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merican creativi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mplicit Creativity of Korea and America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성은현;류형선;하주현;이정규;한순미;한윤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65-391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한국 대학생의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암묵적 창의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4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다중 응답하게 하였고, 빈도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한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성 특성에 대하여 인지적 특성, 인성적 특성, 문화적 특성, 연구개발분야, 예술분야 등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창의성 이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배경과 같은 환경적 특성은 창의적 특성, 비창의적 특성 모두에 비중 있게 차지하였다. 셋째, 미국의 창의성을 개인주의적인 성향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적 창의성에서는 공동체의식이 창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f보다는 미국의 문화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전통문화는 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그리고 현대적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창의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여섯째, 창의적 인물은 대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술가, 경영자, 통치자, 과학자 순으로 인식되었다. 일곱째, 창의적 인물의 특성에 나타난 양 국가의 창의적 특성 비교에서 한국보다는 미국의 특성이 더 많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미국문화에 보다 익숙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창의성 연구에서 동양적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으며, 특히 전통문화와 전통재창조, 동양적 가치관 등이 서양에는 없는 우수한 문화자원이며 창의성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제기되었다.

베트남전쟁과 에코사이드 의식의 수용 (The Vietnam War and the Reception of Ecocide Consciousness)

  • 김일구
    • 영미문화
    • /
    • 제18권4호
    • /
    • pp.1-31
    • /
    • 2018
  • It is needless to say that America's indiscriminate artillery and chemical attacks have worsened the conditions of Vietnam's tropical rain forests, causing war-torn combat troops and civilians to suffer more from the participation and aftermath of the Vietnam war. Around two decades after the Vietnam War, American and Vietnamese writers deali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human and nature of the Vietnam War and the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commonly report the horrors of inhumane warfare, but some differences among them appear in the reception of the ecocide consciousness. For American writers who had been involuntarily involved or who had stayed in the back area as interpreters and counter-intelligence force, the Vietnam War was often a kind of exotic "addicted adventure" which their American hometown could not provide. But apart from overcoming postwar post-traumatic stress by writing of healing which was shared with American war writers, Vietnamese writers have been able to overcome the scars of war as the communal memorial, which Jonathan Shay emphasized as the necessary comforting ritual by community members showing the sign of honor and care. On the other hand, American war writers were on the side of "separate peace," as Jeong stressed, and the Vietnam War to them was more racist like the case of "body count." Nevertheless, it is fortunate that the hideous experience of war could turn them all into the creativity pool, just as the 5,000 square mile of bomb creators have been used as the postwar fish ponds.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xth Grade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 이강섭;황동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45-259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6학년 학생 212명과 미국의 5~7학년 학생 148명이며, 2009년 4월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에 대한 검증은 SPSS 12.0K로 신뢰도(Cronbach ${\alpha}$)와 변별도를 구하고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이론으로 적합도 지수와 난이도를 구하였으며, 연구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다중 비교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수학 개념의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은 수학 창의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적 사고력에서는 6개의 하위영역 중 4개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하나의 학년군으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Identification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Creativity in American Science Classrooms)

  • 강남화;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421-431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를 추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7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1차시씩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사전 사후에 흥미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구체적 체험 활동이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흥미를 높이는 방법들로는 개별화된 보조에 따른 수업 진행, 동료교수(peer teaching)가 가능한 모둠별 실험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언제나 어떤 질문에 대해서도 여유있고 허용적인 분위기, 다양한 매체, 특히 첨단 장비의 활용, 목표지향적이고 개인책무를 높인 요약 게임의 사용 등이 관찰되었다.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흥미를 높이기, 실험 전에 가설을 만들어 보기, 실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보기 등이 관찰되었다.

  • PDF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적 창의성 구인 연구 (The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from the a Comparison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in the US and Korea)

  • 성은현;하주현;한순미;이정규;류형선;한윤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9-338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an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responses of Korean and US students. Seven experts were interviewed to establish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College students in Korea (1,210) and college students in the US (514)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were: (1) five factors of Korean creativity consisted of elaboration, redirection, novelty, understanding-the-new-by-exploring-the-old (UE), and freethinking. (2) Korean students scored higher on elaboration and UE, and American students were better at redirection, novelty, and freethinking. (3) Each of the seven interviewees identified five factors of Korean creativity, but the factors varied according to their fields of expertise.

