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3초

葯培養 由來 녹색꽃양배추(Broccoli)의 幼植物 馴化 및 培數性 調査 (Polyploidy and Acclimatization Rate of Broccoli Plane Derived from Anther Culture)

  • 이광식;박재복;안춘희;윤여중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15-318
    • /
    • 1998
  • 약배양 유래 녹색꽃양배추의 유식물 순화율 및 배수성을 조사하였다. 7가지 공시 품종중 순화율에 있어 Marathon은 80.8∼100%, Landmark는 79.2∼100%, Mariner는 71.4∼79.2%로 나타나 평균 순화율은 83.6%∼86.1% 이였다. 소포자 배에서 생성된 식물체의 배수성은 공변세포내 엽연체수 측정으로도 가능했으며, 또한 배수성의 조기측정을 위해 I-KI용액을 사용하여 엽록체의 즉시염색 관찰이 가능했다. 관찰된 평균 엽녹체수는 반수체가 8.5, 2배체는 13.5, 그리고 4배체는 18.5개로 나타 났으며 이를 기초로 분류한 재분화개체의 배수성은 반수체 47.1∼51.3%, 2배체 47.9∼51.7%, 4배체 0.8∼l.2% 로서 반수체와 2배체가 각각 반씩이고 4배체가 극히 적게 분포하며 인위적인 염색체 배가 없이도 상당수의 자연 배가된 2배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고추 약배양을 통한 고빈도 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s of Pepper)

  • 안민영;김용권;민성란;정원중;인동수;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19-322
    • /
    • 1998
  • 여러 계통의 고추(Capsicm annuum L.)의 약을 이용하여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였다. 꽃받침 위로 꽃잎이 2mm 올라온 미성숙 화뢰에서 상부로부터 절반 이하로 착색된 약을 채취하여 0.1mg/L 2,4-D와 0.1mg/L kinetin이 첨가된 Dumas 고체배지에 치상하였다. 배양 4주후부터 배가 발생하였으며, 8주후의 배발생 빈도는 최고 58.3%였다. 배는 MS 기본배지로 옮겨주었을 때 95이상이 발아하여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 PDF

Effect of Genotype of Donor Plants on the Success of Anther Culture in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 Shrestha, Surendra Lal;Kang, Won-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06-512
    • /
    • 2009
  • To study the effect of genotype of donor plants on anther culture, anthers of nine hybrid cultivars (Derby, Special, Bossanova, Minipaprika, Fiesta, Boogie, Phenlene, Kufrah, and Clarity)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were cultured in a petridish containing C medium (Sibi, Dumas De Vaulx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2,4-D and 0.1 mg/L kinetin, 3% sucrose and 0.32% Phytagel. The cultures were incubated in the dark at $35^{\circ}C$ for seven days, and then cultured at $25^{\circ}C$ with a photoperiod of 16 hr. daylength for 40 days. Frequency of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was varied among cultivars. Callus formation was ranged from 6% in Phenlene to 69.8% in Kufrah. The highest percentage of regenerated plantlets was obtained in cv. Phenlene (2.67%) followed by Bossanova (2.41%). Result of ploidy analysis; chromosome number observation and flow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haploid plants could be developed from all of these hybrid cultivars except cv. Fiesta, where highest percentage of haploid plants were obtained in Minipaprika (40%) followed by cv. Bossanova (36.1%). Haploid plants derived from these hybrid cultivars contained single set of chromosome (12 in numbers), higher stomata density (numbers), and smaller sized stomata as compare to diploid plants. The mean length of stomata was 26.9 ${\mu}m$ in haploid plants and 35.7 ${\mu}m$ in diploids.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X 톨페스큐 속간 교잡종의 약배양 기법을 이용한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New Regenerated Plants by Anther Culture of the Hybrids of Italian ryegrass X Tall fescue)

