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r Expression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6초

감사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hanksgiving Program on Children's Anger Control)

  • 서덕남;박성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79-9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사프로그램은 아동의 분노조절에 효과를 미칠 수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K초등학교 5학년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10회기에 걸쳐 감사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감사프로그램은 감사하는 마음이 무엇인지 긱이 생각해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주변에서 감사할 거리들을 찾아보고, 그 감사함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해 보도록 해 주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다. 연구는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는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처치를 하는 실험집단을 설정하여 연구결과를 얻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운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참여수준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운영이 끝난 후 쿠폰을 이용하여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아동들에게 같은 내용으로 실시된 사전, 사후 분노척도검사를 통해 얻어진 분노척도점수를 집단간 비판분석을 하여 감사프로 그램의 분노조절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감사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상태분노, 특성 분노, 분노억압, 분노표출, 분노통제의 5가지 분노영역에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났다. 즉, 감사를 이용하여 개발된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이 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감사의 긍정적인 특성으로 정서 및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노지혜(2005), 권선중 외(2006), 김동희(2008)의 연구처럼 감사의 정서를 이용하여 만든 감사프로그램이 분노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었다.

  • PDF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hort-form Geriatric Reaction Inventory to Measure Anger)

  • 엄진섭;박지은;전하정;정이내;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95-104
    • /
    • 2017
  • 분노반응검사(Evans & Stangelang, 1971)는 분노를 유발하는 자극의 관점에서 분노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이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항수가 너무 많아 적은 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분노반응검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타당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제작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 76문항으로 구성된 분노반응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이론에 기초하여 76개의 문항들 중에서 10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들로 구성된 또 다른 표본을 대상으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와 타당도 확인을 위한 검사들을 함께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의 Cronbach 는 .79로 양호한 수준의 신되도를 보였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는 특성분노를 반영하는 검사이므로, 특성분노를 측정하는 검사점수와 상관이 높아야하고, 분노의 다른 측면을 반영하는 점수와는 낮은 상관을 보여야 타당하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 점수는 상태-특성 표현 척도의 특성분노 점수와 .60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표출 점수와 .39의 상관을 보였고, 적대감 점수와 .41의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체질의학적 관점에서 본 화병환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Exploration of Hwabyung (anger syndrom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onstitutional medicine)

  • 전겸구;임채환;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3-202
    • /
    • 2001
  • Purpose: Hwabyung is a culture-bound syndrome in Korea, characterized by emotional stress such as anger, depression, and anxie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based on constitutional medicine, for their symptoms, duration, and coping styles. Method: Participants were 57 Hwabyung patients selected by Hwabyung criteria. They were also diagnosed for their constitution by doctors specialized in constitutional medicine.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respond to a variety of items such as cause and duration of stress, symptoms of hwabyung, anger and depression, and coping styles. Eight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total sample; two male patients and six patients unable to be diagnosed for any particular type of constitution. Thus, final sample was 49 female hwabyung patients, which will be reported in what follow. Result: To begin with, constitutional typ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coping styles as 'perseverance,'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on,' and 'emotional pacification.' More specifically, post-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aeeumin(person who have taeeum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perseverance' compared-to other two types of constitution. Taeumin also revealed higher score than Soeumin(person who have soeum characteristics) in 'positiv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marital status, the married compared to the unmarried showed higher score in 'anger-control,' and lower score in 'anger-in.' The married compared to the unmarried, regarding coping styles, also showed higher score in 'accommodation,' but lower score in 'emotional expression.' The duration of hwabyung revealed that the longer duration of hwabyung, the more frequent utilization of 'positive interpretation' and 'emotional pacification. Conclusion: The main purpose, the exploration of hwabyung based on four types of constitution, was not supported, as a whole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marital status and duration of hwabyung appear to influence on emotional stress (e.g., anger) as well as coping styles, suggesting that these variables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studies on hwabyung.

  • PDF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 및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Boy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양선이;오윤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29-439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mong boys in high schoo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3 high school boys from Jeju. Measurements include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entrapment scal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and questionnaires to assess mental and physical health.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SPSS 21.0.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Mean scores for anger experience, entrapmen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29.81{\pm}7.34$, $34.09{\pm}16.33$, $45.75{\pm}7.02$, $22.51{\pm}9.91$,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g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Entrap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Sobel test: Z=54.18. p<.001).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psychological health (Sobel test: Z=2.24. p=.02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social support programs for boys in high school.

청소년의 외재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 윤미경;박은영;손정아;현명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16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in two high schools in 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4 by use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Korean Youth Self-report, Daily Hassles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Ego Resili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mprised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relation with parents, daily stress, and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6% of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Ego resiliency, anger-in, daily stress, gender, relation with parent, and anger-ou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5% of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behaviors differ from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o these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differentiated by problem behavior type.

