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tuberosum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proliferatum Causing Leaf Blight Symptoms on Chinese chive (Allium tuberosum) in Korea

  • Kim, Kyong-Han;Lee, Seung-Yeol;Back, Chang-Gi;Jung, Hee-Young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45-249
    • /
    • 2013
  • In 2008, leaf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on several Chinese chive farms in Sangju.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 was confirm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here the pathogen exhibited a strong pathogenicity toward healthy plants.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identified the isolate as from the Fusarium genus. For further analysis, PCR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with ITS region and 28S rRNA gene which are commonly used for fungal identification. However, the results provided a poor re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analyze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1{\alpha}$) gene. The analyzed results using TEF-$1{\alpha}$ gene indicated that the isolate was F. proliferatu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EF-$1{\alpha}$ gene is important when Fusarium sp. was identified using molecular classification method.

부추의 첨가가 식빵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ek(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 송영선;정현실;노경희;고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17
    • /
    • 1999
  •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prepared with the flour substituted with leek powder were evaluated. Leek powder contained 34.6% total dietary fiber. Substitution of wheat flour with 2% and 3% of leek powder decreased loaf volume by 13 and 27%,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was slightly increased and staling rate during storage at 25oC decreased in breads with leek powder. The addition of leek powder slighty increased hardness of fresh bread, but did not affect hardness of stored breads. Breads with leek powder turned into greenish and had characteristic flavor. Nonthel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hat with 2% of leek powder in sensory evaluation.

  • PDF

부추 첨가 식이가 수컷 생쥐의 암예방 효소계 및 혈중 웅성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 and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Male Mouse Fed Leek-Supplemented Diet)

  • 김정상;곽연주;전희정;이민자;권태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68-972
    • /
    • 1998
  • Allium tuberosum Rotter(Liliaceae) is a perennial herb of which leaves are used for food. Leek has been reported to have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lleviations of abdominal pain, diarrhea, hematemesis, snakebite, and asthm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leek supplementation on the drug-metaboizing enzymes, quinone reductase(QR) and arylhydrocarbon hydroxylase(AHH) activities in the liver,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ung, and on the plasma testosterone and dihydrosterone hormone levels, mice were fed 2% and 5% leek diets for 8 weeks. Quinone reductase, an anticarcinogenic enzyme,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ung but slightly lowered in hepatic tissue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Arylhydrocarbon hydroxylase activity, involved in bioactivation of procarcinoge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iver and lung. Leek feeding led to the reduction in the plasma level of dihydrotestosterone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These findings support the potential chemopreventive activity of leek supplementation.

  • PDF

제2형 당뇨질환모델 db/db 마우스에서 부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Allium tuberosum rottler extracts and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extracts in type 2 diabetic mice model)

  • 김배진;조성경;정유석;정희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4-1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 상품 부추의 산업적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제 2형 당뇨모델인 db/db 마우스에서 부추 추출물과 부추 발효물에 대한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부추 발효물 제조를 위한 균주선발을 위해 L. acidophilus, L. plantarum, L. casei을 접종하여 배양시킨 부추 추출물(부추 발효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 L. plantarum 부추 발효물은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L. plantarum 접종한 부추 발효물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부추 추출물의 0.6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L. plantarum와 L. casei 균주를 접종한 부추 발효물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부추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L. plantarum과 L. casei를 이용하여 발효한 부추 발효물과 부추 추출물을 제2형 당뇨질환 동물모델인 db/db mice에 두 가지 농도구간으로(저농도 : 200 mg/kg, 고농도 : 400 mg/kg) 경구 투여한 후, 항당뇨 효능을 평가하였다. 체중 및 식이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저농도 부추 발효물을 투여하였을 때, 식이섭취량의 변화 없이 체중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혈당증가량과 혈청 내 insulin 함량은 고농도 부추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부추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경구 당 부하검사 결과에서도 고농도의 부추 추출물 및 부추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 포도당 내성 효과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에 의해 감소된 혈청 내 GLP-1 농도는 고농도 부추 추출물 및 고농도의 부추 발효물 투여로 인해 증가되었으며 이상의 결과들은 부추 추출물 및 부추 발효물이 GLP-1 분비를 증가시켜 insulin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비록 본 연구결과에서 제2형 당뇨질환에 대한 항당뇨 효능은 부추 추출물이 부추 발효물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가지 유산균으로 혼합발효한 부추 발효물은 부추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항당뇨 효능을 보임과 동시에 제2형 당뇨병으로 인한 체중증가도 감소시킬 수 있어 비만을 동반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부추 추출물의 PCSK9 억제를 통한 LDL 콜레스테롤 저감 효능 (Allium tuberosum Reverses PCSK9-Mediated LDLR Degradation by Inhibition of HNF1α)

