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Greek and Rom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교육의 철학적 기초: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유아교육 (Foundation of Philosoph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cient Greek and Rom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61
    • /
    • 2011
  • 교육의 출발점이 되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사상을 탐색하기 위해, 헬레니즘 문명의 기초가 되는 가장 강력한 폴리스,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정치체제와 문화, 교육의 제도를 중심으로, 특히 유아교육과 여성교육에 주목하면서 오늘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을 조명한다. 나아가 그리스의 것을 모방한 것으로 알려진 로마의 철학과 사상을 살피면서 그 들의 유아교육은 그리스의 것과 또 우리의 유아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면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고대 도서관 명칭의 기원과 변용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Word 'Library' in the Ancient World)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21
    • /
    • 2021
  • 본 연구는 고대 근동 및 그리스·로마의 기록관과 연계한 도서관 명칭의 기원과 변용을 추적하였다. 첫째, 도서관이란 말의 기원은 두 갈래다. 하나는 고대 그리스어 βιβλιοθήκη에서 라틴어 bibliothēkē가 파생되었고 최초 흔적은 2세기 후반 폴룩스의 「Onomasticon」이고, 문헌 텍스트 집합으로 간주하면 1602년 립시우스의 「De Bibliothecis Syntagma」다. 다른 하나는 라틴어 libraria가 고대 프랑스어 librairie로 변용된 후 14세기 초 library로 정착되었다. 영어 library는 1374년 초서가 조어하였다. 둘째, 고대 근동의 점토판 보존소는 기록관에 가깝지만 공식 명칭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아슈르바니팔 점토판 보존소는 기록학계의 원질서 존중 및 출처주의 원칙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왕실기록관이 아닌 왕립도서관의 원형이다. 알렉산드리아도서관의 공식 명칭은 'Βιβλιοθήκη της Αλεξάνδρειας'이었고 'ALEXANDRINA BYBLIOTHECE'로 변용되었다. 셋째, 고대 그리스·로마에서는 기록관과 도서관이 분리되었다. 그리스 도서관은 체육관 부설 도서실 수준이었고, 독립된 명칭은 거의 없었다. 목욕탕에 많이 부설된 로마 도서관의 명칭은 βιβλιοθήκη과 Bibliotheca이 혼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대 도서관은 중세 수도원 도서관으로 계승되었고, 이슬람제국에서는 '바이트 알-히크마'로 변용되었다. 한중일에서는 19세기말 화제한어 도서관이 수용되었으나 쟁점이 많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고전 필사본 유랑과 도서관으로의 귀환 (The Wandering of Classic Manuscripts and Their Return to the Library)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3
    • /
    • 2022
  • 기록은 인간의 삶과 지식 세계에 대한 수상인 동시에 지문이다. 기록의 대명사로 간주되는 책은 인류 역사를 추적하는 통로이자 그것을 음미하는 창이다. 그리고 책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이고, 압권은 필사본이다. 그것은 파피루스 두루마리, 양피지, 종이 등에 기록한 원본과 그것을 번역·중역한 사본을 총칭한다. 장구한 지식문화사를 반추하면 서양 필사본은 자연적 재해뿐만 아니라 인위적 문화반달리즘과 비블리오코스트로 인하여 시공간을 유동하는 강물처럼 이합집산을 계속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서 중세 르네상스 시대까지 서양 필사본의 유량과 도서관 보존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왕조와 제국, 군주와 재상, 장군과 정복자, 귀족과 부유층, 성직자와 학자를 불문하고 고전 필사본을 수집하고 번역하는데 혈안이었다. 고대 그리스·로마의 석학들이 파피루스와 양피지에 지식과 지혜를 기록하지 않았으면, 중세 비잔티움 제국·이슬람 제국이 고전을 수집·번역하고 재생산하지 않았으면, 책 사냥꾼들이 고전을 추적하지 않았으면,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이 지적 엑소더스를 통해 고전을 복원·재해석하지 않았으면, 그리고 역사도서관이 사력을 다해 고전과 번역본을 수집·보존하지 않았으면, 현대인은 고전 지식을 접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 필사본의 추적은 역사적 유동, 지리적 유랑, 언어적 변용으로 인해 많은 난제와 모순이 중첩되어 있는 아포리아다. 새로운 필사본이 발견·해석되면 수정과 보완이 불가피하므로 후속연구를 통한 고전 필사본의 유랑과 귀환에 대한 추적은 계속되어야 한다.

