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elenchus avena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Aphelenchus avenae에 의한 인산 토양병의 억제효과 (Effects of Aphelenchus avenae on Suppression of Soilborne Diseases of Ginseng)

  • 김영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9-324
    • /
    • 1994
  • The monoxenic culture of the fungivorous nematode, Aphelenchus avenae, was applied for the control of soil-borne ginseng pathogens such as Fusarium solani and Rhizoctonia solani. Fungivorous nematode populations were measured in a fiel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matode populations and suppression of ginseng root diseases. Inoculation of A. avenae (5000 nematodes per petri-dish) reduced the colonization of the Fusarium mycelium on root discs of ginseng and carrot by 80.0% and 60.5%, respectively. A. avenae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occurrence of damping-off of ginseng by R. solani pathogenic to ginseng, and no plant damage by the nematode was noted. In a 3-year-old ginseng field infested with Cylindrocarpon destructans, plant missing caused by root rot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density of potato rot nematode, Ditylenchus destructor, but it was reduced with the population of A. avenae, suggesting that A. avenae might inhibit the occurrence of ginseng root rot.

  • PDF

Aphelenchus avenae and Antagonistic Fungi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Pythium spp.

  • Jun, Ok-Kyoung;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71-276
    • /
    • 2004
  • To examine the control effect of damping-off on radish caused by Pythium spp., researchers used the isolates of a fungivorous nematode, Aphelenchus avenae, and antagonistic fungi, Trichoderma spp. These were used as biocontrol agent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Growth rates of the A. avenae isolates and fungal damages by the nematodes varied depending on Trichoderma spp., which contained lower T. koningii and T. virens cultures than other Trichoderma cultures. Phythium spp. were damaged by all five Aphelenchus isolates, but the multiplication rate of nematode isolate Aa-3 was very poor. Antibiotic activity of T. virens and T. harzianum to Pythium spp. was stronger than that of T. koningii. Control efficacy against damping-off of radish was most enhanced under the treatment using the nematode-T. harzianum combination. On the contrary, the combinations of the nematodes and T. virens or T. koningii mostly did not increase or decreased their control effect vis-$\`{a}$-vis that of the nematodes or antagonistic fungi being used alo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ungivorous nematodes may play a leading role in the disease control, and that the activity of the fungivorous nematodes may be activated by T. harzianum, but inhibited by T. koningii and T.virens.

인삼의 Ditylenchus destructor 선충의 인공배양 및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In Vitro Culture and Factors Affecting Population Changes of Ditylenchus destructor of Ginseng)

  • 김영호;오승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6
    • /
    • 1995
  • Ditylenchus destructor isolated from diseased ginseng roots was cultured on ginseng calli, fungal mycelium (Fusarium solani), carrot discs and radish sprouts. Effects of temperature, organic material and flooding on the nematode population changes were examined. D. destructor multiplied readily on the culture media except radish sprout medium, and was cultured best on the fungal culture at 2$0^{\circ}C$. Feeding of the fungal hypha and radish root hairs, molting and mating in the fungal culture medium were observed. Addition of organic materials (perilla, sesame, soybean and ginseng leaves) in soil significantly increased Aphelenchus avenae and saprophytic nematode populations, while D. destructor populations changed little and the nematode population growths were limited by the organic amendments (except sesame leaves). The nematode populations in soil including D. destructor were decreased by flood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D. destructor may survive but not multiply readily in soil without host plants and that it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flooding.

  • PDF

땅콩기생(寄生) 선충(線虫)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Soil Treatments for Nematode Control on Peanut)

