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Soil Treatments for Nematode Control on Peanut

땅콩기생(寄生) 선충(線虫)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i, Young Eoun (Dept. of Agric. Biology,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 Kim, Ho Yul (Gyeong Bug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최영연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김호열 (경북 농과진흥원)
  • Published : 1983.04.30

Abstract

Nine species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Aphelenchoides besseyi, Aphelenchus avenae, Criconemoides informi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hapla, Pratylenchus minyus and Tylenchus sp. Were found in peanut field in Korea. Chemicals used were; Telon C-17, Mocap 10G and Carbofuran 3G for control peanut parasitic nematodes. All chemicals reduced nematode populations but varied in effectiveness. Telon C-17 was especially effective against Meloidogyne hapla, the principal species on peanut and resulted in significant yield increased than the control.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and dry weight of peanut were increased over the nontreated control by chemical soil treatments.

땅콩 기생선충의 종류(種類) 및 그 방제법(防除法)을 구명(究明)코자 1980년(年)부터 1981년(年)까지 2개년(個年)에 걸쳐 실시(實施)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 기생선충으로는 Aphelenchoides besseyi, Aphelenchus avenae, Criconemoides informi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Meloidgyne hapla, Psilenchus hilarulus, Pratylenchus minyus, Tylenchus sp. 등(等) 9 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2.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른 선충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는 처리(處理) 90일후(日後)에는 밀도(密度)가 낮았다가 170일후(日後)인 수확기(收穫期)에는 다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당근뿌리흑선충(Meloidogyne hapla)의 밀도(密度)는 수확기(收穫期)에 있어서도 훈증제(薰蒸劑)인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3 초장(草長), 분기수(分技數), 건물중(建物重)은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Mocap 10G, Carbofuran 3 G. 등(等)의 순(順)이었다. 4.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Telone C-17 처리구(處理區)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고령(高靈)에서는 73% 선산(善山)에서는 60%가 증수(增收)되어 가장 효과(效果)가 좋았고 다음이 Mocap 10G. Carbofuran 3G. 등(等)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