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ointment Examin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경험하는 임용시험 중도포기 및 탈락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An Ecologic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Drop-out and Opt-out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of Secondary School)

  • 조기범;김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임용고사 시험에 중도포기하거나 탈락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으로 학업중인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소 측면으로는 학업에 영향을 끼치는 현재 직업을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용고사 준비를 위한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결정 할 필요가 있었다. 개인 간 요소 측면으로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개인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었다. 조직 간 요소 측면으로는 학비지원의 미흡과 학업을 위한 부적합한 장소가 강조되었으며 실기 지도 강사 혹은 임용시험 준비반과 같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했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임용시험 대비 통합시스템'에 대해 소개하였다.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과목 출제경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Informatics·Computer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ubjects)

  • 양혜지;이원규;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1-19
    • /
    • 2018
  •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정보과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유일한 국가시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 문항 출제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이 처음 출제된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기출문제에서 문항을 수집하였다. 표시과목 정보 컴퓨터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의 틀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에는 기본이수과목의 개정과 임용시험 문항유형의 변경이 고려되었다. 총점에 대한 출제과목의 배점 비율을 분석하고, 학년도별 교과내용학 문항 출제경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 컴퓨터의 기본이수과목에서 출제과목과 문항유형이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기본이수과목의 과목 구성 및 이수 방법과 임용시험 출제경향의 괴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을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을 통해 학교 현장에 양질의 교사를 수급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보· 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프로그래밍 실기 평가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Evaluation of Programming Practice in Secondary Informatics· Computer Teacher Appointment Test)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10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소프트웨어 교육이 강화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는 컴퓨팅 사고력과 함께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정보과 교사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능력 평가를 통해 전문성 있는 예비교사가 선발될 수 있도록 정보·컴퓨터 2차 임용시험에서 실시되는 실기 평가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기존 정보·컴퓨터 임용시험을 분석하고, 교수와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기 평가의 개선 및 확대 방안을 제안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래밍 실기 평가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88%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 문항 수, 시험 시간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각각 C언어(51%), 5문항(66%), 2시간(56%)인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신임 경찰공무원의 채용절차상 적격성 검증 강화방안 (Police Officer's Verification Strengthening Device on New Appointment Procedure)

  • 김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39-147
    • /
    • 2007
  • 경찰은 거대한 직업공무원 조직인 만큼 신규채용의 규모 또한 크다. 1999년의 경우에는 공무원 집단에서는 이례적으로 한 해 동안 7,801명을 신규임용 하기도 하였다. 신규채용이 조직관리에서 갖는 의미는 과거보다 증대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개인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그간 신규채용시 적격성이 높은 자원의 선발을 위해 노력하여왔다. 그간 여러 차례 채용제도를 개정한 것도 이를 위해서였다. 그러나 아직도 경찰공무원 채용절차에는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전의경 제도의 폐지에 따른 경찰공무원 정원의 높은 증가를 앞둔 현 시점에서 적격성을 갖춘 자들을 신규채용하기 위한 방안들과 관련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직업공무원제의 인사원칙상 채용이후 해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중요성은 더욱 가중된다. 최근 경찰입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분석하면 과거에 비해 고학력자 등 외형적인 수준은 과거에 보다 높아졌다. 채용 경쟁률도 해를 거듭 할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높은 학력자가 우수자원이라는 등식이 깨진지 오래이며, 높은 경쟁률을 통해 선발된 자들도 절대적 우수 자원이라고 단언하는 것도 무리가 따른다. 본문에서는 경찰공무원 신규임용 절차의 내실화를 통한 적격자 선발방안을 채용시험과 시보 및 정규임용심사 단계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조선시대 의과시험의 실제 사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Actual Case of Medical Examin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국수호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7-57
    • /
    • 2021
  • The appointment of medical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through medical testing. To date, most of the research done on these tests has focused on the testing system and its formal qualities without any study of actual test cases.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examination format and contents through a test paper contained in the book "Joseonuihaksageupjilbyeongsa (朝鮮醫學史及疾病史)" by MikiSakae (三木榮). The literature confirms that the medical exam paper is the same format as "Gangji (講紙)," and that the test format called "Gangseo (講書)" is a very high-level test. Therefore, analysis of the case suggests that the format of the medical examination reflects the demand for high-quality medical learning for applicants. This consideration is meaningful because existing medical test papers are very rare.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기출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Previous Appointment Examinations for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9-3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 동안 시행된 정보 컴퓨터 표시과목 임용시험의 기출문항을 13개 기본이수과목으로 분류하고, 과목별 점수 및 문항수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기본이수과목 중에서 출제비율이 높은 6개 과목에 대해 평가영역별 점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들이 차지하는 점수 비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과목별 점수 비율은 0~17.1%, 문항수 비율은 0~15.8%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3개 과목은 연도별 점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분석 대상 과목들의 평가영역별 점수 비율은 0~52%로 분포되어 영역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 동안의 임용시험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의 점수 비율은 평균 3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제분쟁해결센터(ICDR)의 '긴급구제'제도('emergency relief' syste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Relief' System of International Centre for Dispute Resolution)

