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rinkle effect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1초

흑삼을 함유한 한방소재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Containing Black Ginseng)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25-3329
    • /
    • 2010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보기보혈(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한방약재에 ginsenoside Rg3가 강화된 흑삼을 첨가한 토너와 로션을 제조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2.5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토너사용 후 로션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실험 4주 후에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책임자가 시료의 피부 안전성을 관찰하기 위해 육안 검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토너와 로션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15{\pm}0.35$에서 $2.28{\pm}0.22$, R2는 $2.99{\pm}0.37$에서 $2.13{\pm}0.21$, R3는 $2.09{\pm}0.31$에서 $1.56{\pm}0.18$, R4는$0.37{\pm}0.05$에서 $0.29{\pm}0.03$, R5는 $0.89{\pm}0.1$에서 $0.75{\pm}0.06$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복합 배양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Co-culture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 김남영;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의 손으로부터 분리한 두 유산균의 co-culture에 의한 향장활성에 대한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를 함께 배양하는 것은 최초이며, co-culture를 이용한 유산균은 tyrosinase 저해율이 L. paracasei와 L. rhamnosus에 비해 20.6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culture 유산균은 melanin 생성 저해율에서도 63.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주름개선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생성량이 3726.3 pg/mL로 확인되었다. 반면 단일 유산균 배양시 얻어지는 MMP-1 생성량은 각각 L. rhamnosus가 13613.5 pg/mL, L. paracasei는 13012.0 pg/mL이 확인되었다. Collage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co-culture 유산균이 380.7 ng/mL로 323.4 ng/mL의 양이 확인된 L. paracasei와 304.1 ng/mL의 양이 확인된 L. rhamnosus보다 많은 양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유산균의 co-culture가 향장활성 증진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향장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유산균 배양을 통한 결과보다 co-culture 유산균의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DHA 유도체를 이용한 항염, 항노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품 원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smetic Ingredient Containing DHA Derivatives for Anti-inflammation, Anti-wrinkle, and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 이미영;이길용;서진영;이경민;이우정;조희원;이종재;서정우;최헌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5-73
    • /
    • 2021
  • 피부 염증은 흉터, 노화 뿐만 아니라 아토피와 같은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이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인체에서 염증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SPMs)의 in vitro 합성과 화장품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두의 lipoxygenase를 이용하여 mono 또는 di-hydroxy docosahexaenoic acid가 혼합된 시료 S-SPMs를 제작하였고 효능 평가에 이용하였다. 먼저, UVB로 염증을 유도한 세포에서 TNF-α와 IL-6의 발현이 S-SPMs에 의해 감소하고,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nitric oxide (NO)의 생성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S-SPMs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S-SPMs을 처리한 조건에서 malondialdehyde (MDA) 생성이 감소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S-SPMs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 감소, procollagen type I의 함량 증가를 통해 collagen 분해를 억제하고 반대로 합성은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filaggrin과 loricrin의 발현이 S-SPMs에 의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S-SPMs은 피부의 염증 억제와 함께 손상회복, 주름개선 및 장벽 강화를 위한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소양인의 매선시술과 시술 후 증상에 대한 체질침 치험 1 례 (A case of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for symptoms after embedding therapy in Soyangin patient)

  • 조나영;신미란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9-56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in soyangin who received embedding therapy for wrinkle improvemen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reviewing medical records was conducted. The patient was classified as a Soyangin by a specialist based on K-PRISM, personality, appearance, voice and usual symptoms. Records on the degree of wrinkles, postoperative symptoms,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wrinkles were improved after the embedding therapy. After therapy symptoms were fever, flushing, and burning sensation. After acupuncture, these symptoms were reduced.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Conclusion As a result of embedding treatment in Soyangin patients, there was an effect of wrinkle improvement. As a result of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anxiety and stress were reduced before the procedure, and symptoms of heat, burning, and flushing were reduced after the procedure.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뿌리 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 of Roots Extract from Potentilla chinensis as Cosmeceutical Material)