미의 기준과 공간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역사적 연구 - 그리스.로마 및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 (A Historical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of Beau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Greek.Rome and Renaissance -)

  • 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41-149
    • /
    • 2010
  • This thesis is designed to take a close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standard of beauty, which has been created apart from our desires at certain cultural or historical periods of time. It will try to construct the outline of conception about the beauty throughout many centuries. First of all, contents of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aspects, which people have been considering as beauty eversince the ancient time without having any assumptions on its concept. For example, if the beauty of art has been accepted by the theories of modern aesthetics while degrading the beauty of nature, its value could have possibly been much more appreciated. The standard of beauty has been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such history of mankind. The general standard of beauty,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ancient time was the proportion and harmony between many elements. Afterwards, beauty was expressed as colors and light in medieval times. Expression of beauty using ugly features such as monsters or demons also existed at the time. Beauty has been periodically developing from supernatural to gracious, rational, noble, romantic, religious, mechanical, and today's media. The concept of beauty established from the above has been appearing throughout various culture such as dress and decoration at the given period of time. It would later affect the formation of space as well as decoration for architectures and styles. It will be analyzed throughout the five design elements; style, composition, materials, components, and form. The thesis would like to find the spatial order of beauty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for which the recomposition of beauty will be provided as a design process for the new era. The Greek beauty represents a shape. The shape represents proportion and the proportion represents given numbers. However, beauty is being expressed by the opposite process at the present time. In other words, computers will arrange the numbers, which would formalize the proportion between the numbers. Beauty would be presented when the shape is presented as certain forms.

남성 Vest의 기원과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Vest for Men)

  • 김서영;이순홍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56-72
    • /
    • 1998
  • Vest is a general term for a sleeveless upper garment and it derives from a kolobus of a sleeveless tunic style that was started to be worn as a substitution of a chiton by the peasantry in Greek period. The kolobus started to be called a colobium or a tunica from Roman period and the former was named for a vest style tunica which was worn by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in early Roman period. Similarly, a German colobium of North Europe which was worn during the same period was the same kind of clothe as the Roman colobium. The colobium came to be worn over a dalmatica as an outer garment by early Christians when it was the Middle Ages, who succeeded the tradition of colobium as they went through ancient Rome, Creek and Byzantine days. North Germans also succeeded the colobium tradition of ancient Germans as it was and so continued to wear it in tight style. The simple vest style of colobium was getting vanished from the mid of the Middle Agnes and a new style of vest named jupon was started to be worn by soldiers. The jupon was to protect soldiers' bodies from either were cold weather or enemies wearing under armors as it was made with double cotton pad by quilt. From 14th century, the jupon began to be worn by not only soldiers but also the humble of lower classes. All the jupon which were made in quilting and padding of that time began to be named a pourpoint by the humble. When Renaissance in 16th century came, the pourpoint began to be developed to an exaggerating body-line style. The neckline of pourpoint was getting highly influenced by Spain and a peacecod-belly of it emphasized the exaggerated masculine beauty of Renaissance by padding in round. The sleeves were puffed out and the whole purpoint was made to expose an inner chemise by slashing vertically or obliquely. But in 17th century, the pourpoint has been changed into more simple style without padding, puffing out and slashing influenced by the citizens' clothes of Netherlands. The pourpoint came to be more comfortable bulky style with short sleeves or sleeveless and straight side lines. The pourpoint in mid 17th century turned to be a bolero jacket style by gradually being tightened. It had been then changed into a vest style with sleeves and worn under an overcoat with the name of vest in the end of 17th century. The early vest was 2∼3 inches les in length than the overcoat and had long sleeves and many ornamental buttons on front. It was also made as a home wear to be worn it alone at home. In 18th century, the length of the vest became shorter compared with that of 17th century and the most important decorative item in clothes. It again came to have complete sleeveless vest style and had very short length reaching waist in the end of 18th century. When it was in 19th century, the vest had developed into more various style and colors and style had been applied to be worn by individuals with their tastes. Around the end of 19th century, the increasing tendency to be casual by industrialization influenced on clothes in all aspects of life and so the male vest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to more casual style. Nowadays, it has been developing into various uses in modern male clothes to show their characters.

