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2,522건 처리시간 0.037초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유산균들의 각종 효소활성 및 기능성 (Ca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정지강;정연비;최혜선;한귀정;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54-1859
    • /
    • 2010
  • 전통 재래식 메주 3종을 수집하여 호기성 생균수, 유산균수, 효모 및 곰팡이의 수를 측정한 결과 각각 $10^7\sim10^8$ CFU/ g, $10^6\sim10^8$ CFU/g, $10^7\sim10^8$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일반적으로 메주의 발효에 가장 크게 관여하고 있는 효모 및 곰팡이이 외에도 유산균 역시 메주의 발효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주요 균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식 메주로부터 몇 종의 유산균을 분리한 후, 3종의 우수균주를 선별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coccus lactis로 밝혀졌으며, 이들을 각각 Lm-SMm, Lp-SMm, Ll-GAm로 명명하였다. 3종 유산균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protease, lipase, $\alpha$-amylase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l-GAm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Lm-SMm, Lp-SMm, Ll-GAm은 각각 45%, 48%, 60%의 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T-29 인체 결장암 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 45%, 67%, 70%의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통메주로부터 분리한 우수한 유산균은 장류제조 산업에 있어서 적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메주 제조에 있어서 스타터로 사용되었을 때 장류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잎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황지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53-1760
    • /
    • 2010
  • 혈관내피세포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노출되면, 반응성 산소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며 2차적인 질병의 유발을 감소 및 완화시켜서 당뇨합병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30 mM 포도당에 노출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UVECs에 조릿대잎 추출물 ethyl acetate(ESLE) 층을 분주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활성산소종 수준과 지질과산화물 가는 ESLE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포도당으로 GSH 함량과 SOD, GSH-px, catalase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HUVECs에 ESLE를 분주하였을 때 이들의 함량 및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해 ESLE 첨가가 SOD와 catalase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SLE는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SLE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고 항산화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 첨가에 의한 머핀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Effect of Ecklonia cava Hot Water Extract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Muffin)

  • 정경임;최영주;조은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72-16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머핀의 저장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기능성 천연소재의 개발을 위해 감태 열수 추출물을 0. 0.1, 0.5, 1%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머핀의 저장성 및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머핀의 중량은 1% 첨가군이 가장 많았으나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높이는 0.1%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외부색과 내부색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alpha$=0.05), 맛은 1% 첨가군, 조직감은 0.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향은 1%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0.5~1%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 첨가머핀의 저장에 따른 수분 함량의 측정결과는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로 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은 감소하였다. 5일간 $30^{\circ}C$에서 저장하며 측정한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서 감태 열수 추출물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 록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태 열수 추출물을 0.5~1% 정도 첨가할 경우 저장성 및 관능특성을 개선하여 품질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는 감태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끼에서 ACAT 억제에 의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의 동맥경화 완화 효과 (Attenuation of Atherosclerosis by 3,4-Dihydroxy-Hydrocinnamic Acid in Rabbits by Partial Inhibition of ACAT)

  • 이미란;최재훈;양영;오기숙;정태숙;이철호;오구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0-286
    • /
    • 2016
  • 폴리페놀 성분은 심혈관질환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은 항산화 활성과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이 항동맥 경화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뉴질랜드 흰 토끼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8주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그룹 토끼의 광범위한 동맥 부위에서 동맥경화 초기병변이 형성되었다. 반면에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을 투여한 토끼에서는 대조 그룹의 토끼에 비해 동맥경화 병변 형성이 감소하였고, 병변 내로 침윤한 대식세포의 양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의 효과에서 전신적으로나 국부적으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의 아실-코엔자임 A: 콜레스테롤 아실트렌스페라제 활성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을 투여한 토끼에서 대조 그룹의 토끼에 비해 22%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이 토끼에서 아실-코엔자임 A: 콜레스테롤 아실트렌스페라제를 억제함으로써 항동맥경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Effects of compound organic acid calcium on growth performance, hepatic antioxidation and intestinal barrier of male broilers under heat stress

  • He, Junna;Ma, Lianxiang;Qiu, Jialing;Lu, Xintao;Hou, Chuanchuan;Liu, Bing;Yu, Dongyo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7호
    • /
    • pp.1156-1166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pound organic acid calcium (COAC) on growth performance, hepatic antioxidant status and intestinal barrier of male broiler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32.7℃). Methods: Nine hundred healthy one-d-old Cobb-500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with six replicates of 50 birds each.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0.4% and 0.8% COAC, respectively were fed to birds for 6 weeks. All treatments were under high ambient indoor temperature of 32.7℃, and had a constant calcium and available phosphorus ratio.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control, the average daily gain of broilers in 0.4% and 0.8%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ratio of feed to gain in in 0.4% and 0.8%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to 21, 22 to 42 and 1 to 42 days of age (p<0.05). Compared with control, 0.8% COAC slightly decreased (p = 0.093) the content of malondialdehyde in liver at 42 days of age while 0.4% COAC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Furthermore, 0.4% COAC significantly enhanced the intestinal barrier function via increasing jejunal and ileal ocln transcription, promoting jejunal mucin 2 transcription at 42 days of age (p<0.05), and decreasing jejunal toll-like receptor 2 (TLR-2) and ileal TLR-1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ranscription of interleukin-1β in jejunum and ileum were observed among three treatments (p>0.05). Overall, heat stress caused by high natural environment temperature may induce the damage to hepatic antioxidation and intestinal barrier.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COAC can improve the tolerance of broilers to thermal environment through the modification of antioxidative parameters in liver and the mRNA expression of genes in intestinal barrier, resulting in an optimal inclusion level of 0.4%.

