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Chemistry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32초

미생물을 이용한 저식염 멸치젓의 속성발효에 관한 연구 1. 젓갈에서 분리한 단백질분해균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pid Fermented Anchovy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s by Adapted Microorganism 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oteolytic Bacteria and their Extracellular Pretense Isolated from Fermented Fish Paste)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3-369
    • /
    • 1989
  • 산업적으로 속성젓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우선 시중 젓갈에서 단백질분해력이 강한 균주 4 종을 분리하여 속성 분해정도와 분해 생성물의 풍미를 비교 검토한 결과 B. subtilis p-4 및 B. licheniformis p-5 균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그 pretense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pH 7.0, $40^{\circ}C$ 식염$1\%$ 농도에서 균체 및 조효소 활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때의 비증식속도는 p-4 균 및 p-5 균이 각각 0.48/hr, 0.49/hr이었고, 최대 효소활성 농도는 p-4 는 30시간 후 335n mole-Tyr/min.ml, p-5는 28시간 후 300n mo1e-Tyr/min.ml이였다. 그리고 sephadex G-100 겔 여과에 의한 효소 정제도는 조효소에 비해 비활성이 p-4 및 p-5 균 protease의 경우 각각 25.4배, 8.6배씩 증가하였으며, pH 7.0, $50^{\circ}C$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겔여과에 의한 분자량은 p-4가 18,000, p-5 protease가 30,000이었고, 저해제의 효과에서는 두 Protease 모두 $Ni^{2+},\;Cu^{2+}$ 이온과 EDTA, o-phenanthroline에 의해 강하게 활성이 소실되는 것으로 보아 metal chelator sensitive neutral protease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I. 적색육어의 배소 및 재가열에 의한 지질의 산패 (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1.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Dark Muscled Fish)

  • 이강호;조호성;이종호;심기환;하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08-713
    • /
    • 1997
  • 어류의 배소 산화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적색육어인 고등어와 꽁치를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배소한 것과 배소한 시료를 저온 $(5^{\circ}C{\pm}2^{\circ}C)$에서 저장한 후 가열 및 재가열 했을 때의 지질 산패도를 조사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경우 고등어가 $36.7\%$, 꽁치가 $28.4\%$ 였으며, monoene산은 $33.0\%$$20.2\%$였다. 또한 polyene산에서는 고등어가 $29.9\%$ 인 반면 꽁치는 $49.7\%$였다. 고등어와 꽁치의 불포화지방산대 포화지방산 (UFA/SFA)의 비는 1.7과 2.5였으며, 특히 고등어는 총 지질 함량이 $16.5\%$로 꽁치보다는 높지만 UFA/SFA는 오히려 낮은 지방산 조성상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과산화 물가는 고등어에 있어서는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계속 증가하였으며, 최고값은 51meq/kg였다. 꽁치는 가열 후까지 증가하였으나, 재가열 후 감소하였다. 카르보닐가의 경우 적색육어인 고등어나 꽁치 모두 배소에 의해 생성된 카르보닐화합물이 가열, 재가열 후에도 계속 증가하였으며, TBA가는 배소 및 가열 후 증가하였으나 재가열 후 크게 감소하였다.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꽁치가 고등어보다 생성된 유리지방산이 많았다. 공역이중결합은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180^{\circ}C$에서 배소한 것이 $200^{\circ}C$$220^{\circ}C$에서 배소한 것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따라서 같은 적색육어라도 배소에 의한 산화의 경우 지질 함량보다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더 큰 영향을 받았으며 또한 어피가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시판 마른 멸치의 종류에 따른 지방산 함량 (Fatty Acid Content of Five Kinds of Boiled-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 이응호;오광수;이태헌;정영훈;김세권;박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86
    • /
    • 1986
  • 수산식품의 가공 및 저장중 지방질성분의 변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서 tricosanoic acid (23:0)를 내부표준물질로 하여 시판 마른멸치의 지방산을 측정하였다. 시판 마른멸치의 조지방질함량은 대멸 $16.9\%$, 중멸 $12.5\%$, 소멸 $9.5\%$, 자멸 $8.7\%$ 및 세멸이 $7.6\%$이었다. 마른멸치의 산값은 $14.9{\sim}20.1$, 과산화물값은 $22.4{\sim}89.8meq/kg$ lipid, 카아보닐값은 $14.7{\sim}49.6meq/kg$ lipid의 범위로서 마른멸치의 개체가 커질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다. 각 마른멸치제품의 지방산함량은 지방질 1g당 23:0의 mg 수로 나타내었을때 대멸이 562.8mg, 중멸 572.2mg, 소멸 542.8mg, 자멸 587.7mg 및 세멸이 568.8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지방산은 16:0, 16:1, 22:6, 18:1, 20:5 및 14:0 등이었다.