  • PDF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English Literature through the Internet and Its Effect -L2 Acquisition through British-American fiction in CCDL class betwee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Waseda University-

  • Baek, Nak-Se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02
  • One of the benefits of the internet-assisted instruction is that it can improve L2 Learners' motivation to express themselves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approach to British-American fiction learning in Korean universities, which can emphasize communicative strategies drawing on video-conferencing system, a chat system(CUSeeMe), and an e-mail system. Students are passive participants who cannot assert their creativity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British-American fiction, which mainly relies upon reading and translation far from literature lessons. In CCDL(Cross-cultural distance learning) class, students can play active roles in asserting their own ideas and assuming considerable responsibility for making a presentation in English. A professor can play a role as a coordinator in supporting the students' activities and in winding up the clas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lies in providing a paradigm for CCDL class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British-American fiction in Korea and futhermore in exploring the eclectic 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one and CCDL.

  • PDF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제2세대 미국 가구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 Focusing on the Second Generation Since the 1980's -)

  • 최병훈;정명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13
  • Since the 1980s the development of American art furniture was embodied its concept by second-generation furniture artists affected and educated from the first generation that has implanted art furniture fundamental values. Besides, embracing inevitably needs of the new era going with the social change rather than dwell on the nature of mere handicraft era, it has evolved with economic revival in the United States, the attention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the public, and ongoing government-sponsored. And more recently, the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faces another change in the non-boundary phenomena between art and design. American art furniture since the 1980s are summarized as three major trends: Art furniture embellished with traditional hand-craft, Art furniture featured the individualistic avant-guard characteristic, Art furniture eroded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design. By analyzing focusing on the furniture artists and their works in contemporary art furniture deployment aspects since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measure the forward direction, internationally competitive, creativ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domestic art furniture.

  • PD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Classroom Environment: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Gifted Students

  • Diane-Montgomery;Moon, Jeong-Hwa;Michelle-Sumner
    • 영재교육연구
    • /
    • 제3_4권1호
    • /
    • pp.158-166
    • /
    • 1994
  • The natur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an important variable to understand when fostering creativity for elementary children. Studies of the classroom climate, structure or interaction commonly depend on behavioral observations or reports from the teacher or other adult-observer. Recent studies have used self-report instruments completed by student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various aspects of their class (see Fraser, 199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ratings of classroom environment between Korean students who are gifted and their American peers. The My Class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141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three, four, and five. There were 65 Korean students and 76 American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as gifted by their schools.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all scales (satisfaction = .68: friction, .67; competition = .57; cohesion = .73; difficulty = .22). Results of a multivariate analysis illu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from Korea and students from America on the MCI.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f cultural group by grade level were conducted for four of the five sca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country for the cohesion scale and by country at grade levels for the satisfaction scale. American children expressed greater satisfaction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at all grade level, but particularly at grade fiv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PDF

미국 6,70년대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연구 - 허브 루발린(Herb Lubalin, 1918~1981)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American 6,70's Graphic Design Focused on 'Hurb Lubalin(1918 - 1981)')

  • 홍미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521-536
    • /
    • 2017
  • 1930년대 나치 정권으로 인해 유럽에서 예술 활동에 제약이 많이 발생하자 유럽의 모더니즘을 이끌던 많은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이주해 왔다. 이들이 미국 각지에서 디자인 활동을 시작하면서 유럽의 모더니즘을 미국에 알리고 미국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들의 영향을 받은 미국 출신 디자이너들의 활약은 1950년대부터 돋보이기 시작했다. 허브 루발린(Herb Lubalin: 1918-1981), 폴 랜드(Paul Land 1914-1996), 브래드버리 톰슨(Bradbury Thomson 1911-1995), 솔 바스(Saul Bass 1920-1996)등이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이들 중 허브 루발린은 6,7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유명했던 그래픽 디자이너 중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의 모더니즘 디자인이 미국에 영향을 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을 받아 미국 6,70년대의 그래픽 디자인을 주도한 허브 루발린의 작품에 대해 분석한다. 허브 루발린은 타이포그래피가 단순히 문자적 의미를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시각 이미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그는 다양한 실험정신과 독창적인 창의력으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을 가능하도록 해 주었으며, 이로 인해 인쇄 기술도 끌어올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