붉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javanica Bark)

  • 노정숙;박선이;정갑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5-561
    • /
    • 2017
  • 붉나무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붉나무 수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73.5 mg/100g, 당도는 $17.8^{\circ}Brix$로 측정되었으며, 총방향족 화합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흡광도 0.508, 49.88 mg/100g 및 296.6 mg/100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과 동량의 ascorbic acid의 27.5 %로 측정되었으나, 철환원력은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DPPH라디칼 소거능은 95.16 %로서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하였고, 금속이온 봉쇄능은 ascorbic acid의 74.73 %보다 높은 81.58 %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pH 2에서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1.76 %로 측정되었으며, Rancimat test에 의한 대두유 산화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귤류 플라보노이드의 생리기능 활성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22-128
    • /
    • 2001
  •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인 hesperidin 및 naringin과 이들의 agIycone 형태인 hesperetin 및 naringenin의 생리기능 활성에 대하여 동물(흰쥐 및 햄스터)실험을 통한 지질대사,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육 및 지질대사,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는 불포화 지방산의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감귤류 플라보노이드는 흰쥐에서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 및 햄스터에서의 중성지질 농도 저하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대사 기작으로서 콜레스테를 및 중성지질 합성의 중요 조절효소로 알려진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ACAT) 및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PAP) 활성이 in vivo 및 in vitro 실험계에서 현저히 저해되었으며, 특히 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에서 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이들 플라보노이드는 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암세포 생육 억제 및 세포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도 인정되었다. Hesperetin은 실험적으로 유도한 간질환을 개선시켰다. 노화 및 질병의 발생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불포화지방산 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과도 확인되었는데, hesperetin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는 동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억제작용에 의한 혈관계 질환 개선효과, 지방간을 비롯한 간질환 개선효과, 암세포 증식억제 작용, 노화 및 질병의 원인이 되는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등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기능 활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여 기능성 성분의 연구로 일정의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감귤류 유래의 생리활성 성분의 연구목적은 건강증진 효과를 높이는 식품의 개발과 식품 첨가물의 신규 수요를 증대시켜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 PDF

자외선B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세포에 대한 돌배나무잎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yrus pyrifolia NAKAI Leaf Extracts on UVB-induced Toxicity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고아라;최송이;김용웅;박건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7-94
    • /
    • 2016
  • 피부 손상은 주로 자외선, 열, 담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데, 이는 활성산소종의 과생성으로 인한 피부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돌배(Pyrus pyrifolia NAKAI)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과일로써 항암,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배나무잎 추출물(Pyrus pyrifolia leaf extract, PPE)의 ultraviolet B (UVB)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섬유아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Lactate dehydrogenase assay와 DCF-DA를 이용한 정성분석 실험은 PPE가 인간의 섬유아세포에서 UVB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및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 막전위 저하, 그리고 세포사멸과정의 핵심 인자인 caspase-3 활성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PPE는 UVB스트레스에 의해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억제시켰으며, 이로 인해 생기는 피부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두릅나무 25개 선발 클론의 형태적 특성과 유연관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25 Selected Clones of Aralia elata Seem)

  • 김세현;김문섭;한진규;김혜수;문흥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약용식물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 선발클론을 대상으로 잎, 가시 그리고 동아의 형태적 특정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선발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4 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76%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2.0을 기준으로 I그룹은 강원 연곡 등 15클론, II그룹은 경기 여주 등 5클론, III그룹은 봉화와 울릉 클론, IV그룹은 용문과 보성 클론 그리고 V그룹은 신구 클론으로 총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인삼 품종별 뿌리 추출물의 NMDA 수용체 길항 효과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ic Effect and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r Root Extracts)

  • 이승은;김장욱;정현수;최재훈;지윤정;김형돈;장귀영;현동윤;김동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20
    • /
    • 2020
  • Background: Although a number of Panax ginseng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analysis of their beneficia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useful ginseng varieties as functional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We evaluated effects of root extracts of 10 ginseng cultivars (Cheongsun; CS, Chunpoong; CP, Gopoong; GP, Gumpoong; GMP, K1, Sunhyang; SH, Sunone; SO, Sunpoong; SP, Sunun; SU and Yunpoong; YP) against the inhibitory effects of nitric oxide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mouse brain microglial BV2 cells, as well as the binding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a marker related to memory. Ginsenosides, such as 20 (S)-protopanaxadiols (PPDs), including ginsenoside-Rb1, -Rb2, -Rb3, -Rc, -Rd, and - Rg3 and 20 (S)-protopanaxatriols (PPTs) including -Re, -Rg1, and -Rg2 were analyzed by HPLC. We observed that the cultivar GMP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60.8%) against NO production at 20 ㎍/㎖. Those cultivars showing the significantly highest inhibition effects against ROS at 20 ㎍/㎖ were K1 (57.3%), SP (54.5%), YP (53.1%), CP (51.7%), CS (50.9%) and SH (49.6%). At 50 ㎍/㎖, K1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51.2%) on NMDAR binding. The total phenol content of SH (1.89 mg/g) and K1 (1.73 mg/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whereas in terms of PD/PT ratios, the values of CP (0.98), K1 (1.05) and SO (1.05)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On the ba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 (0.7064) between NMDAR inhibition and ONOO- scavenging activit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ultivars K1 and SH could be useful ginseng resources as functional materials with favorable cognition-improving and antioxidative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