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index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7초

Combined effects of dietary zinc at 3 years of age and obesity at 7 years of age on the serum uric acid levels of Korean children

  • Lee, Sung Hee;Lee, Hye Ah;Park, Eun Ae;Cho, Su Jin;Oh, Se Young;Park, Bohyun;Park, Hye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4호
    • /
    • pp.365-373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o assess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zinc and body mass index (BMI) with serum uric acid (SUA) in South Korean children. SUBJECTS/METHODS: Using follow-up data from the Ewha Birth and Growth Cohort, we included subjects who were seen at 3 and 7 years of age (n = 183; 90 boys, 93 girls). Daily zinc intake and BMI were assessed at 3 and 7 years of age. SUA measured at 7 years was used as the outcome variabl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the effects of dietary zinc intake and BMI on SUA were assessed. We also assessed the combined effect of early dietary zinc intake and BMI on SUA in children. RESULTS: The dietary zinc intake at 3 years of 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ρ = -0.18, P = 0.04), whereas the BMI at 7 years of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r = 0.18, P = 0.01), with the SUA level at 7 years of age. The dietary zinc intake level at 3 years of age and the BMI level at 7 years of age were, together, significantly related to SUA in children at 7 years of age. SUA was lower in group 1 (normal-weight, high-zinc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group 2: normal-weight, low-zinc and overweight, high-zinc group; and group 3: overweight, low-zinc group). Our results demonstrate the combined effect of zinc intake and BMI on SUA. The combined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in both the crude and adjusted models (P < 0.01). CONCLUSIONS: SUA was related to combined BMI and dietary zinc intake, and increased zinc intake and normal body weight had a beneficial effect on reducing SUA in children.