  • 최효경;김효진;황진택;정민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78-12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추 추출물(Allium tuberosum, AT) 보충식이(1%, w/w)를 12주간 고지방 식이와 함께 마우스에 제공하였다. Western diet(WD)군의 마우스는 low fat diet(LD)군의 마우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였으며, 이는 AT 보충식이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마우스 간 조직 내 PCSK9 유전자가 AT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AT의 PCSK9 억제를 통한 LDL 콜레스테롤 저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epG2 세포주를 지방 부족 환경으로 만들고 AT를 처리하여 PCSK9과 LDLR, 그리고 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조절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독성 없는 농도의 AT는 LDLR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특히 $400{\mu}g/mL$의 AT는 PCSK9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유사하게 AT는 LDLR 유전자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PCSK9의 발현량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CSK9의 억제는 SREBP2가 아닌 AT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HNF1{\alpha}$ 전사인자 때문이다. AT에 의한 LDLR 유전자의 SREBP2-independent 한 조절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PCSK9 억제제인 AT의 LDLR 단백질 degradation 및 단백질 합성 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지방 제거 상태의 HepG2 세포에 lysosomal degradation inhibitor인 BA1과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HX를 처리하여 LDLR 단백질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AT($400{\mu}g/mL$)는 LDLR 단백질의 합성 억제를 block 하였고, 이는 LDLR의 lysosomal degradation을 막음으로써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CSK9 억제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이나 콜레스테롤 저항성 치료 혹은 예방 소재 개발에서 중요한 타깃이 될 수 있으며, 부추와 같은 PCSK9 억제 활성을 지닌 천연물 혹은 식품 소재의 발굴이 기존의 치료와 병행하여 또는 독립적으로도 쓰일 수 있는 안전한 소재로써 제안될 수 있다. 추후 동물 실험에서 부추 추출물 및 활성 성분의 PCSK9 활성 억제 연구 및 나아가 부추의 PCSK9 억제를 통한 콜레스테롤 저감 효능 임상 연구 등이 제안될 수 있겠다.

부추의 증숙처리가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on quality of spray-dried powders prepared from pressed juice of garlic chives)

  • 정헌식;김한수;김동섭;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5-391
    • /
    • 2015
  • 부추를 활용한 가용성 분말 제조에 적합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부추원료의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부추를 세척, 탈수, 절단 후 증숙처리($100^{\circ}C$, 3분)하거나 무처리한 다음 착즙하여 액을 얻고 여기에 부형제로 dextrin(DE=10)이나 ${\beta}$-cyclodextrin를 5%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다. 부추의 증숙처리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은 높게 하였지만 $-a^*$값, $b^*$값, $C^*$값, $h^o$값은 낮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분말의 수분함량과 수용성지수는 증숙처리와 부형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입자크기는 증숙처리와 dextrin 첨가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클로로필, 총페놀, 비타민 C 함량은 증숙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부형제 종류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증숙처리에 의해 낮아지며 무처리구에서는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증숙처리구의 관능적 색, 냄새, 종합 기호도는 무증숙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형제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부추 착즙액의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은 착즙 전 증숙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추 고유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유지에는 무처리가,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증숙처리가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부추식이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Lipofuscin 생성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Dietary Buchu (Allium tuberosum Rottler) on Oxidative Stress and Lipofuscin Form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점옥;류승희;이유순;김정인;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37-1343
    • /
    • 2003
  • 산화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당뇨상태에서 항산화활성이 높은 부추의 섭취가 지질 및 단백질 산화, 활성산소종의 생성, 항산화 효소계 활성 변화 및 lipofuscin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쥐에게 streptozotocin을 복강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후 대조군 식이와 10% 부추식이를 14주간 섭취시켰다. 부추의 섭취는 대조군식이에 비해 간보다는 피부조직에서 지질 및 단백질 산화를 유의적으로 감소 시켰고(p<0.05),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종인 hydroxyl radical의 생성도 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부추의 섭취는 간과 피부조직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과 눈 조직에서 노화색소인 lipofuscin을 측정한 결과 당뇨군에 비해 당뇨부추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눈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부추의 섭취는 당뇨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당뇨 합병증의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화력발전소 포집 CO2를 이용한 시설 엽채류 시비효과 평가 (Assessment of CO2 Fertilization Captured in Thermoelectric Power Plant on Leafy Vegetables Grown in Greenhouse)

