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1초

유아 대상 프로젝트 접근법 기반 공학적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수학적 문제해결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ngineering-Focused STEAM Program Based on the Project Approach for Young Children on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 유광재;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52
    • /
    • 2023
  •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 young children's engineering-focused STEAM program based on the project approach - a program that constructs components aligned with children's interests in their play through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 on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Methods: In this research, 42 five-year-old children from a public kindergarten in S district, I city,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each with 21 children. The engineering-focused STEAM program was conducted from April 18 to June 10, 2022,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ploring the 'car' theme and the comparison group focusing on a different theme. The study employ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using the pretest as a covariate to control variables. Results: The children-selected 'cars' themed engineering-focused STEAM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engineering-focused STEAM program, which emerges from young children's interesting daily play,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is research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engineering within the STEAM framework, guided by children's emergent play.

노인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저하 (Cognitive Impairment and Decreas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 류재성;김문두;이창인;박준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2호
    • /
    • pp.45-53
    • /
    • 2013
  • Objectives Non-major depression with fewer symptoms than required for 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has consistently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this study, we aim to estimate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SSD) compared with non-depressive elderly (NDE).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administered to 194 outpatients with depression and 108 normal controls. SSD is defined as having five or more current depressive symptoms with core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mood or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during more than half a day and more than seven days over two weeks.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a 15-item short version. Global cognition was assessed b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as assessed by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 Questionnair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MMSE-KC in the SSD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F = 4.270, p = 0.04,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If we defined those having Z-score of MMSE-KC < -1.5 as a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the odds ratio for the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was 1.86 [95% confidence intervals (CI) 1.04-3.34] in SSD and 7.57 (95% CI 3.50-16.40) in MDD compared to NDE. The scores of physical component summary (F = 9.274, p = 0.003, ANCOVA)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F = 53.166, p < 0.001, ANCOVA) in the SS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Conclusions The subjects with SSD, as well as those with MDD, showed impairment of global cognition and also experienced low quality of life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compared to the NDE group.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AMPK in the Elderly Women)

  • 최미리나;하수민;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95-1007
    • /
    • 2019
  • 본 연구는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75세 이하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방법은 주 3회, 60분으로 1-4주는 OMNI-RES 3-4의 저강도, 5-8주는 OMNI-RES 5-6의 중강도, 9-12주는 OMNI-RES 7-8의 고강도로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전 후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로 처리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차이는 paired t-test,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집단 간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체지방률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골격근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혈중지질 중 TC, TG, LDL-C는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HDL-C는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AMPK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운동 후 그룹 간 AMPK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MNI 저항운동 척도를 이용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및 AMP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진통제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자료의 GEE 분석 (Analysis of Repeated Measured VAS in a Clinical Trial for Evaluating a New NSAID with GEE Method)