  • 최영연;김호열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41-46
    • /
    • 1983
  • 땅콩 기생선충의 종류(種類) 및 그 방제법(防除法)을 구명(究明)코자 1980년(年)부터 1981년(年)까지 2개년(個年)에 걸쳐 실시(實施)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 기생선충으로는 Aphelenchoides besseyi, Aphelenchus avenae, Criconemoides informi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Meloidgyne hapla, Psilenchus hilarulus, Pratylenchus minyus, Tylenchus sp. 등(等) 9 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2.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른 선충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는 처리(處理) 90일후(日後)에는 밀도(密度)가 낮았다가 170일후(日後)인 수확기(收穫期)에는 다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당근뿌리흑선충(Meloidogyne hapla)의 밀도(密度)는 수확기(收穫期)에 있어서도 훈증제(薰蒸劑)인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3 초장(草長), 분기수(分技數), 건물중(建物重)은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Mocap 10G, Carbofuran 3 G. 등(等)의 순(順)이었다. 4.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고령(高靈)에서는 73% 선산(善山)에서는 60%가 증수(增收)되어 가장 효과(效果)가 좋았고 다음이 Mocap 10G. Carbofuran 3G. 등(等)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에 있어서 림목에 기생하는 선충조사 IV. 수목 기생선충의 종류 및 분포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in Korea IV. Distribution and Species of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 최영열;추호열;김영진;문일성;백현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7-451
    • /
    • 1992
  • 전국 국립공원 및 산지에서 154종의 수목을 대상으로 선충 종류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수목과 관련이 있는 선충은 총 28속 73종이 밝혀졌다. Meloinema kerongens는 내장사 굴피나무, 느릅나무, 신나무에서 채집됨으로 새로운 기주식물로 밝혀졌다.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부산 금정산 일대에서만 발견되었고, 어리소나무재선충(B. mucronatus)은 제주도, 경남 마산, 진해 등지에서 발견되었고, 곤충기생성선충인 Prothallonema intermedium은 대구시 대덕산 리기다소나무, 제주도 제주시, 남원읍, 구좌읍, 애월읍 소나무에서 채집되었다. 수목별 기생선충 종류는 소나무가 32종으로 가장 많았고, 전나무 24종, 느티나무 20종, 감나무 19종, 상수리나무 18종 등의 순이었다. 선충종류별 분포지역은 Criconemella informis가 81지역에서 검출되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X. americanum 74, Tylenchorhynchus claytoni 51, C. macrodora 35, Hemicriconemoides varionodus, O. serratum이 31, Pararotylenchus pini 25, Hemicycliophora koreana 24, Aphelenchus avenae, C. pseudohercyniensis 22지역 등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 PDF

우리나라 담배에 기생하는 선충의 종류와 분포조사 (Survey on the Kinds and Distribution of Tobacco Parasitic Nematodes in Korea)

  • 박수준;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3-136
    • /
    • 1976
  • 경남북 전매지청관내 14개조합 산하 51개 포장에서 담배 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포장에 대한 선충의 검출률은 $96.1\%$이었다. 2. 선리속별 검출포장수는 Tylenchus가$82.3\%$로 가장 높고 다음이 Aphelenchus$72.5\%$, Tylenchorhynchus $58.8\%$, Meloidogyne $50.9\%$, Criconemoides $25.4\%$ Pratylenchus, Hirschmaniella $23.5\%$의 순이였다. 3. 지역별 선충속별 밀도는 Pratylenchus는 영덕이 43으로 가장 높았고 Tylenchorhynchus는 진보, 금천, 영양, 영천이 46-48로 높았으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Tylenchus는 영일 408, 김천 372, 상주 281의 순이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Meloidogyne는 진보를 제외한 전 지역에 나타났으나 금천이 168로 가장 높았다. Xiphinema는 의성이 26으로 가장 높고 다음이 상주 12, 영덕 7의 순이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담배에 기생하는 선충은 11과 16속 18종이 발견되였으며 이중 12종은 우리나라 담배에서는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 PDF

대두증산을 위한 기생선충 조사 (Survey on Soybean Parasitic Nematodes)