학교기반 분노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hool-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SAMP) for Adolescents)

  • 박영주;유호신;한금선;권정혜;김한겸;조윤정;강현철;천숙희;윤지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5-15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chool-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SAMP) of 4 sessions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 anger, anger expression, psychosomatic responses, psychosocial responses, and immunologic responses in adolesc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Chi-square test, t-test, paired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utcome variables except for lymphocytes. However, following additional analy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ime point were observed for pain sensitivity, T cell, Helper T (Th) cell, Suppressor (Ts) cell and Natural Killer (NK) cell post-treatment, entrapment and psychosomatic symptoms at the 4-week follow-up, and resilience at the 10-week follow-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lthough some modifications in contents and administration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anger management, SAMP can be used to promote anger management ability in adolescents.

중년여성에게 실행한 한방음악치료 전후(前後) 자아존중감 및 분노와 우울증상 개선에 대한 1례(例) (The Case Study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s Effect on Improving Middle Aged Woman's Self-Esteem Inventory & Anger Expression and Depression)

  • 이승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8
    • /
    • 2014
  • Objectives: The study was implemented to observe how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influences on curing the symptoms of anger and depression. Method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an age of 43 female who usually suffers from headache and dizziness, and frequently gets angry at her daughter.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n hour, 1 times a week. In the present study, the whole program consisted of 7 sessions. Other than the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the patient had never been cured by other treatments. Result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XI analysis, the patient with anger scale of 36 (before treatment) became to have anger scale of 31 after the treatment, indicating that the therapy had positive effect on curing the anger symptom. 2. Moreover, the analysis result of BDI showed that the patient with depression scale of 17 (before treatment) turned out to be non-depression state, which he had the depression scale of 8. Regarding the results above, it was observed that the treatment cured the depression symptom. 3. Based on the result of SEI analysis, the patient with a SEI score of 139 (higher the SEI score, more the self-esteem one has) became to have score of 142 after the treatment.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has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one's anger or depression control and self-esteem. Clinical trial is need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Factors of Self-esteem, Anger Expression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김지현;김향수;김건희;김민주;김윤선;김정원;남경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7-167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분노표현, SNS중독경향성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20년 5월 18일~28일까지 총 10일 간 S시, G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SNS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1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r=-.385, p<.001), 분노조절(r=-.354, 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 분노표출(r=.321, p=.001), 분노억압(r=.308, p=.002)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β=-.297, p=.001), 성별(β=.266, p=.003), 분노표출(β=.247, p=.007) 순으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7%로 나타났다(F=12.279, p<.001). 따라서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분노표출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에서 여자 고등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정신질환자들에 동반된 기능성 위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 강등현;장승호;류한승;최석채;노승호;백영석;이혜진;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 동반된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Rome III questionnaire - Korean version에 따라 FGID를 선별하여 1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결 과 FGID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chi}^2=10.139$, p=0.017). FGID 집단에 따른 정신질환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11.408$, p=0.022) IBS 집단은 불안(t=-3.106, p=0.002), 우울증상(t=-2.105, p=0.037), 신체증상(t=-3.565, p<0.001), 특성분노(t=-3.683, p<0.001), 분노-억제(t=-2.463, p=0.015), 분노-표출(t=-2.355, p=0.020)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집단에서는 불안(t=-4.893, p<0.001), 우울증상(t=-3.459, p<0.001), 신체증상(t=-7.906, p<0.001), 특성분노(t=-4.148, p<0.001), 상태분노(t=-2.181, p=0.031), 분노-억제(t=-2.684, p=0.008), 분노-표출(t=-3.005, p=0.003)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증(Nonerosive reflux disease) 집단에서는 불안(t=-4.286, p<0.001), 우울증상(t=-3.402, p<0.001), 신체증상(t=-7.162, p<0.001), 특성분노(t=-2.994, p=0.003), 상태분노(t=-2.259, p=0.025), 분노-억제(t=-2.772, p=0.006), 분노-표출(t=-2.958, p=0.00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서 FGID의 유병률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정신사회적 변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의학적 접근은 FGID 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가상 캐릭터의 몸짓과 얼굴표정의 일치가 감성지각에 미치는 영향: 어떤 얼굴표정이 중요한가? (The Congruent Effects of Gesture and Facial Expression of Virtual Character on Emotional Perception: What Facial Expression is Significant?)

  • 류지헌;유승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1-34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에서 구현되는 가상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감성 상태(기쁨, 슬픔, 공포, 화남)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 캐릭터의 얼굴표정과 몸짓이 표현하는 감성 상태의 일치여부에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의 감성 상태를 어떻게 지각하며, 가상 캐릭터의 몸짓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몸짓과 얼굴표정의 감성표현을 동일하게 구성한 일치조건, 정반대의 감성표현으로 구성된 불일치조건, 그리고 무표정한 얼굴표정으로 구현된 통제집단을 구성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슬픔 조건에서 의도된 감성 상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화난 것으로 지각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감성 상태에서는 몸짓과 얼굴표정의 일치여부는 의도된 감성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감성 상태의 표현에 대한 가상 캐릭터의 전체적인 몸짓에 대한 평가에서는 기쁨을 표현한 몸짓이 불일치 조건의 얼굴표정을 갖게 될 때, 평가 점수가 낮았다. 가상 캐릭터의 감성을 표현할 때는 얼굴 표정도 중요하지만 몸짓 자체의 감성표현이 전반적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상 캐릭터의 성별이나 연령과 같은 사회적 단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