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수리적 접근

  • KIM Chong-Kawn (Biological Oceanography Laboratory, KORDI) ;
  • KANG Yong-Joo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종관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강용주 (부산수산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Published : 1991.09.01

Abstract

This study was tried for a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luctuations in the stomach fullness of Agrammus agrammus. The specimen was collected by angling and gill net from September 1984 to August 1985 off Shinsudo, Samchonpo. Fullness of the stomachs was increased in the early morning and the late afternoon, decreased in the late morning, at noon, and during the night. That is, feeding activity of the fish was more intense at sunrise and sunset. Daily feeding activity of the fish in a day was divided into the time period of gastric evacuation and both feeding and gastric evacuation. Stomach fullness with the lapse of time in the time period of gastric evacuation was geometrically decreased. Stomach fullness in the time period of both feeding and gastric evacuation was affected by gastric evacuation rates, feeding rates, and maximum fullness of the stomach. These parameters were able to estimate from the method estimat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t) and the stomach fullness$(F_t)$, or between stomach fullness at the time t and $t+\Deltat$. The rates of feeding and gastric evacuation were the highest in spring and the lowest in wint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t) and stomach fullness$(F_t)$ in the time period of gastric evacuation and both feeding and gastric evacuation induced from hypotheses were respectively as follows. $$F_t=F_{to}e^{-r(t-to)}$$, $$F_t=F\infty-(F\infty-F_{to})e^{-(p+r)(t-{to})}$$

본 조사는 노래미(Agrammus agrmmus)의 위만복도의 일주변화에 관한 수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표본은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1984년 9월부터 1985년 8월사이에 낚시와 삼중자강으로 채집된 것이다. 하루 중 위만복도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각각 한차례씩 증가하였고, 늦은 오전과 정오무렵 및 야간에는 감소하였다. 즉, 노래미의 섭식활동은 해뜰무렵과 해질무렵에 강하였다. 본 종의 하루 중 일주섭식활동은 위배출만 일어나는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단위시간당 위배출률과 섭식률, 위의 최대만복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위배출률은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 또는 $F_t$$t+\Delta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Delta t}$, 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분터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써 구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의 최대만복도는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F_t$$t+\Delta t$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배출률은 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았다. 본 종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가설들로부터 추논된 위배출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의 관계식은 각각 아래와 같다. $$F_t=F_{to}e^{-r(t-to)}$$, $$F_t=F\infty-(F\infty-F_{to})e^{-(p+r)(t-{to})}$$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