  • 최영연;최동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1-261
    • /
    • 1983
  • 대두에 기생하는 선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및 충북의 15개시군 총 71개포장에서 재료를 채집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결과, Aphelenchus avenue,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ipsaci Helicotylenchus pseudorbustus, Heterodera glycines, Hischmanniella imamuri,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Paratylenchus panadus,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mus, Psilenchus hilarulus, Rotylenchus sp. Tylenchu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 Tylenchorynchus, Tylenchorhynchus, Xiphinema americanm 등 총 8과 14속 1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 Heterodera glycines가 가장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선충의 검출율에 있어서 콩 Cyst선충은 충북이 $70\%$, 지이 $50\%$로 충북이 높았고 반면에 뿌리혹선충은 경북 $54.1\%$, 충북이 $19.1\%$로 경북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포장에 있어서 Cyst선충의 절대밀도는 토양 100l당 200.4이며 상대밀도는 $40.2\%$로 가장높게 나타났고, 뿌리혹 선충은 절대밀도가 107.1이며 상대밀도는 $21.4\%$로 다음이였으며, Rotylenchus, Tylenchorhynchus, 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Aphelenchus등의 순이였다.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콩 Cyst의 밀도가 토양 100ml 당 평균 155개이고 경한 포장에서는 평균 35개로 밀도가 높았으며 수확량은 평균 64.2kg/10a로 209.5kg/10a에 비하여 $70\%$가 감소되었다. 전피해조사포장에 있어서 콩 Cyst선충수는 수확량, 협중, 협수간에는 $r=-0.75^{**},\;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선충 종류별 4종 포식성곰팡이의 포식력 차이 (Nematode-Trapping Fungi Showed Different Predacity among Nematode Species)

  • 강헌일;최인수;박남숙;배창환;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9-155
    • /
    • 2019
  • 선충 포식성곰팡이는 유기물에서 번식하다가 양분이 부족해지면 특수 기관을 형성하여 선충을 포획하고 선충으로부터 양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토양 내 동물계와 먹이사슬을 이루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끈끈이그물형 포식기관을 가진 3종, Arthrobotrys oligospora, A. sinensis, A. thaumasia과 수축성올가미형 포식기관을 가진 Drechslerella brochopaga 1종 등 4종의 선충 포식성곰팡이의 식세균성선충 9종, 식균성선충 1종, 식물기생성선충 2종 등 총 12종의 선충류에 대한 포식력을 검정하였다. 4종의 포식성곰팡이에 모두 감수성인 선충은 식물기생성선충 2종류(Meloidogyne incognita, Pratylenchus penetrans), Rhabditidae에 속하는 P. strongyloides, Mesorhabditis irregularis이었고 접종 4일 후부터 선충을 포식하였으며, 선충 내부로 곰팡이가 번식하여 15일째에는 거의 선충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반면, Cephlobidae에 속하는 Acrobeloides spp., A. avenae는 4종의 포식성곰팡이에 모두 저항성을 보였으며 15일 후 관찰하였을 때, 접종배지 내에 선충 수가 초기접종 밀도와 같거나 오히려 2-3배 정도까지 번식되었다. 나머지 선충 종들은 포식성곰팡이 종류에 따라 감수성에 다소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선충 포식성곰팡이가 선충 종에 따라 특이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러한 기주특이성을 이용하여 식물기생성선충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조사 (Survey on the Pests of Stored Garlic)

  • 나승용;조명래;김동순;박권우;우종규;김기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71
    • /
    • 1998
  • 전국의 마을 주산단지에서 수집한 마늘을 대상으로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의 종류와 밀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저장마늘을 가해는 해충으로 검출빈도와 밀도가 높은 종류는 마늘혹응애(Aceria tulopae), 뿌리응애(Rhizoglyphus sp.) 마늘줄기선충(Dity- lemchus dipsaci),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등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와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은 검출빈도 및 밀도가 낮았다. 마늘혹응애는 1994년 조사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였으나 1995년도 조사에서는 62%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아. 뿌리응애는 1994년조사에서 63%의 검충율을 나타내었으나 1995년조사에서는 13%로 낮았다. 마늘 인편당 뿌리응애수는 1~135마리로 조사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마늘은 부패하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긴털가루응애는 1994년에는 32개 농가 중 22개 농가에서, 1995년에는 39개 농가 중 21개농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밀도는 다른 응애류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며 저장중 마늘에서 긴털가루 응애의 피해유발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