Schizosaccharomyces pombe에 존재하는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열저항적 성질 (Thermoresistant properties of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 against high temperature stres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류인왕;이수희;임혜원;안기섭;박광학;사재훈;정경진;임창진;김경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8-405
    • /
    • 2016
  • 이전의 연구에서,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 (BCP)을 인코딩하는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구조유전자를 shuttle vector인 pRS316에 클로닝하여 BCP 과잉발현 플라즈미드인 pBCP10을 제조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미드 pBCP10을 사용하여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BCP의 열저항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대수기의 초기까지 성장시킨 S. pombe 세포의 배양 온도를 $30^{\circ}C$에서 $37^{\circ}C$$42^{\circ}C$로 전이시키는 경우, pBCP10 함유 S. pombe 세포가 벡터 대조 세포보다 $37^{\circ}C$$42^{\circ}C$ 모두에서 유의하기 더 잘 성장하였다. 높은 배양 온도로 전이한 뒤 6시간에서, pBCP10 함유 S. pombe 세포가 벡터 대조 세포보다 낮은 활성산소종(ROS)과 일산화질소(NO)의 지표로 측정된 아질산염(nitrite) 함량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온도 전이 뒤에, 총 글루타치온(total glutathione) 함량과 총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대응되는 벡터 대조 세포보다 pBCP10 함유 S. pombe 세포에서 현저하게 높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S. pombe BCP는 열저항적 역할을 보유하는 데, 활성산소종과 일산화질소에 대한 하강시키는 활성과 총 글루타치온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등의 항산화 성분들을 상승시키는 활성, 즉 종합적으로 열안정성을 유지하는 활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습사료에 첨가한 유용미생물 및 한약재 혼합제(한방천ㆍ어력천) 특성과 혼합 첨가제가 넙치간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 여인규;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4
    • /
    • 2004
  • 유용 미생물과 한약재가 포함된 새로운 사료첨가제의 다양한 농도(0.3, 0.6 및 0.9%)에 따른 넙치의 간기능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사료첨가제의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첨가제에 포함된 유용미생물(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 및 광합성균)의 총수는 한방천이 5.6${\times}$$10^{8}$ CFU/g이었으며, 어력천은 3.0${\times}$$10^{8}$ CFU/g 이었다. 앙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사료의 병원미생물(Edwardsiella tarda, Vibrio anguillarum and Streptorwccus sp.)은 모든 첨가군에 있어서 첨가제의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간중량 지수는 0.3%의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의 단백질량은 모든 첨가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간장내의 단백질량은 대조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생체방어기작을 하는 catalase 및 superoxide dismutase는 0.3% 및 0.6% 첨가군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약재와 유용미생물 혼합 사료첨가제의 사용으로 넙치의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어류스트레스의 면역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Clinical Comparison of Low-dose and High-dose Steroid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 Choi Seok-Cheol;Kim Song-Myung;Kim Yang-W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9-301
    • /
    • 2006
  • Cardiopulmonary bypass (CPB) for cardiac surgery trigger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numerous chemotactic substances and cytokines, ensu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hat leads to postoperative major organ dysfunction. Traditionally, corticosteroids (steroid) have been administered to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to ward off these detrimental physiologic alteration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adult patients with high-dose steroid. We carried out a randomized, prospective, double-blind study to compare the efficacy of low-dose steroid with that of high-dose steroid and to determine the adequate dose of pretreated-steroid for prophylactic effect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Thirty pediatric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ardiac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fifteen patients received low-dose methylprednisolone (10mg/kg intravenously, n=15, low-dose group) and the others received high-dose methylprednisolone (30mg/kg intravenously, n=15, high-dose group) 1 hour prior to CPB. Arterial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CPB (Pre-CPB), 10 minutes after start of CPB (CPB-10), and immediately after CPB-end (CPB-OFF) for measuring total leukocyte counts (T-WBC) and diff-counts, platelet counts, interleukin-6 (IL-6), myeloperoxidase (MPO), total antioxidant (TAO), neuron-specific enolase (NSE), troponin I (TNI),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Other parameters such as volumes of urine output, pulmonary index $(PI,\;PaO_2/FiO_2)$,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 intensive care unit (ICU)-staying peri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ever,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 hrs and total volumes in blood loss, and hospitalized days were also assessed. Al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BC counts, monocyte fraction, platelet counts, TA levels, NSE levels, creatinine levels, BUN levels, the volumes of total urine output, PI, the incidences of fever and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hrs- and total-blood loss volumes and ICU-staying period between two groups (P>0.05). At CPB-OFF, neutrophil fraction, MPO level, TNI level, and AST level were higher in the high-dose 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P<0.05). IL-6 level at CPB-10 was higher in the high dose-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P<0.05). Furthermore,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s and hospitalized days of the high-do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low-dose group (P<0.05). The high-dose group had significantly low lymphocyte fi-action at CPB-OFF compared with the low-dose group (P<0.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treatment of high-dose steroid is not superior to that of low-dose steroid regrading its potential benefit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ategy of steroid treatment, high-dose pretreatment, should be modified in the cardiac surgery with CPB. However, further studies must be performed on the larger number of patients in as much as small number of patients in this study.

  • PDF

갈색거저리 유충을 급이한 산란계로부터 얻은 계란의 품질특성 (Egg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yer Chickens Reared with Tenebrio molitor Larvae)

  • 김도형;김동현;박현우;김진권;김삼웅;김태완;이병진;손다니엘;김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60-866
    • /
    • 2020
  • 본 연구는 음식폐기물을 활용하여 갈색거저리를 사육한 후에 산란계에 급이시 나타나는 계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계란의 두께는 처리군에서 약간 얇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는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가 가장 높았다. 난황의 색상은 5% 급이 군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가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5% 급이군은 조지방과 조단백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0%와 15% 급이군들은 대조군보다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은 10%와 15% 급이군들에서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군들에서 구성아미노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필수아미노산보다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의 증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물질의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의 함량은 5% 급이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계란의 저장성 및 항산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고단백 및 고지방 사료인 갈색거저리를 보충 사료원으로 활용할 때 계란의 영양성분 함량에 중용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고 계란의 신선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제의된다.

