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Keiskei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신선초와 신선초박에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Mycelium on Angelica keiskei and Angelica keiskei Pomace)

  • 권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48-1653
    • /
    • 2011
  • 신선초와 신선초박을 첨가하여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 추출물의 항산화와 아질산염, ACE, tyrosinase 저해 효과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신선초 및 신선초박, 신선초노루 궁뎅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과 신선초, 신선초박, 신선초 노루궁뎅이버섯,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control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Vit. C보다는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시료 추출물 중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HE와 AK, AKP, AK+HE는 각각 57%와 61%, 82%, 78%의 저해 활성을 보여줬다. 여러시료의 아질산염은 pH 1.2에서 약 80%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pH 3.0에서는 AKP를 제외하고, HE와 AK, AK+HE, AKP+HE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ACE 저해활성은 신선초 박에서 약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약 42%, 신선초는 50%, 신선초 노루궁뎅이버섯은 35% 그리고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은 40%의 저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천연 소재로써 기능성식품 원료와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Angelica keiskei의 고지혈증 개선효과 및 2종의 플라본 7-O-배당체의 분리 (Isolation of Flavone-7-O-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

  • 박종철;조영숙;박석규;박정로;전순실;옥광대;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3
    • /
    • 1995
  • Two flavone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 of Angelica keiskei Koidz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analysis as luteolin-$7-O-{\beta}-{_D}-glucoside$ and Iuteolin-7-O-rutinosid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methanolic extract(100mg/kg) and $luteolin-7-O-{\beta}-{_D}-glucoside(5mg/kg)$ isolated from this plant produced a significant hypolipemic activity.

  • PDF

명일엽(明日葉)과 일당귀(日當歸)의 Germanium 함량(含量) 증대(增大)를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Basic Studies for Increment of Germanium Contents in Angelica keiskei KOIDZ., and A. acutiloba KITAGAWA)

  • 이만상;김성조;백승화;남궁승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49
    • /
    • 1995
  • 1. Ge는 명일엽(明日葉)이 일당귀에 비하여 2.1배 함유량이 더 높았다. 2. 분해 온도를 높이면 분해를 단시간에 할 수 있었으나 Ge 함량에 있어서는 낮은 온도로 분해할 때보다 낮았다 3. Ge 처리시 callus 형성은 일당귀가 명일엽(明日葉)보다 좋았으나 두 식물 모두 pH 5.7, 5.4, 6.0 순으로 좋았다. 명일엽(明日葉)에서는 일당귀와는 달리 pH 5.7에서 callus증식 중 신초형성이 많았다. 4. Callus형성에는 명일엽(明日葉)과 일당귀 모두 무기 Ge의 5 ppm까지 대체로 좋았으나 10 ppm부터 저해되다가 100 ppm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았고 유기Ge의 처리에서는 10 ppm까지 양호했고, 50 ppm부터 저해하지만 100 ppm에서도 다소 형성되었다.

  • PDF

신선초를 혼합한 과채주스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vitro)

  • 김민주;임상욱;안혜진;전정귀;강민정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16
  •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an cause hangover symptoms, such as headache, drowsiness, dizziness, gastrointestinal distress, and anx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repared using a low speed masticating juicer in vitro. The acceleration rate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by A. keiskei-cherry tomato juice (ACJ) and A. keiskei-green grape juice (AGJ) were $163.8{\pm}4.3%$ and $148.2{\pm}6.9%$, respectively. The acceleration rate of aldehyde dehydrogenase (ALDH) by ACJ and AGJ were $185.6{\pm}9.5%$ and $161.1{\pm}4.8%$,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of ACJ and AGJ were $111.1{\pm}1.6mg/dL$ and $100.8{\pm}2.9mg/dL$,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CJ and AGJ were $62.0{\pm}0.5%$ and $61.3{\pm}0.4%$, respectively.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coho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can be enhanced by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 keiskei.