  • 김기용;강경민;최기준;장요순;임영철;김맹중;김종근;김원호;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3-278
    • /
    • 2002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norum Lam.)와 톨페스큐 (Festuca arundinacea Schreb.)의 속간 교잡종 3계통에 대한 약 배양을 실시하여 약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NAA 2 mg/$\ell$, kinetin 1 mg/$\ell$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평균 11.6%였으며, 캘러스의 크기는 평균 9.1 mg/callus/anther 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 NAA 1 mg/$\ell$, kinetin 2 mg/$\ell$을 첨가한 재분화 배지에 캘러스를 치상하여 배양 50일만에 완전히 재분 화된 식물체를 얻었으며,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 되는 비율은 평균 27.1%였고, Hyb-1 계통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30.2%로서 가장 높았다.

배지응고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벼 약배양 효율 (Effects of Gelling Agent Brands and Concentration on Rice Anther Culture)

  • 양세준;오병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95-299
    • /
    • 1998
  • 벼 약배양 배지에 첨가되는 배지응고제의 종류와 농도가 캘러스형성 및 식물체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응고제인 Bacto agar(Difco, 04140-01), Agrose(Sigma, Type 1) 0.4% 처리에서 각각 39%, 55%의 캘러스형성율을 보였으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캘러스 형성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Gelrite(Kelco, 143364)의 0.2~0.8%처리에서는 농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0.6% 처리에서 44%의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다. 고농도 배지응고제 처리에서 형성된 캘러스는 생장이 늦은 반면 작고 단단하며 백색에 가까운 배발생적인 특성을 보였다. 식물체재분화율은 고농도 배지응고제 처리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양호하였으며, 또한 고농도 배지응고제가 첨가된 식물체분화배지에서 높았다. 저농도 배지응고제 처리에서 형성된 약치상후 60일된 캘러스는 식물체 재분화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치상된 약에 대한 최종적인 식물체분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0.6∼0.8% Gelrite 첨가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1.6% Bacto agar 및 Agarose 또는 0.8% Gelrite 식물체분화배지에 이식할 것을 추천한다.

  • PDF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약 및 조직배양 반응 (Response to Anther and Tissue Cultures of Corn, Pearl Millet and Buckwheat Genotypes)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2-146
    • /
    • 1989
  •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약 또는 조직배양기술의 향상을 위한 유전자형 및 문제점들을 찾아내어 개선하기 위하여 1988년 작물시험장 약 및 조직배양 연구실에서 실시한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약배양에서 FR1141/FR16 교잡종이 N6배지에서, Fla 2BT 73/S 6013 교잡종은 5$^{\circ}C$에서 7일간 저온전처리를 한 후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callus가 형성되었으나 27 공시 교잡종의 전체 37,450 약중에서 단지 두 개만이 callus가 형성되었다. 2. 옥수수 수원 19호의 미숙배를 MS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모두 callus가 형성되었으며 이 callus로부터 녹색체 분화율은 8.6%이었다. 3. 옥수수 수원 99호 등 20품종의 미숙웅수배양에서는 FR1141/FR16, B68/A116N//KS15, KS16/KS17, Ga209/DN578, SDB126/Ga209 교잡종 등에서 callus 형성율이 비교적 높았다. 4. 진주조$\times$Napier grass 종간교잡종의 조기배양에서 간의 조기ㅐ양에 적합한 절간신장부위의 절편크기가 2.5~4.0mm 이었고 callus 형성율이 50~100%로 비교적 높았다. 5. 메밀 신농 1호 식물체 분화율은 27%이었다. Epicotyl에서 유도한 callus에서 1개 식물체가 분화하였다. 6.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유전자형$\times$배지 및 환경 상호작용이 있어 유전자형에 따라서 약 및 조기배양반응이 크게 달랐다.