  • PDF

말쥐치육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 및 그 물성 I. 말쥐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 조건 및 Plastein의 합성조건 (Synthesi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s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Filefish Protein 1. The Conditions of Protein Hydrolysis and Plastein Synthesis from Peptic Hydrolysate)

  • 김세권;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2-292
    • /
    • 1987
  • 어육단백질을 이용한 새로운 식품소재개발을 목적으로 년간 약 20만톤이 어획되는 다획성 어류인 말쥐치육 단백질을 이용하여 plastein을 합성하였다. Plastein 합성을 위해 pepsin, $\alpha-chymotrypsin$, papain 및 protease을 이용한 말쥐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 조건과 plastein 합성 반응 조건을 구명하였다. 가수분해 최적조건은 papain, pepsin, $\alpha-chymotrypsin$ 및 protease의 경우, 온도는 각각 $50^{\circ}C,\;40^{\circ}C,\;55^{\circ}C$$50^{\circ}C$, pH는 각각 6, 2, 7, 8, 가수분해 시간과 효소첨가농도는 papain과 protease 는 4시간, $0.5\%$, papain과 $\alpha-chymotrypsin$은 24시간, $1.0\%$였다. 이들중 경제성을고려하면 pepsin이 plastein 합성기질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lastein 합성 최적조건으로서는 papain, pepsin, $\alpha-chymotrypsin$ 및 protease(from Streptomyces griseus)의 경우, pH는 각각 6, 4, 7, 6, 기질농도는 papain $50\%$, pepsin, $\alpha-chymotrypsin$ 및 prolease는 $40\%$였다. 온도는 4종의 효소 모두가 $50^{\circ}C$였다. Protease는 plastein 활성반응에 적합하지 않았다.

  • PDF

말쥐치육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 및 그 물성 , 3. Plastein의 기능성 (Synthesi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Filefish Protein. 3.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s)

  • 김세권;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82-590
    • /
    • 1987
  • 말쥐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 합성한 plastein을 식품단백질원으로서 고도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그의 기능성을 FPC 및 egg albumin과 비교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SEM에 의한 plastein 형상도 관찰하였다. 용해도는 plastein이 FPC 보다 용해도가 월등히 높았고, Glu-papain plastein은 pH변화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95\%$이상으로 높았으나 Leu-papain plastein의 용해도는 매우 낮았다.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FPC는 용해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lu-papain plastein은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81\%$이상이었다. 분산성은 Glu-papain plastein과 protease plastein이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ekfms plastein은 다소 분산성이 낮았다. 보수력은 FPC가 egg albumin보다 낮았으며, 지방흡수력은 Leu-papain plastein이 1.88ml/g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plastein은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다. 유화성은 Leu-papain plastein이 $61.2\%$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은 $50.7\%$로 가장 낮았다. 유화안정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다. 포말성은 Leu-papain plastein과 Glu-papain plastein이 각각 $373\%,\;360\%$로 egg albumin의 $130\%$ 보다 우수하였다. 포말안정성은 모든 plastein이 50시간 이후에 소실되어 egg albumin의 36시간에 비해 높았다. 점도는 모든 plastein이 egg albumin에 비해 낮았다. SEM을 통해 본 plastein의 형상은 처리한 효소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은 다른 plastein에 비해 특이한 부드러운 형상을 나타내었다.

  • PDF

CLA 급이가 우럭치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n Growth of Larval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최병대;강석중;염말구;하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20
    • /
    • 2002
  • 통영을 중심으로 한 우럭생산량은 연간 1,813M/T에 이르고 있으며, 과잉생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개선시키고 기능성 어류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언 성장촉진, 항암, 면역증강, 혈중 LDL 함량 저하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CLA를 이용한 기능성 우럭생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rtemia 영양강화시 CLA를 $0.5\~5.0\%$ 첨가하였을 경우 Artemia중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LA 함량은 높아졌고, 동시에 Artemia 특유의 지방산조성을 나타내어 지방산 대사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 사육 후 우럭근육 중 n-6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사료에 첨가된 지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3/n-6 PUFA 비가 자연산 우럭의 3.95보다 현저히 낮아 CLA 첨가가 많을수록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배합사료 중의 DHA 첨가가 증가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섭취한 우럭 근육 중 총 CLA 함량은 급이 량에 따라 각각 $6.57\~16.07\%$가 축적되어 CLA는 다른 지질성분과 함께 어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럭의 성장도, 사료효율, DHA/EPA 비, n-3/n-6 PUFA 비, 활력테스트, 혈액지수 둥을 비교하였을 때 $1.0\%$ CLA 첨가가 적절한 첨가량인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Partial Dietary Substitution of Meat Meal for Fish Meal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Cho Sung Hwoan;Lee Sang-Mok;Park Bum-Hee;Park In-Seok;Choi Cheol Young;Lee Sang-Min;Min Byung Hee;Hur Sung-Bum;Lim Young 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138-14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ally substituting meat meal for fish meal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winter season. Twenty-five fish (initial body weight, 23 g) were distributed into twelve 250 L flow-through tank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the control, MM20, MM40, and MM60 diets. Sixty percent mackerel meal was used as the primary protein source in the control diet. Meat meal was substituted for 20, 40, and 60$\%$ of the mackerel meal in the MM20, MM40, and MM60 diets, respectively.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However, th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the control, MM20, and MM40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MM60 diet (P<0.05). The feed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control, MM20, and MM40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MM60 diet (P<0.05).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fish fed the control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fish fed the MM40 and MM60 diets (P$\%$ substitution of meat meal for fish meal in the diet could be implemented without a reduction in growth or deterioration of the feed efficiency of juvenile olive flounder during the winter season.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I) Captafol의 수용성, 가수분해, 증기압, 옥탄올/물 분배계수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 (I) Water Solubility, Hydrolysis, Vapor Pressure, and n-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Captafol)

