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besity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23초

융복합 기반의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 분석 (Convergence-based analysis on 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smoking rates)

  • 임지혜;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75-38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율의 지역간 변이 정도와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09-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지역간 변이 분석을 위해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요인은 고위험음주율, 고혈압관리교육 이수율, 금연캠페인 경험율, 스트레스 인지율, 고혈압 유병률, 건강보험료, 당뇨병 유병률, 비만율, 근력운동 실천율로 나타났다. 융복합 기반으로 지역별 흡연율의 변이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역별 맞춤형 보건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향후 흡연율이 높은 지역의 원인과 대상에 맞는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흡연관리사업 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함초의 보충식이가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 및 조직의 중성지방 농도와 골격근 내 PGC-1α 및 PPAR-γ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Supplementation on Tissue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nd PGC-1α & PPAR-γ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of Rats Fed a High-fat Diet)

  • 조하형;권대근;김진우;송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57-863
    • /
    • 2018
  • 본 연구는 함초의 보충식이가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 및 조직의 중성지방 농도와 골격근 내 $PGC-1{\alpha}$$PPAR-{\gamma}$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D계 수컷 흰쥐를 대조군(CD, n=8), 고지방식이군(HD, n=8), 고지방식이+ 5% 함초 보충식이군(SD, n=8)으로 분류하여 8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SD군의 지방조직 중량은 HD군에 비해 약 25%정도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골격근의 중량은 SD군이 HD군에 비해 약 5%정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SD군의 혈청과 간장 내 중성지방은 HD군에 비해 약 20%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SD군의 골격근 내 $PGC-1{\alpha}$$PPAR-{\gamma}$ 단백질 발현은 HD군에 비해 1.5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 부터 함초 보충은 골격근 내 $PGC-1{\alpha}$$PPAR-{\gamma}$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통하여 지방감소 및 근육량 증가에 효과적이었음이 시사되었다.

포도씨 탈지박 추출물 처리가 3T3-L1 Preadipocyte 내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Defatted Grape Seed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최용민;이선미;김영화;전건욱;성지혜;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27-9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농산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포도씨 탈지박 m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GSE에 의한 TG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3T3-L1 preadipocyte에 농도별(0, 25, 50, 100, 200 ${\mu}g/mL$)로 처리하면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DGSE는 지방세포내의 TG 생성과 GPDH 활성 및 주요 전사 인자인 PPAR$\gamma$ 및 C/EBP $\alpha$$\bet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SE는 100 ${\mu}g/mL$의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지방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소토사자환이 ob/ob mouse의 혈당, 고지혈증, Polyol Pathway 및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tosajahw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Antioxidative Mechanism in ob/ob Mouse)

  • 박성호;정지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63-1169
    • /
    • 2007
  • Effects of Sotosaja hw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Antioxidative Mechanism in ob/ob Mouse Diabetes is a disease in which the body does not produce or properly use insulin. Etiological studies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howed that oxidative stress might play a major role. Therefore, many efforts have been tried to regulate free oxygen radicals for treating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otosaja-hwan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antiaging and composed of four crude herbs. In male ob/ob mouse in severe obesity, hyperinsulinemia and hyperlipidemia, which are features of NIDDM, the hyperglycemic activites and mechanisms of Sotosaja-hwan were examined. Mice were grouped and treated for 5 weeks as follows. Both the lean (C57/BL6J black mice) and diabetic (ob/ob mice) control groups received standard chow.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with a diet of chow supplemented with 30 and 90 mg Sotosaja-hwan per 1 kg of body weight for 14 days. The effects of Sotosaja-hwan extract on the ob/ob mice were observed by measuring the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lipid components, and the kidney level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cdot}O_2)$, MDA+HAE, GSH/GSSG ratio, and also the enzyme activities involved in polyol pathway. Sotosaja-hwan lowered the levels of serum glucose and insuli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decreased,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in Sotosaja-hwan treated groups. Renal aldose reduct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ob/ob mice, whereas those were inhibited in the Sotosaja-hwan-administered groups. Sotosaja-hwan inhibited the generation of ${\cdot}O_2$ in the kidney. Finally, MDA+HAE levels was increased and GSH/GSSG ratio was decreased in the ob/ob mice, whereas those were improved in the Sotosaja-hwan-administered groups. Sotosaja-hwan showed the antidiabetic and anti hyperlipidemic activities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polyol pathway enzymes,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and reducing the MDA+HAE levels in the ob/ob mice.

