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disloca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45초

턱관절 탈구의 보존적 치료법에 대한 증례보고 (Conservative management of dislocated temporomandibular joints: A case report)

  • 박좋은;김혜경;최희훈;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19-324
    • /
    • 2013
  • 턱관절의 탈구는 과두가 관절와를 벗어나 환자 스스로 원래 위치로 정복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양측성 전방 탈구가 가장 흔하며 탈구의 빈도와 발생 기간에 따라 급성, 만성, 재발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턱관절 탈구의 치료법으로 수조작 같은 보존적 방법부터 수술적 접근법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치료법의 선택은 주로 탈구가 발생한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본 증례를 통해서 수조작을 시행하여 턱관절의 탈구를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와 과두의 정복에 실패했으나 만성적으로 적응된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 대신 보철 치료로 교합을 회복시켜준 사례를 소개하고 그 의의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Intra-articular Lesions and Clinical Outcomes in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Humerus

  • Lim, Kuk Pil;Lee, In Seung;Kim, In-B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4호
    • /
    • pp.195-200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intra-articular lesions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TASD) associated with greater tuberosity (GT) fracture of the humerus. Methods: Subjects included 20 patients who were surgically or non-surgically treated for GT fracture of the humeurs with TASD, and followed-up for at least 2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4.1 months (range, 24-105 months). Of the 20 patients, 12 were treated surgically. Intra-articular lesions were identified randomly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s (repeated thrice) by experienced radiologists and orthopedic surgeons. The accompanying intra-articular lesions were left untreate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Simple Shoulder Test (SST) and 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 (WOSI)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Intra-articular lesions were identified in 19 patients: 7 Bankart lesions, 15 humeral avulsion of the glenohumeral ligament lesions, 3 glenoid avulsion of the glenohumeral ligament lesion, and 6 inferior capsular tears. Two or more intra-articular lesions were identified in 6 patients. The mean SST score was 10.9 and the mean WOSI score was 449.3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s: For GT fracture of the humerus with TASD, a high frequency of diverse intra-articular lesions was identified. There were no incidence of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s, and good clinical outcomes were obtained without treatment of the intra-articular lesions. We thereby comprehend that although intra-articular lesions may occur in TASD associated with GT fracture of the humeurs, merely treating the GT fracture of the humerus is sufficient.

성인에서 발생된 요골 두 급성 전방 탈구 - 증례 보고 - (Isolated Anterior Dislocation of the Radial Head in Adult - A Case Report -)

  • 허윤무;김우식;김성훈;전택수;김상범;오병학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31-135
    • /
    • 2007
  • 23세 남환에서 발생한 요골 두 급성 전방 탈구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수상 당시 전완부는 회내전, 주관절은 약간 굴곡되어 있었고, 손이 지면에 닿아 체중이 실리면서 주관절의 갑작스런 과도한 회내전이 발생하였다. 요골 두는 상완근의 외측 근육 다발에 의해 감돈 되었고, 윤상인대가 척골의 후방 부착부에서 견열되어 요골 두와 소두 사이에 끼어 정복을 방해하였다.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였다. 12개월간 추시 관찰을 하였으며 요골 두의 정복은 잘 유지되고 있었고 주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다.

중족근 관절 탈구: 1예 보고 (Chorpart's Dislocation: A Case Report)

  • 최준원;최준철;나화엽;심동준;김영호;이상호;조형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124
    • /
    • 2005
  • The midtarsal joint which consists of the talonavicular and calcaneocuboid joints lies transversely across the medial and lateral arches of the foot. Complete dislocation of this joint unassociated with fracture is extremely rare. A 36 year-old male who was injured by motor vehicle accident came to help for his left midfoot pain and deformity. We misdiagnosed as subtalar dislocation. Closed reduction was performed. We reviewed initial and post-reduction X-rays, and then we diagnosed as Chopart's dislocation. CT scan was taken; it showed fracture of the anterior process of the calcaneous.