  • 김정한;이성규;김용화;김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71-75
    • /
    • 1997
  •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captafol의 수용성, 가수분해, 증기압, 분배계수를 표준 측정기법 인 미국 EPA와 OECD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수용성은 $25^{\circ}C$ 조건에서 2.24 ppm이었으며, 가수분해에 의한 반감기는 $25^{\circ}C$에서 77.8시간(pH 3.0), 6.54시간(pH 7.0), 0.72시간(p班 8.0)으로 나타나 알칼리 조건에서 불안정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산성조건에서의 반감기는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 알칼리 조건에서의 반감기는 $40^{\circ}C$에서 매우 짧았다. 가수분해 실험의 표준 대조물질인 diazinon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가수분해 실험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Captafol은 상온에서 증기압 ($8.27{\times}10^{-9}\;torr,\;20^{\circ}C$)이 높지 않으므로 휘발에 의하여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으리라 예상되었고, log P=6.94-(4401.6/T)라는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Captafol은 옥탄올/물 분배계수치가 높아(Kow=1,523) 먹이연쇄를 통한 생물농축의 가능성이 예상되나 가수분해가 빠르기 때문에 비록 captafol이 수계에 노출된다고 하여도 분해가 빠르게 일어나 어류 생체내에 농축되어 인체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VI -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으로부터 sterol의 분리 - (Deveo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VI - Isolation of Sterol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

  • 송명종;홍윤희;김동현;김대근;정인식;이윤형;김성훈;박미현;김인호;권병옥;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76-379
    • /
    • 2003
  • 쑥갓의 지상부를 Me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3종의 sterol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학구조는, NMR및 MS등의 스펙트럼을 해석하여, $stigmast-5-en-3{\beta}-ol\;(1,\;{\beta}-sitosterol),\;stigmast-4-en-6{\beta}-ol-3-one$ (2), $stigmast-4-en-6{\alpha}-3-one$ (3)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와 3은 육상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第1報) 부레옥잠의 유기물(有機物) 제거효과(除去效果)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제요인(提要因) (Studies on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Aquatic Plants - I. Removal of Organic Matter by Water Hyacinth and Factors Affecting It's Growth)

  • 변종영;이규승;이종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3-148
    • /
    • 1985
  • 미리용(未利用) 식물(植物)인 부레옥잠의 도시하수(都市下水)나 공장배수(工場排水)의 정화(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현장폐수(現場廢水)에 대한 실증실험(實證實驗)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해 나타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질(性質)이 서로 다른 현장폐수(現場廢水)에 적용한 결과에서 볼 때 부레옥잠의 유기물제거(有機物除去)는 대상 유기물의 종류(種類)에 따라 효율(效率)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고농도(高濃度)에서 평균처리효율(平均處理效率)이 높으며, 초기(初期)의 제거율(除去率)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레옥잠의 생장(生長)에 대한 최적(最適)pH는 중성~약산성이었으며, pH에 따른 피해는 산성보다 알카리성에서 더욱 컸다. 3. Nacl농도(濃度)가 0.5%인 경우는 36시간 후 뿌리 활성(活性)을 완전(完全)히 잃었으나, 0.01%에 있어서는 24시간 후까지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수온(水溫)에 따른 공시재료의 생장효과(生長效果)는 $17\sim21^{\circ}C$에서 높았으며, 수온(水溫)이 높아짐에 따라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어 $30^{\circ}C$의 경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차광(遮光)이 됨에 따라 부레옥잠 생장(生長)은 억제(抑制)되었으며, 그 경향은 기온(氣溫)이 낮아질수록 심하였다. 6.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부레옥잠의 개체증식(個體增殖)을 6월 14일부터 7월 19일까지 5주 동안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개체에서 12.3개체로 증식(增殖)되었으며 평균(平均) 생장(生長) 속도(速度)는 53.6g/week, 비교생장율(比較生長率)은 0.302g/g/week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