경도비만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과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Mildly Obese Women)

  • 김태수;양웅석;박소이;이성표;강명화;이재환;박일범;박현준;무라이 히로미치;오카다 타다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3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performed joint anim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between Yonsei University and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d. We have shown that coffee bean extract has potent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activities as well as beneficial effects on body fat reduction.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ffee bean extract (100 mg/capsule) on body fat reduction were evaluated i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of 25~30 $kg/m^2$ or body fat > 30%) not diagnosed with any type of disea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ffee bean extract group (n=10) or placebo group (n=10).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bdominal fat distribu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blood components befor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supplementatio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body weight (p=0.08), body mass index (p=0.06), hip circumference (p<0.05), and upper waist circumference (p< 0.01). In addition, after 8 weeks,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bdominal internal fat area compared to 0 weeks (0 weeks : $155.8cm^2$; 8 weeks : $145.9cm^2$, ${\Delta}$ change : $-9.9cm^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pid profiles or serolog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results of our human study demonstrated that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for 8 weeks has beneficial effects on reducing abdominal internal fat area as well as hip and waist circumferences.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Apios americana Medik Extract Alleviates Lung Inflammation in Influenza Virus H1N1- and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 Sohn, Sung-Hwa;Lee, Sang-Yeon;Cui, Jun;Jang, Ho Hee;Kang, Tae-Hoon;Kim, Jong-Keun;Kim, In-Kyoung;Lee, Deuk-Ki;Choi, Seulgi;Yoon, Il-Sub;Chung, Ji-Woo;Nam, Jae-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146-2152
    • /
    • 2015
  • Apios americana Medik (hereinafter Apios) has been reported to treat diseases, including cancer, hypertension, obesity, and diabetes. The therapeutic effect of Apios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Apios in animal models of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or pandemic H1N1 2009 influenza A virus (H1N1). Mice were exposed to LPS or H1N1 for 2-4 days to induce acute lung injury. The treatment groups were administered Apios extracts via oral injection for 8 weeks before LPS treatment or H1N1 infec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ios, we assessed the mice for in vivo effects of Apios on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the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lung. After induction of acute lung injury, the numbers of neutrophils and total cells were lower in the Apios-treated groups than in the non-Apios-treated LPS and H1N1 groups. The Apios groups tended to have lower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a and interleukin-6 in BAL fluid. In additio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lungs were markedly reduced in the Apios-treated groups. These data suggest that Apios treatment reduces LPS- and H1N1-induced lung inflammation. These protective effects of Apios suggest that it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acute lung injury.

감태 추출물이 지니는 Lipase 저해활성의 열 및 pH 안정성 (Inhibitory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Lipase Activity and Stability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 정지연;김꽃봉우리;이청조;곽지희;김민지;김동현;선우찬;김태완;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69-974
    • /
    • 2011
  •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20분, $121^{\circ}C$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분절수면과 식이제한이 식욕조절 호르몬 및 심혈관 위험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Sleep Fragmentation and Diet Restriction on Appetite-Regulating Hormones and Cardiometabolic Indicators)

  • 전누리;백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3-160
    • /
    • 2017
  • 본 연구는 7주령의 백서 40마리를 이용하여 만성 분절수면과 식이제한이 식욕조절 호르몬을 포함한 심혈관 위험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13일 동안의 만성적인 분절수면 및 식이제한의 조건에 노출된 백서의 체중 변화와 혈중 leptin, ghrelin, adiponectin, cortisol, epinephrine, norepinephrine 등의 호르몬 농도, 심혈관 위험지표인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를 대조군 및 3군의 실험군(만성 분절수면 군, 식이제한 군, 분절수면과 식이제한 모두를 적용한 군)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기간 동안 만성 분절수면 군에서 백서의 체중이 증가하며, 혈중 leptin 및 adiponectin 농도가 감소하고 ghrelin 농도가 증가하여 결국 혈중 LDL-cholesterol 농도가 증가하였다. 분절수면과 식이제한을 동시에 적용한 백서에서는 체중이 감소하고 adiponectin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ghrelin 농도는 분절수면만 했던 백서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이제한이 식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백서에서 혈중 leptin 농도가 현격히 감소하고 혈중 LDL-cholesterol 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만성 분절수면 환자들의 심한 식이제한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