  • PDF

관절경을 이용한 고 빈도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의 재건술 (Arthroscopic Reconstrucion in Megafrequency of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s)

  • 고상훈;유총일;조성도;최창혁;전인호;우종근;곽창렬;윤동진;최승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4-200
    • /
    • 2005
  • 목적: 수면중 탈구가 동반된 고 빈도를 보이는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제한된 증례에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하 견갑 상완 인대 전대의 축화 성형술과 전하 관절 낭-관절 순 복합체의 상방 전위와 더불어 보조적으로 시행된 후 하방 봉합 축화술, 열선 수축술, 회전간 폐쇄술의 단기 추시 결과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수면중 탈구가 동반된 고민도 재발성 탈구를 보인 드문 증례에 대하여 18예의 증례를 분석하였다. 평균 나이는 29.4$(21{\sim}37)$세 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2.1$(12{\sim}45)$개월이었다. 술전과 술후 6개월, 1년, 마지막 추시에서 운동 범위와 Rowe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수 6예, 우량 10예로 우량 이상이 88.9%(16예)였으며 보통이 1예, 불량이 1예였다. 결론: 수면중 탈구를 동반한 고 빈도 탈구를 보이는 재발성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하 재건술은 좋은 결과를 보여 관혈적 술식의 대체 방법이 될 수 있지만, 더 많은 증례에 대한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관절와의 심한 골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장골 이식술을 이용한 관절와 재건술 - 2예 보고 - (Reconstruction of the Glenoid Using Iliac Bone Graft for Recurrent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Severe Glenoid Bone Defect - A Report of Two Cases -)

  • 이성만;정원주;이현주;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17-122
    • /
    • 2010
  • 목적: 본 증례 보고는 간질 발작과 동반된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에 의한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자가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을 통한 관절와 재건술 및 안정화 술식을 시행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간질 발작과 동반된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을 가진 2예의 재발성 전방 탈구를 자가 삼면 피질 장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관절와 재건술 및 안정화 술식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결과: 수술 후 5개월째 단순방사선 촬영상 이식골의 유합 소견이 관찰되었고, 수술 전 소견과 비교해서 골관절염의 진행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7개월 추시 관찰 상 통증은 거의 없었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정상 운동 범위를 보였으며, 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심한 전방 관절와 골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탈구는 충분한 골 이식을 통해 전방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관절 면을 비교적 잘 일치시켜 정상 관절와의 오목함을 재건할 수 있고 관절염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등속성 검사를 통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 환자와 정상인의 회전력 비교 (Comparison of Rotational Strength in Shoulders with Anterior Instability and Normal Shoulders Using Isokinetic Testing)

  • 이동기;김태권;이진혁;이대희;정웅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79-85
    • /
    • 2012
  • 목적: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는 탈구에 대한 불안감 및 탈구시의 통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운동 및 활동을 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와 정상인 사이의 내회전 및 외회전력에 대해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시행하여 전방불안정 환자에서 나타나는 회전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우측 우세수의 견관절 전방 불안정 진단 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시행한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견관절의 전방불안정 증상이 없는 정상 성인 15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대상군 및 대조군 모두 남성이었으며 두 군간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 등의 차이는 없었다. 등속성 근력 검사는 Biodex system (Biodex Medical Systems, Shirley, NY, USA)을 사용하여 60 deg/sec, 180 deg/sec 의 각속도로 견관절의 외회전력 및 내회전력의 체중보정 최대우력 (peak torque)과 총 일량을 측정하였고, 외회전, 내회전 최대우력비율 및 운동피로도를 계산하였다. 두 군간에 각 측정치를 비교하여 전방 불안정 환자의 회전력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불안정증이 없는 좌측 견관절의 등속성 회전근력은 양군 사이에 모든 측정치에서 차이가 없었다. 우측 견관절의 등속성 근력 검사결과 내회전력은 전방 불안정환자와 정상 대조군 간 모든 각속도에서 최대우력 및 총 일량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회전력의 체중보정 최대우력과 총 일량은 전방불안정 환자에서 60 deg/sec 및 180 deg/sec 두 각속도에서 모두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고, 외회전력/내회전력의 최대우력비율 역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운동피로도는 외회전력, 내회전력 모두 양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는 견관절의 외회전력이 감소되어 있고 내회전-외회전력의 균형이 소실되어 있으나 근피로도는 정상으로 판단되며 이는 견관절 탈구 환자의 보존적 치료나 재활에 있어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심한 경추부 외상후에 전방 경추부 수술후 발생한 식도의 누공 (Esophageal Fistula Related to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after Severe Cervical Trauma)

