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aranthu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2초

Plastochron 에 의한 Amaranthus retroflexus 와 Chenopodium album 의 잎의 성장 해석 2. 잎의 경쟁적 발달 (The Development of Leaf in Amaranthus retroflexus and Chenopodium album Represented by the Plastochron)

  • Park, Bong-Kyu;Joung-Hee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3호
    • /
    • pp.127-132
    • /
    • 1985
  • In this study, the competitive development of leaf in Amaranthus and Chenopodium were invesitgated by the complemented plastochron index. The value of PI for Amaranthus was not varied with competional ratios, while for Chenopodium it was varied. Namely in Chenopodium, the plastochron 1 was increased as competitional combinations, the plastochron 2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Amaranthus had advantage in competition over Chenopodium. It is surmised that these results were exhibited differences in photosynthetic pathway between Amaranthus (C4 plant) and Chenopodium (C3 plant). The linear patterns were clearly demonstrated by the differences in leaf arrangement between Amaranthus (alternate type) and Chenopodium (opposite type). From these resultss, use of plastochron seems to a useful means of evaluating plat response to various environments.

  • PDF

Effect of Amaranthus Pigmen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s

  • Zhou, Cunliu;Zhang, Lin;Wang, Hui;Chen, Conggu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0호
    • /
    • pp.1493-149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Amaranthus pigments for nitrates in the of manufacture pork sausage. Five treatments of pork sausages (5% fat) with two levels of sodium nitrite (0 and 0.015%), or three levels (0.1%, 0.2% and 0.3%) of pigments extracted from red Amaranthus were produced. The addition of Amaranthus pigments resulted in the significant increase of $a^*$ values, sensory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scores, but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b^*$ values, TBA values and VBN values (p<0.05). Based mainly on the results of overall acceptance during 29 d storage, it could be concluded that Amaranthus pigments showed a potential as nitrite alternative for pork sausage manufacture.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의 항염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Seed Extract)

  • 이미란;강창희;부희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4-151
    • /
    • 2017
  • 본 연구는 아마란스(Amaranthus spp L.) 씨앗 추출물의 항염 및 미백과 관련된 효능을 측정함으로써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유용한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아마란스(Amaranthus spp L.) 씨앗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색을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이용하고 실험을 진행하였고, 미백 효능 확인에 대하여서는 mushroom tyrosinase를 사용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염증매개인자인 $TNF-{\alpha}$$PGE_2$ 생성 억제효과 등을 확인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NO 생성과 iNOS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강하게 억제함으로써 iNOS 발현 억제를 통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와 iNOS 억제 효과보다는 약하지만 $PGE_2$와 COX-2 단백질 발현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PGE_2$ 억제 효능이 COX-2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에 의해 증가되는 아라키돈산 대사물들이 피부 멜라닌 합성의 최초 속도결정단계에 작용하는 tyrosinase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PGE_2$의 발현을 억제하는 아마란스 EtOAc 분획물이 tyrosinase 효소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 효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아마란스 씨앗의 항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탐색 및 멜라닌 세포를 이용하여 미백 관련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아마란스 씨앗이 우수한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안전하면서도 항염과 미백 효능이 있는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긴털비름(Amaranthus hybridus)과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Amaranthus hybridus and Crepis tectorum)

  • 이유미;박수현;정재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09
    • /
    • 2005
  • 서울 난지도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등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긴털비름(비름과)으로 이름 붙인 Amaranthus hybridus는 서울 난지도 월드컵공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유사종인 털비름 및 가는털비름과 비교하여 개화기가 9-10월로 늦고, 잎에 털이 성기게 나고 화피편과 열매의 길이가 거의 같으며, 꽃차례가 분지하지 않고 길게 발달하는 특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나도민들레로 이름 붙인 Crepis tectorum (국화과)는 속 자체가 우리나라에 처음 확인된 종류로 강원도 평창군 진부와 월정사 입구에서 집단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분포가 확산 추세에 있다.

안데스 작물 '아마란스'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 변화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Amaranthus Spe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Varieties in South Korea)

  • 홍수영;조광수;진용익;윤영호;김수정;남정환;정진철;권오근;손황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6-21
    • /
    • 2014
  • 본 연구는 강릉, 대관령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품종별로 수량,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총페놀함량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차이를 조사하고 국내 적응이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수량은 125~465 kg $10a^{-1}$의 범위였으며 RRC 1027 품종이 가장 많았다. 천립중은 0.42~0.82 g으로 아주 작았고 특히 Kerala Red 품종이 가장 가벼웠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강릉과 대관령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품종별로는 유색품종인 Kerala Red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994{\sim}1,732mg\;kg^{-1}$의 범위를 보였다. 종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분석 결과 glutamic acid 30.5 mg $100g^{-1}$, aspartic acid 26.1 mg $100^{-1}$, arginine 24.3 mg $100g^{-1}$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에서 아마란스 재배는 수량 등에 서도 안정적이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등 곡물에 부족할 수 있는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새로운 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산화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란스(Amaranthus ssp.) 유전자원의 어린잎 생육과 엽 적색도 평가 (Evaluation of Baby-leaf Growth and Leaf Red Color Intensity for Amaranthus Germplasm)