  • 유재천;정해수;김형식;이정훈;모상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13-17
    • /
    • 2016
  • 천연물을 이용한 산업이 증가됨에 따라 전통약재식물들의 화장품소재로 사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약재식물 중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역시도 다양한 약리 활성이 알려짐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약리활성을 지닌 반면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소재로서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에 관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이유는 딱지꽃의 뿌리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약리활성을 지녔다는 보고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얻어낸 뒤 항염증, 주름개선, 보습 그리고 미백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한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elastin과 aquaporin-3 증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cyclooxygenase-2, metallopeptidase-1 그리고 melanin 합성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질형성세포에서 MMP-1 활성 및 자외선 유도 무모쥐 피부손상에 대한 카테킨 고함유 녹차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Catechin-rich Green Tea Extract on the MMP-1 Activity of HaCaT Keratinocyte Cells and on UVB-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양원경;박양춘;김복규;최정준;류건식;김승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3-150
    • /
    • 2019
  • Background: Skin is an organ that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various environmental stimuli that can induce immune system activation. Skin ag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hysiological aging, which is caused by the a decrease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skin and structural changes with aging, and photoaging, which is caused by the chemical stress induced by external stimuli such as ultraviolet (UV) radiation. Methods and Res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wrinkle and UV protective effect of catechin-rich green tea extract (CGTE) in activated keratinocyte (HaCaT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CGTE inhibits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feron-gamma ($TNF-{\alpha}+IFN-{\gamma}$)-induc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in HaCaT cells. In addition, the CGT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wrinkle formation, epidermal thickness, collagen deposi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dorsal skin irradiated with UVB. However, the ${\beta}$-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GTE treatment inhibits mRNA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of MMP-2 and MMP-9 in the dorsal skin irradiated with UVB.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CGT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ingredient to improve skin moisture retention and reduce wrinkle formation.

알코올 발효 부산물(타피오카 · 겉보리 주정박) 활용한 생리활성 및 기능성 소재연구 (Study on Bioactive Materials Using By-Products of Alcohol Fermentation (Tapioca-Unhulled Barley Dried Distiller's Grains))

  • 정은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7-57
    • /
    • 2023
  • In this study, the bioactive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whitening activity, and anti-wrinkle effect) of dried tapioca-unhulled barley grain residue (TUDDG) obtained after alcohol fermentation, were measured. In the cas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50% ethanol extract of TUDDG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bout 83%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g/ml,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about 98% of the 50% ethanol extract of TUDDG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mL. In the case of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 50% ethanol extract of TUDDG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100 mg/ml concentration of 37%. As a result of collagenage activity inhibition and elastase analysis, the 50% ethanol extract of TUDDG showed high activity with 4.2 mg/mL (IC50) and 26.1 mg/mL (IC50), respectively. Therefore,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activity as well a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e 50% ethanol extract of TUDDG is judged to be highly effective.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 a Novel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s)

  • 이범천;이정재;박성민;김철배;심관섭;김진화;이근수;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3
    • /
    • 2004
  • 3,9-Dihydro-6-oxopterocarpen과 ferulic acid의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페룰산 유도체인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_{(R)}$ )를 합성하여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을 개발하였다. Tensolin-$F_{(R)}$ 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0.8 mM에서 78%, 0.053 mM에서 92.9%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0.16 mM에서 74%를 저해하였다. HDF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 저해 효과는 Tensolin-$F_{(R)}$ 0.8 uM에서 85.5%로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ensolin-$F_{(R)}$ 를 함유한 제품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평가 결과, Tensolin-$F_{(R)}$ 를 함유한 화장품을 약 8주 간 도포한 경우 유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Tensolin-$F_{(R)}$ 는 항산화 효과와 MMP-1활성 저해 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새로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홍삼박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주름개선 효과 (Effects of Extracts Derived from Red Ginseng Residu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ion)

  • 이미연;김보애;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8-666
    • /
    • 2016
  • 본 연구는 홍삼박 물추출물(RGW), 에탄올추출물(RGE), 1,3-B.G추출물(RGB)을 HPLC로 성분 분석과 B16F10에 대한 세포생존율, 항산화능 및 주름개선 효능 평가를 실시하여 홍삼박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 세 가지 추출물 모두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었으며 그 중 RGB가 가장 많은 함량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었다. B16F10의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RGW와 RGB가 유사하며, RGE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RGE>RGB>RGW 순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능 측정 결과는 RGB>RGE>RGW순으로 활성능을 보여주었다. Elastase 저해능 측정 결과에서는 RGW>RGB>RGE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며 항산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소재로서 RGW와 RGB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