콜라겐 펩타이드 및 GABA 복합물의 섭취가 피부 및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Peptide Mixture with GABA on Improvement Skin and Sleep Quality)

  • 김정기;임성환;김완기;조창희;하재현;서대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7-284
    • /
    • 2018
  •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소재로서의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1차 피부자극 실험 및 감작성 중심으로- (Safety Evalu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for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Studies-)

  • 이현순;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13-1219
    • /
    • 2010
  • 본 연구는 흑마늘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 기능성을 in vitro에서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피부노화에 관여하는 두 효소의 활성을 모두 저해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을 hartley계 기니픽 수컷을 사용하여 피부 1차 자극 실험을 실시한 결과 1차 피부자극지수(P.I.I.)가 0.23으로 practically non-irritation(비자극성)에 해당하는 자극으로 피부 자극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Maximization test법으로 피부 감작성을 확인한 결과 시험물질에 의한 홍반과 부종 등이 전혀 유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기니픽의 피부 감작율은 0%로, 피부에 대한 피부 감작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성과 안전성확보된 소재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 김아라;강수태;정은;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89
    • /
    • 2014
  •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위암(AGS), 간암(Hep G2) 및 폐암(A549) 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mu}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이상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항산화효과와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신선 버섯의 수확 후 관리 기술과 관련된 특허 동향 분석 (Patent trend analysis for postharvest technology of fresh mushrooms)

  • 최지원;김수연;최미희;임수연;양해조;신일섭;홍윤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0-285
    • /
    • 2020
  • 신선 버섯의 수확 후 관리 기술은 2000년대까지 출원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신선 농산물의 수확 후 관리 기술이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기술임을 알 수 있다. 주요 출원인에 대한 특허출원은 일본이 전체 출원 중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내국인의 특허출원 비중이 높게 나타나 자국 중심의 출원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신선 버섯의 수확 후 포장 기술은 초반에 출원인 및 출원 건수가 감소하였다가, 최근 출원인 및 출원 건수가 증가하여 회복기 단계에 있으며, 저장기술은 최근 출원인 수와 출원 건수가 대폭 증가하여 성장기의 단계로 평가된다. 신선 버섯의 수확 후 관리 기술은 주로 다국적 기업과 국가 연구기관에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당 기술의 연구개발 및 상업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2-deoxy-D-Glucose Synergizes with Doxorubicin or L-Buthionine Sulfoximine to Reduce Adhesion and Migration of Breast Cancer Cells

  • Mustafa, Ebtihal H;Mahmoud, Huda T;Al-Hudhud, Mariam Y;Abdalla, Maher Y;Ahmad, Iman M;Yasin, Salem R;Elkarmi, Ali Z;Tahtamouni, Lubna 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213-3222
    • /
    • 2015
  • Background: Cancer metastasis depends on cell motility which is driven by cycles of actin polymerization and depolymerizati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etabolic oxidative stress have long been associated with cancer. ROS play a vital role in regulating actin dynamics that are sensitive to oxidative modification. The current work aimed at studying the effects of sub-lethal metabolic oxidative stress on actin cytoskeleton, focal adhesion and cell mig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47D human breast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2-deoxy-D-glucose (2DG), L-buthionine sulfoximine (BSO), or doxorubicin (DOX),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nd changes in intracellular total glutathione and malondialdehyde (MDA) levels were measured. The expression of three major antioxidant enzymes was studied by immunoblotting, and cells were stained with fluorescent-phalloidin to evaluate changes in F-actin organization. In addition, cell adhesion and degradation ability were measured. Cell migration was studied using wound healing and transwell migration assays. Results: Our results show that treating T47D human breast cancer cells with drug combinations (2DG/BSO, 2DG/DOX, or BSO/DOX) decreased intracellular total glutathione and increased oxidized glutathione, lipid peroxidation, and cytotoxicity. In addition, the drug combinations caused a reduction in cell area and mitotic index, prophase arrest and a decreased ability to form invadopodia. The formation of F-actin aggregates was increased in treated T47D cells. Moreover, combination therapy reduced cell adhesion and the rate of cell migration.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of T47D breast cancer cells to combination therapy reduces cell migration via effects on metabolic oxidative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