  • PDF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에 나타난 운명의 파이도필리아 (Pedophilia of Destiny in Memoirs of Hadrian of Marguerite Yourcenar)

  • 박선아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77-100
    • /
    • 2017
  •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은 고대 로마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개인사와 그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유르스나르의 대표적 역사소설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하드리아누스와 안티노우스의 사랑 이야기에 주목하고, 이들의 사랑이 지닌 특이성을 고대 그리스의 동성애 문화, 특히 파이도필리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나이 어린 소년(에로메노스)이 성장하여 자기 차례가 되어 에라스테스라는 성인 남성의 자리에 오르는 순환적 파이도필리아가 진행되는 점을 포착하여 안티노우스의 비극적 죽음의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는 사랑의 실패를 경험한 후 안티노우스를 자기 방식으로 복원하려는 황제의 노력을 전체성을 향한 사랑으로 정의하였다. 그리하여 두 인물이 비극적 운명의 파이도필리아에서 한 몸이 되어 양성동체 신화로 옮겨가는 신화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우리는 이 고대신화를, 사랑과 쾌락을 자의적으로 구분하고, 냉정함과 무관심으로 계산된 애정을 조화라고 믿었던 황제의 파이도필리아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유르스나르가 작품에 담고자 하는 의도가 동성이든 이성이든 인간들의 관능적 사랑에 담겨야 할 공감적 사랑, 특히 성스러움과 숭고함의 가치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신에 가까운 권력자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사랑받는 순간에 간직해야 할 예지의 중요성도 이해해 보았다.

우리 나라 디자인 도입에 관한 사회경제사적 고찰 - 디자인의 한국적 개념의 정착을 위한 시론 - (A Social Economic Comparative Study on Appearance Background of Design -for Native Settlement of Design in Korea -)

  • 이인자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130-139
    • /
    • 1995
  • 디자인의 사전적 의미는 원래 '설계$cdot$계획' 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단순히 꾸밈이라고 하는 장식적 기능 면에 국한된 의미이지만,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자본주의 시대의 현대 디자인의 개념은 산업과 예술의 만남이라고 하는 새로운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ㅇ씨다. 이것은 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을 의미하는데 곧 미적인 측면과 효용성 내지 유용성을 뜻하는 것이다. 미적인 측면이라 함은 소비대주으이 미적 감각을 바탕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며, 효용성 역시 소비자의 기호와 선호를 전제로 해야하는 것이 디자인의 마땅한 과제요,실천적 숙제라고 생각된다. 디자인의 발생은 자본주의적 배경 속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자본주의라 함은 서구적 정신에 뿌리를 두고 발전해 온 서구적 사고와 행동의 양식이다. 자본주의는 상업자본주의를 거쳐 산업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자생한 경제체제였는데, 이러한 경제사상은 미주주의와 시민사회의 성숙한 사회형태를 필수요건으로 배태된 것이다. 시만사회와 민주주의는 고대 그리스$cdot$로마의 Polis에서 연유한 것이며, 고대 그리스$cdot$로마의 사회는 귀족과 노예의 사회제도 속에서 성장한 사회제도였다. 헬레니즘을 밑바탕으로 하여, 지중해를 중심으로 한 식민지 확장의 적극적 영토 확장주의에 의해서 Polis는 반전해 나가고, 그것을 언원으로 하여 유럽의 여러 나라는 종교$cdot$사회 내지 정치 통합을 이루고 자본조의 정신을 완성시켜 나간 것이다. 우리의 디자인은 서구의 자본주의를 직수입한 데서부터 비롯되었다. 따라서 서구의 자본주의의 원형이 우리의 경제체제가 되었듯이 우리의 디자인도 서구의 그것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 민족적 심성의 원형과 뿌리가 다른 우리의 전통문화와 감성이 이러한 이질적 전통과 갈등 관계에 있게 됨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심성과 전통의 뿌리를 찾고 그에 어울리는 디자인 사고와 style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은 대단히 소중하고 뜻 깊은 일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