험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5. An Experiment for Modifying the Pot for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5-322
    • /
    • 1990
  • 본 실험에서는 붕장어통발의 가장 바람직한 형 및 구조를 알아내기 위해, 튜브형 그물통발, 사각주형 그물통발, 사각판형 그물통발 및 파이프형 통발을 사용하여 수단에서 그들의 붕장어 유입성능을 비교하고, 이들 중 유입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사각판형 그물통발과 파이프형 통발을 골라 해상에서 대통발 및 플라스틱통발과 어획비교 실험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붕장어 유입성능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좋고, 다음이 사각판형 그물 통발이며, 사각주형그물통발, 튜브형 그물통발로 갈수록 나빴다. 2) 파이프형 통발은 길이 50cm 짜리와 60cm 짜리 사이에 유입성능의 차가 없었고, 둘 다 붕장어의 입롱이 쉽게 빨리 일어나므로 통발접촉 마리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은 채 빨리 감소해가며, 통발투하 후 30분 이내에 접촉이 종료되었다. 3) 길이가 50cm되는 사각판형 그물통발에서는 그 높이와 입구 직경의 최소유효치가 각각 5cm로 나타났다. 4) 붕장어의 어획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사각판형 그물통발이었으며,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서는 서로간에 유의차가 없이 다같이 적었다.

  • PDF

저서성 단각류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와 주야-조석주기 (Intraspecific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in Relation to Diel and Tidal Cycles)

  • 유옥환;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0-507
    • /
    • 1998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1조석주기 동안 채집한 저서성 단각류 시료를 가지고. 주야와 조석주기에 따른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를 조사했다. p. rostrata의 밀도는 대조보다는 소조때 높았다. 개체군을 성체 암$\cdot$수컷과 미성체로 나누어 보면. 미성체와 수컷의 밀도가 각각 소조와 대조때 가장 높았다. 체장빈도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에 미성체의 사망이 큰 것 같다. 야간 표층에서 소조때는 미성체 그리고 대조때는 성체암$\cdot$수컷이 유의하게 많았다. 이것은 미성체와 성체의 수직이동 양상이 조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대조 밀물때 평균해수면 (MSL) 위에 나타난 p. rostrata의 $90\%$ 이상이 성체였다. MSL 위에서 암컷/수컷의 비율이 감소했고. 암컷의 체장은 변동이 없었지만 수컷의 체장은 증가했다. 이것은 몸이 큰 수컷의 활발한 이동습성을 가리킨다. 이런 행동은 큰 수컷의 분포역 확장으로 이어지고, 교미와 섭식경쟁에 있어 큰 수컷에게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체가 대조 야간에 MSL 위 100cm에서 채집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 p. rostrata 개체군은 대부분 MSL 아래에 머물렀다. 분포중심은 MSL 아래 50cm에서 200cm 사이였다.

  • PDF

한국 남해와 서해에서 출현하는 황아귀(Lophius litulon)의 위내용물 조성 비교 (Comparison of Stomach Contents of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in the South Sea and Yellow Sea, Korea)

  • 김도균;정재묵;이승종;강수경;성기창;강다연;진수연;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14-720
    • /
    • 2022
  • A dietary comparison of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in the South Sea and Yellow Sea was perform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Using a bottom trawl net from fisheries resources survey vessel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326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and 166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the Yellow Sea. The total length range of L. litulon was 5.3-68.4 cm for individuals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and 7.5-55.1 cm for individuals collected from the Yellow Sea. Based on the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and the variation in stomach contents by fish size, L. litulon was found to be a piscevore and a spatiotemporally opportunistic feeder fish that fed mainly on pis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stomach contents by season, loc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ason and the location. Thus, the diet of L. litulon is affected by the prey abundance and prey spectrum of the habi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