  • PDF

벼 약배양 1단계 및 2단계 배양을 이용한 캘러스 유도 및 식물 재부화율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Rates Using One-step and Two-step Cultures for Rice Anther Cultivation)

  • 박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5-388
    • /
    • 2021
  • 벼 육종을 위한 약 배양은 기존 육종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데 최소 6세대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여 동형접합자를 신속하게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 약 배양기술은 방법론적 관점에서 더 많은 녹색 식물을 얻을 기회를 제공하며, 약 배양에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배양의 효율성을 높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액과 배양 방법이 다른 1단계와 2 단계 배양의 캘러스 유도율과 녹색 식물 재분화율로 비교하였다. 1단계 배양은 하나의 배지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 재생을 허용하는 반면, 2 단계 배양은 두 개의 다른 배지에서 유도 및 식물 재분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1 단계 및 2 단계 배양으로 벼 꽃밥의 캘러스 유도와 식물 재생률을 비교했다. 캘러스 형성률은 1 단계 배양의 경우 13.0 %, 2 단계 배양의 경우 8.6%로 2 단계 배양보다 1 단계 배양에서 4.4% 더 높았다. 식물 재분화율은 1 단계 배양에서 1.0%, 2 단계 배양에서 3.0 %로 1 단계 배양보다 2단계 배양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3배 더 높았다. 이것은 2 단계 배양이 반수체 생산을 위한 1 단계 배양보다 더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담배 (Nicotiana tabacum L.)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 배가계통의 특성 (Dihaploid Plant Characteristics from in Vitro Anther Culture of Nicotiana tabacum L.)

  • 이승철;진정의;안동명;이상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3
    • /
    • 1979
  • 담배品種 ( Nicotiana tabacum L.) "SC 72"와 "Hicks" 를 文配하여 그$F_1$ 잡종식물의 葯으로부터 誘起한 반수체배가계통들의 특성을 檢定하였던 바, 交配親의 平均値에 비하여 生育特性은 현저히 저하하고, Total Alkaloids 는 증가하며, Reducing Sugar는 감소하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황색종 연초의 세균성마름병 저항성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방법 비교 (COMPARISON OF VARIABILITY IN BREEDING METHODS FOR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IN FLUE-CURED TOBACCO)

  • 진정의;고미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4
    • /
    • 1987
  • Lines were developed from the two crosses, BY4 X NC 82 and BY 4 X BY 104, by bulk, backcross and anther-derived dihaploid methods of breeding , and their variations in major agronomic, chemical characters, heritability, and response to selection were compared. 1. The anther-derived dihaploid lines showed a greater genetic variability and heritability in characters investigated than the lines developed by the other two methods of breeding . However, those were Inferior In agronomic characters and yielded 15.4% less leaf tobacco than the lines developed by the bulk method. 2. The lines developed by bulk method were higher In the frequency of lines resistant to bacterial wilt and in the yield, but Its lines appeared later flowering. inferior leaf Quality, and higher total nitrogen contents than those developed by the backcross method of breeding. 3. In the population of the lines developed by the backcross method, bacterial wilt resistant lines were less frequent, but the lines with a good leaf quality were more frequent.

  • PDF

한국산 피나무속 식물의 개화와정과 수분기작 (Flowering Process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Genus Tilia in Korea)

  • Chung, Yung 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3호
    • /
    • pp.107-127
    • /
    • 1984
  • An anthecological study of Tilia in Korea was undertaken for six native and one introduced species. Flowers are protoandrous with anther and stigma opening during the day-time in section(sect) Anastraea and the night-time in sect Astrophilyra. Nectar production was coincided with anther and stigma opening. It is revealed that the primary role of floral bracts was attracting pollinators especially in sect Astrophilyra. The peak of stamen and stigma function, and the production of nectar and odor were closely related with pollinator attraction. Forthy-three species of insects in 30 families were identified for the pollination studies; bees were the most commonly observed visitors in sect Anastraea, while moths were the primary visitors in sect Astrophilyra. Pollination study indicate that it is section specific. But within a section, pollination is not species specific thus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ccu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