  • 이준구;장윤아;엄영철;이상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59-65
    • /
    • 2012
  • 본 연구는 기능성 곡물로 이용되고 있는 아마란스(Amaranthus ssp.)를 어린잎채소 용도로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에 보유되어 있는 유전자원에 대한 어린잎 생육특성, 엽 적색도 발현 정도 및 기능성 물질의 함량 변이를 평가함으로써 어린잎채소로서 이용 가능한 유망 아마란스 자원 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에 수집 보존되어 있는 아마란스 유전자원 262 종에 대하여 색도색차계로 측정한 엽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전체 자원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39종을 1차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유전자원에 대하여 고온기 및 저온기의 재배를 통하여 어린잎 생육과 유전자원 별 적색소 발현을 검증 평가하여 안정적인 적색 강도를 보이는 고색도 자원을 최종 선발하였다. 아마란스의 엽 적색도는 모든 1차 선발 계통들에 있어서 고온기에 비해 저온기 재배 시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였으며 2회의 재배를 통한 평균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IT199970 등 11종의 자원을 선발하였다. 이들 선발된 유전자원들에 대한 어린잎 생체중 및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들 선발 종들은 5개의 아마란스 종에 속하였으며 엽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여, 향후 적색 풍미를 더하는 어린잎 샐러드 채소의 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마란스 식물의 천연염재로서의 유효성 연구: 모직물 염색을 중심으로 (Efficacy of Amaranth(Amaranthus spp. L.) Plant as a Natural Dye Resource: Focused on Wool Dyeing)

  • 여영미;신윤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5
    • /
    • 2020
  •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Amaranth(Amaranthus spp. L.) as a natural dye resource was investigated for wool fabrics. It is known that a large amount of flavonoid and anthocyanin colorant are contained in leaves and stems, as well as red flowers. The optimum condition of dyeing was 1.3% of dye concentration(o.w.b.) at 100℃ for 60 minutes, resulting the K/S value, 23.43 and R Munsell color on the wool fabrics. Al, Fe, Zinc and Titanium were used as a mordant. The mordant improved the dye uptake, regardless of the mordant type and mordant method. The pre-mordant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ost-mordanting method. Al pre-mordanted fabric showed the highest K/S, 30.02. Light fastness and washing fastness were high in grades 4-5 and 5, and rubbing fastness was good in grades 4 and 4-5 in dry condition, but low in grades 2-3 and 3 in wet condition. The dry cleaning fastness was excellent in all 5 grades. However, the alkaline perspiration fastness ratings were low in grades 2-3 and 3. The results show Amaranthus spp. L. coloran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natural dye for wool fabrics.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민털비름(비름과)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Amaranthus powellii S. Watson (Amaranthaceae))

  • 박용호;박수현;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2-135
    • /
    • 2014
  •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인 민털비름(Amaranthus powellii S. Watson)을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에서 발견하였다. 본 종은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북부 원산으로 현재 전세계 온대지역에 널리 귀화된 상태이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가는털비름(A. patulus Bertol.)과 긴털비름(A. hybridus L.)에 비해 잎은 넓은 침형, 능형 또는 피침형으로 화피편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뚜렷한 녹색의 중앙맥이 없으며 열매가 주두쪽으로 올라가면서 서서히 좁아지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국명은 가는털비름, 긴털비름, 털비름(A. retroflexus L.)과 유사하나 줄기와 잎에 털이 현저히 적은 특징을 바탕으로 '민털비름'이라 하였다. 본 분류군의 외부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 사진, 도해 그리고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 등을 제시하였다.

참비름 (Amaranthus mangostanus)에서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AAP29)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viral Protein (AAP29) from the Leaves of Amaranthus mangostanus)

  • 이승인;김영태;황영수;조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28-533
    • /
    • 1995
  • 참비름 (Amaranthus mangostanus) 잎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S-Sepharose, Sephacryl S-200 HR, CM-Sepharose, Blue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단백질 합성 저해능이 있는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Amarnanthus antiviral protein, AAP29)을 분리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약 29,200이었으며, 등전점은 9.0$50^{\circ}C$에서 20분간 처리한 경우에도 활성의 변화는 없었으며, 이 단백질의 단백질합성 저해능 활성을 in vitro translation system에서 측정한 결과 50% 저해농도 ($IC_{50}$)는 0.18 nM이었다. 담배잎 표면에 AAP29와 cucumber mosaic virus (CMV)를 함께 접종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생물검정한 결과 AAP29는 virus 감염를 현저히 저하시켰다. AAP29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ADLTFTVTKDGTSQSYXTLXNXWRXW이었으며 기존에 알려진 다른 RIP과의 동질성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