  • 오원석;김용일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1권1호
    • /
    • pp.239-257
    • /
    • 2011
  • This article examines the requirements of Article 37 of the ICDR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and issues that could arise if a party petitions a U.S. Federal Court to enforce an emergency arbitrator's Article 37 decision to grant pre-arbitration provisional relief. On May 1, 2006, ICDR introduced a new procedure for the granting of emergency arbitral relief under its ICDR Rules. The procedure enables a party to apply for emergency interim relief before the appointment of an arbitrator or tribunal to adjudicate the merits of the dispute. Instead, the application for emergency relief is considered by an emergency arbitrator appointed by the ICDR. In short, the ICDR has quickly appointed emergency arbitrator and resolved a challenge to an appointment within 36 hours. In addition, the emergency decisions have been issued within just a couple of weeks. In particular, we looked at what would happen after Article 37 emergency relief is granted. Based on my examination of U.S. cases on the enforceability of interim awards and orders, We conclude that U.S. courts would enforce Article 37 interim measures, whether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emergency arbitrator as an interim order or award. Where the situation warrants, arbitration executives should embrace and use emergency relief procedure of ICDR Rules.

  • PDF

보건교육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Korea)

  • 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5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st and present status and rol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fession. Results and conclus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various efforts for people's health.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was enacted in Korea in 1995. As the results of Korean Association for Health Education' intensive efforts, the national certificat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bill has been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on September 29, 2003.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recommend health promotion related corporaters, agencies and organizations to hire certified health education specialist. The first national examination for certificat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was held in March, 2010. As the result, a total of 2,246 applicants was passed for certificat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t is a serious concern that community residents' knowledge level of health is very low. therefore, the rol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with the professional ability to carry out health education is essential. It is clear that the activity of health educators is essential, Then, It is necessary articles related to the appointment of health educators in the official appointment regulation or law. Thus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must be appointed as a public officer in health centers, operaters or the health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교원자격검정 표시과목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 (The Establishment of Principal Themes of Basic Completion Subject in Common Social Studies(Geography) and Geography as an Indication Subject for Examination of the Teacher's Qualification)

  • 최원회;서태열;권정화;박철웅;박선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48-665
    • /
    • 2007
  • 현재의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교육과정은 교육부가 발행한 교원자격 실무편람 상의 기본이수과목만 제시하고 있고,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설정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의 미 설정 상태는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표준교육과정의 부재상태로 연결되고 있고, 급기야 해당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와 응시에 많은 애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21개 기본이수과목들을 대상으로 주요주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표준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평가요소'를 설정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특히,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과 '표준교육과정 작성'은 교육부가 2009년 동시시행 예정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편'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제도 개편'을 감안하면, 시의적절한 일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설정된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사정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재 연구되어야 한다. 기타, 표시과목 지리의 기본이수과목은 구성 자체에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