  • 임회정;김윤이;정영복;성상철;안진환;노권재;김정만;박병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4호
    • /
    • pp.381-389
    • /
    • 2004
  • Objective : To compare the efficacy between SKI306X and Diclofenac by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methodology in the analysis of correlated bivariate binary outcome data in Osteoarthritis (OA) diseases. Methods :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 comparator-controlled, non-inferiority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at 5 institutions in Korea with the random assignment of 248 patients aged 35 to 75 years old with OA of the knee and clinical evidence of OA.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f they had at least moderate pain in the affected knee joint and a score larger than 35mm as assessed by VAS (Visual Analog Scale). The main exposure variable was treatment (SKI 306X vs. Diclofenac) and other covariates were age, sex, BMI, baseline VAS, center, operation history (Yes/No), NSAIDS (Y/N), acupuncture (Y/N), herbal medicine (Y/N), past history of musculoskeletal disease (Y/N), and previous therapy related with OA (Y/N). The main study outcome was the change of VAS pain scores from baseline to the 2nd and 4th weeks after treatment. Pain scores were obtained as baseline, 2nd and 4th weeks after treatment. We applied GEE approach with empirical covariance matrix and independent(or exchangeable) working correlation matrix to evaluate the relation of several risk factors to the change of VAS pain scores with correlated binary bivariate outcomes. Results : While baseline VAS, age, and acupuncture variables had protective effects for reducing the OA pain, its treatment (Joins/Diclofena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GEE methodology (ITT:aOR=1.37, 95% CI=(0.8200, 2.26), PP:aOR=1.47, 95% CI=(0.73, 2.95)). The goodness-of-fit statistic for GEE (6.55, p=0.68) was computed to assess the adequacy of the fitted final model. Conclusions : Both ANCOVA and GEE methods yielded non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valuation of non-inferiority of the efficacy between SKI306X and Diclofenac. While VAS outcome for each visit was applied in GEE, only VAS outcome for the fourth visit was applied in ANCOVA. So the GEE methodology is more accurate for the analysis of correlated outcomes.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 강인숙;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3-158
    • /
    • 2014
  •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 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 지원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가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논의 결과, 유아녹색성장교육 활동이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되어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Children's Sensibility of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 안경숙;허미화;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1-157
    • /
    • 2018
  •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의 유아 39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관련 활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 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Error analysis on factoriza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 최동원;허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3-105
    • /
    • 2021
  •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의 적극적 활용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인수분해에 대한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의 영향이 적은 경기도 농촌 지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총 16차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구글클래스룸'을 LMS로 활용하고, 동영상 강의는 유튜브에 업로드하였으며,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과 '페이스톡'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학생의 과제와 질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군에는 학생들의 질의 여부와 상관없이 과제와 시험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졌고, 대조군에도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나 자발적으로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생의 실력 향상과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형성평가 5회,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7번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회의 인수분해 형성평가 분석을 통해 인수분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다항식으로 된 인수를 하나의 인수로 인식하지 못함'과 '숫자는 인수가 아니다.'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오류유형을 정리 또는 정의의 왜곡 오류, 기능상의 오류, 풀이를 검증하지 않는 오류, 무응답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개별화 지도에 이용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두 집단은 1회부터 4회까지의 형성평가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회차 형성평가와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향조절초점과 광고메시지유형의 적합성이 미용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uitability of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the Advertising Message Type on the Evaluation of the Beauty Product)

  • 고성현;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2호
    • /
    • pp.1-1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uitability of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the advertising message type on the evaluation of the beauty product. In addition, feeling right while and individual is reading an advertisement is measured to check the mechanism making the regulatory fit effect. The experimental design was designed with the mixed design of 2(chronic regulatory focus: promotion / prevention, between group) ${\times}$ 2(advertising message type: promotion /prevention, within a group). 100 female university student subjects in their twenties in Seoul an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in the study. The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on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with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ory fit effect that when the individual chronic regulatory fit corresponds to the advertising message focus each other in the advertising of a new beauty product, the evaluation on the product is more positive could be checked. The promotion focus message of shampoo, the promotion focus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prevention focus group and as for the prevention focus message, the prevention focus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the promotion focus group so that the effect of regulatory fit appeared. Second, when the regulatory fit effect appeared in the evaluation on the new beauty product, the fit effect on the individual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on the advertising message focus also appeared in the measurement of feeling right. Hence, feeling right could be checked by using the mechanism of the regulatory fit effect.

소비자의 자아조절자원과 자기조절모드가 패션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Regulatory Resource and Self-Regulatory Modes on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 백소라;황선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43-556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and self-regulatory modes on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itial research design dealt with differences of the resource depletion effect according to self-regulatory modes. The study used a 2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depletion/non-depletion) ${\times}$ 2 (regulatory mode: assessment mode/locomotion mode)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Second, the research design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and self-regulatory mode on the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by each product group divided by type and involvement of fashion product. The subjects for the initial research were 25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The subjects for the second research were 873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Daeje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with reliability analysis, 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sessment-oriented consumers showed low purchase intentions about fashion products when self-regulatory resources were exhausted than when self-regulatory resource were not exhausted. Locomotion-oriented consumers, indicated no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about fashion products regardless of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Second,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by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and self-regulatory mod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shion produc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strategies should be differentiated when establishing a fashion industry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and self-regulatory mode of consumers.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Subject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이희순;김희진;윤성혜;천성문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47-2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D여자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한 회기에 45분씩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dow 12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 분석(ANCOVA)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인 독립성과 계획성 요인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 능력영역인 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직업선택능력, 의사결정능력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기술 가정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