신선초 추출물의 아토피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 in a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 김민아;손형우;남동윤;차용수;신용규;최용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92-798
    • /
    • 2012
  • 신선초 추출물의 접촉성 아토피 피부염 완화효과를 확인하고 이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선초 DW 추출물, 50% 에탄올 추출물, 100% 에탄올 추출물을 DNFB로 아토피를 유도한 마우스 동물모델에 각각 처리하여 in vivo 실험과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귀 손상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귀 조직을 HE 염색으로 전체 귀 두께와 상피 두께를 측정하였을 때에도 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RT-PCR로 염증 분자마커인 MMP series의 mRNA 발현수준을 검토한 결과, 신선초 추출물은 MMPs에 비의존적으로 마우스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작용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마우스 비장조직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인 IL-4는 신선초 녹즙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IL-13 또한 신선초 녹즙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당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선초 추출물의 항아토피 활성을 확인 하였으며, 관련 제품 개발에 유용한 소재가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MDA-MB-231 세포에서 세포증식, 세포사멸과 ROS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gelica keiskei Ethnol Extract on Proliferation, Apotosis and ROS Accumulation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 정유진;남미경;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0
    • /
    • 2011
  • The anti-cancer effects of Angelica keiskei ethanol extract were evaluated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The concentrations of extract were 1, 2, 3, 4 and 5 mg/mL. Dose-dependent reductions in the number of cells with altered cell shape and pyknotic nuclei were observed at 48 h after treatments. MTT assay also exhibited a similar dose-dependent reduction in mitochondrial reductase activity (p<0.05), in particular, with a rapid reduction in the activity of the 5 mg/mL group. Analysis of cell death with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revealed only a slight increase in cell death in the 5 mg/mL group. Analysis of bromodeoxyuridine (BrdU) incorporations also showed a dose-dependent reduction in cell proliferation (p<0.05). Finally, increases in total radical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in cells, as revealed by DCF-DA staining, were observed in the treated groups in a similar dose-dependent fashion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gelica keiskei ethanol extract exhibiting anti-cancer effects in MDA-MB-231 cells causes multiple changes in cell shape, enzyme activity, and ROS accumulation, thereby inducing cell death.

The Effect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Green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on the Contents of Several Selected Elements of the Mouse Organs

  • Song, Sook-J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9호
    • /
    • pp.1045-1049
    • /
    • 1997
  • In order to study the content of selected elements in the organs of the mice, mice were fed with green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for 16 week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element contents(cr, Mn, Ni, Cu, Zn, Cd, Ba, Pb, and Fe) in the whole plant are generally the same as those the previous reports. 2) The element contents(Cr , Mn, Ni, Cu, Zn, Cd, Ba, Pb and Fe) in the green juice did not exceed those of the edible water standard. 3) The element contents (Cr, Mn, Ni, Cu, Zn, Cd, Ba, Pb and Fe) in the brain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in the whole plants. 4) The element contents(Cr, Ni, Pb and Fe) in the organs of the mice fed green juice for 16 week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reports.

  • PDF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이용한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추출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Hericium erinaceum Cultured by the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the Byproduct of Angelica keiskei)

  • 권상철;박강용;정재현;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68-1173
    • /
    • 2008
  • 폐기되고 있는 녹즙박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영양원으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고 배양물을 추출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쇄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배지로 하여 노루궁뎅이버섯을 배양한 경우 $107{\sim}112\;mm$의 균사생육을 보여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용 배지로써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의 수분함량은 각각 94.36% 및 97.36%이었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에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은 90.95% 및 94.20%로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기타 일반성분은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신선초에서 20.78 IU/100 mL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타민 $B_2$와 비타민 C의 경우에는 신선초 및 신선초박에서의 함량보다 신선초,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에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가지고 있는 함량에 비하여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무기질(Fe, P, Mg, Ca) 모두 증가하였으며 총아미노산의 함량에서는 원료는 각각 177.17 mg% 및 149.99 mg%이었으나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경우에는 231.08 mg% 및 372.25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dothelin-1 생성 저해와 멜라닌생성 저해에 의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Extract by Inhibition of Endothelin-1 Production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1-107
    • /
    • 2008
  •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와 정상 사람 표피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70% ethanol 용매로 추출한 신선초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분획하여 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물 분획물을 얻었다.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실험에서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은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B16 멜라노마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실험에서는 hexane 분획물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에 작용하는 티로시나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hexane 분획($IC_{50}$ < $25{\mu}g/mL$)과 ethyl acetate분획($IC_{50}$ < $5{\mu}g/mL$)은 알부틴($IC_{50}{\leq}250{\mu}g/mL$)과 비교 시 더 낮은 농도에서 현저하게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시켰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멜라노 사이트의 mitogen으로 작용하는 endothelin-1(ET-1)과 UVB에 의해 생성되어 염증을 매개하는 interleukin-$1{\alpha}$(IL-$1{\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IL-$1{\alpha}$의 생성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나, 표피세포에서 UVB에 의해 생성된 ET-1을 농도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elanogenesis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신선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on Melanogenesis)

  • 손형우;남동윤;김민아;차용수;김종명;신용규;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98-1001
    • /
    • 2011
  •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고 이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B16F10 세포주를 이용한 melanogenesis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Melanogenesis 억제 활성에 관련이 있는 분자마커의 확인을 위하여 RT-PCR에 의한 mRNA 발현 수준을 검토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YR, TYRP-1. TYRP-2의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MITF 전사인자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본 추출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향후 신선초 추출물에서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을 분리/조제에 응용한다면 cosmeceutical의 소재로 개발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