  • 팽성화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278-282
    • /
    • 2012
  • An esophageal perforation following anterior cervical fusion is rare. Early development of an esophageal perforation after anterior cervical fusion is usually due to iatrogenic injury from retraction, injury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traumatic incident, improperly placed instruments or a bone graft. A 31-year-old man had a cervical dislocation and spinal cord injury because of severe cervical trauma after a traffic accident. He was quadriplegic and had no feeling below T4 dermatome. Anterior decompression of the cervical spine and anterior fusion with mesh with autobone were performed. An esophagocutaneous fistula occurred 7 days after anterior cervical surgery. A second anterior surgery was done because of pus drainage. The mesh was changed with an iliac bone graft, and the esophagocutaneous fistula site was primary repaired, but pus continued to drain. Conservative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wound drainage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was tried, but was unsuccessful. After all, we removed the plate and screws, but did not removed the iliac bone graft, We closed the esophageal fistula, and transposed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to the interspace between the esophagus and the cervical spine. The wound to the esophagus was well repaired. In conclusion, precautionary measures are needed to avoid the complication, and adequate treatment is necessary to resolve those complications when they occur.

견과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Bankart 술식의 결과-관절경적 술식과 관혈적 술식의 결과 비교- (The Results of Bankart Repair for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Arthroscopic versus Open Bankart Procedure -)

  • 이용걸;박재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60-73
    • /
    • 199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tient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ho were treated with an open Bankart procedure with those treated with an arthroscopic procedure, an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l outcomes and recurrence. Materials & Methods : One hundred seven shoulders underwent open Bankart repair, and fifty-one shoulders were treated arthroscopically. Average followup for open group was 34 months, and for arthroscopy group was 25 months. The Bankart Rating System by Rowe was us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the procedure. And, the patients were asked about any changes concerning their sports and professional activities. Results: According to Bankart Rating system by Rowe, open group had 97% fair to excellent results with 2 recurrent dislocation(1.8%) and 4 recurrent subluxation(3.6%), and arthroscopy group had 94% fair to excellent results with 3 recurrent dislocation(5.8%) and 4 recurrent subluxation(8%). In open group, 9 shoulders(8.4%) had the mild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at the time of followup, and 2 shoulders(3.9%) in arthroscopy group. Age and gender do not seem to be a significant factor contributing to an increased re-recurrence rate. The incidence of re-recurrence seems to be affected by dominance, frequency, and patient's activity. The size of Bank art lesion might be also considered as a contributing factor. Conclusion: Either open or arthroscopic Bankart procedures are safe and effective methods with acceptable results if an adequate patient's selection, precise surgical technique and proper postoperative care are done. And arthroscopic surgery could be considered if the anterior instability is non-dominant, non-athlete, traumatic unidirectional and Bankart lesion has minimal erosion of the glenoid and it has thick and mobile labrum.

  • PDF

견관절 초기 전방 탈구와 재발성 전방 탈구 (Initial and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in Shoulder)

  • 김영규;이재훈;김현민;이충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48-153
    • /
    • 2005
  • 초기 탈구에서 시행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재발성 탈구의 Bankart 복원술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절경상 관찰되어진 관절낭 인대의 이완이나 관절와 연의 마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초기 탈구에서 발생된 Bankart 병변이 술기상으로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으며 치유도 잘 되어 재발율이 감소될 것으로 생각되었고, 조기 수술적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일상 생활 및 스포츠 활동이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활동력이 왕성하고 운동을 좋아하는 젊은 층이나 운동 선수에서는 문헌상에서 보고되고 있는 초기 탈구 후의 높은 재발율을 고려하여 초기 탈구 발생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초기 탈구시 조기 안정화 술식을 시행할 지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적응이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