  • 정현우;황희성;박정;윤성주;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3-431
    • /
    • 2022
  •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CO2를 농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실험은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여 액화·정제 후 시설 엽채류의 생육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시비용 CO2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상남도 하동지역의 부추, 취나물, 미나리 농장에 드라이아이스가 공급되었고 각 농장의 온실 중 하나의 온실은 대조군, 하나의 온실은 CO2 처리구로 사용되었다. CO2의 시비는 자체 제작한 장치를 사용하여 드라이아이스에서 승화된 가스를 온실에 공급했다. 부추 온실은 대조군과 CO2 처리에서 온실 내 CO2 농도의 차이가 없었고 두 온실 모두 높은 CO2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취나물과 미나리 온실에서는 CO2 시비 처리에서 높은 CO2 농도가 측정되었다. 취나물 및 미나리의 생육은 CO2 시비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수확량도 각각 36%와 25%로 증가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취나물 농가에서는 소득률이 증가하였지만, 부추와 미나리 농가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발생한 드라이아이스의 이용은 시설 엽채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식용식물의 유기용매 추출물로부터 딸기부패균 Staphylococcus sp.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dible Plant Extracts against Strawberry Spoiling bacteria Staphylococcus sp.)

  • 하철규;이동규;강선철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26-231
    • /
    • 2000
  • 원예산물의 저온저장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식용 가능한 식물을 채집하여 E. coli K 12, B. subtilis K KCTC 1028 및 딸기부패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사철 쑥, 가죽나무 잎, 초피 잎, 적송 잎, 뽕 잎, 씀바귀, 마늘의 즙액은 E. coli와 B. subtilis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들 식물체 즙액으로부터 n-hexane, ethyl ace떠te, chloroform 및 물로 용매분획한 분획물로 항균성을 재검색한 결과, 사철쑥, 가죽나무 잎, 적송 잎, 씀바귀의 ethyl acetate 분획과 초피 잎과 마늘의 모 든 분획에서 비교적 높은 향균활성을 보였으며 가죽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6 nun)을 보였다. 한편 딸기의 저온저장중인 과육으로부터 두 종의 부패 세균을 분리하 여 각각 Staphylococcus sp. TG-IOI과 Staphylococcus sp. TG-I02 로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가죽나 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두 균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저 해효과(각각 6 mm, 7 nun)를 보였다.

  • PDF

"상한론(傷寒論)" 계지탕 복용법을 통한 복약원리 및 오신금기(五辛禁忌) 연구 (Studies on Principles of Taking Concoction and Contraindication against 5 Pungent Vegetables from Guizhi-tang in "Shanghanlun")

  • 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9-595
    • /
    • 2011
  • In order to analyze principles of taking concoction and make clear the origin of contraindication against five pungent vegetables, the regulations of Guizhitang prescription in "Shanghanlun" the twelfth article and "Wushierbingfang", "Wuweihandaiyijian", "Jinguiyaolue" were researched. Four principles of taking concoction were put in order; strengthening the effect of concoction by eating hot rice gruel and wearing bedclothes, preventing decline of drug effect by food regulations, optimization of elution and effect of material herbs by crushing, low heating, determination of administration time based on manifestations of drug effect by sweating and its aspect. These principles and methods of taking concoctions were developed from boiling to simple processing of material herbs, contraindication in the middle of taking concoction and perspiration by wearing bedclothes and eating hot rice gruel in order from the analysis of medical literatures. The contraindication against pungent vegetables were generalized in early Dong-Han dynasty already, and the five pungent vegetables were inferred as Allium tuberosum, Allium bakeri regel, spring onion, wild rocambole and garlic in medical context to the exclusion of religious idea. The reason of prohibition against five pungent vegetables could be interpreted as optimization of therapeutic effects by pharmacological control of pungent ingredients because the healthy qi damage and evil qi retention were resulted from destroying of harmonious ying and wei by overeating pungent vegetables during disease state. Conclusively the regulations of Guizhitang prescription referred to taking concoction in "Shanghanlun" fulfilled their functions to maximize pharmacological effects through various ways inside and outside and these reasonal principles of taking concoction has been influenced over the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de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