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hookeri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4초

당뇨 유발 흰쥐에서 삼채뿌리 첨가 식이가 혈당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on Plasma Blood Glucose and Fat Profil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81-490
    • /
    • 201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llium hookeri (AH) on plasma blood glucose and fat profile levels in diabetic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rough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dissolved in citrate buffer into tail veins at a dose of 45 mg/kg of body weight. Sprague-Dawley rats were then fed for 4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ing a modified diet containing 5% or 10% powder derived from AH root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STZ-control group, and diabetic fed with AH 5% & 10% treated groups. Rats' body weights,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TG), and free fatty acid (FFA) values in plasma were measured along with hematocrit (Hct) values and aminotransferase activities. Body weight losses were observed in the STZ-control group, whereas the STZ-AH group of diabetic rats gained weight. There was a significantly decrease in brain weight of the STZ-AH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dney and liver weights of the STZ-AH 5% & STZ-AH 10% group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Z-AH 5% & STZ-AH 10% diabetic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olesterol and TG levels among the diabetic groups. HDL-cholesterol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FFA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TZ-AH 5% & STZ-AH 10% diabetic groups. The Hct level of the STZ-AH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TZ-control group.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Z-AH 5% & STZ-AH 10% diabetic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Allium hookeri root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diabetic complications as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열풍건조 삼채의 분획별 미백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Hot-Air Dried Allium hookeri)

  • 정수지;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32-839
    • /
    • 2015
  • 열풍건조 삼채 잎 및 뿌리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삼채의 생리활성 효과와 화장품 원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열풍 건조 삼채 잎 및 뿌리 부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뿌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171.07{\pm}7.55mg/g$ GA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잎과 뿌리 부분 모두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활성 측정 결과 잎 부분의 n-hexane 분획물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은 2 mg/mL의 농도에서 $53.51{\pm}2.55%$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도 52.22%의 멜라닌 생성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알부틴의 65.82%보다도 더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삼채의 메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관련 제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삼채(Allium hookeri)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xtracts from Allium hookeri root)

  • 장성매;통타오;김총경;류야쥐안;서혁준;김보섭;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67-8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삼채 뿌리를 물,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했다.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는 다르게 확인됐다. 그 중에는 에탄올 추출물은 가장 좋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강한 환원력, DPPH 라디칼, superoxide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나타났다 (IC50값은 각각 3.22, 4.26, 0.95, 3.22 mg/mL).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좀 약한 효과를 나타났는데 좋은 hydroxyl 라디칼과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볼 수 있다. RAW 264.7세포를 통해서 측정한 결과에 따라 모두 추출물은 유익적인 염증 개성 효과를 나타냈다. 에탄올 추출물은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그 다음은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순으로 나타냈다. Total phenolic, flavonoid하고 thiosulfinate의 함량은 다 에탄올 추출물은 제일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다 (각각 24.96 mg GAE/g extract, 4.27 mg RE/g extract, $14.2{\mu}M/g$ extract). 연구결과에 따라 삼채 뿌리는 높은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하고 total thiosulfinate 함량을 함유하고 좋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다.

삼채 잎의 예쁜꼬마선충 내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Allium hookeri Leaves in Caenorhabditis elegans)

  • 기별희;이은별;김준형;양재헌;김대근;김영수
    • 생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1-147
    • /
    • 2017
  • As an ongoing study about Allium hookeri (Liliacea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leaves of this plant. Ethanol extract of A. hookeri leaves was successively partitioned as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nd $H_2O$ solubl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showed the most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ies among those fractions. To prove antioxidant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 hookeri leaves, we checke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and intracellular ROS level and oxidative stress tolerance in Caenorhabditis elegans. In addition, to verify if increased stress tolerance of C. elegans by treating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due to regulation of stress-response gene, we checked SOD-3 expression using transgenic strain. As a consequence, the ethyl acetate fraction increased SOD and catalase activity of C. elegans, and reduced intracellular ROS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Besides, the ethyl acetate fraction-treated CF1553 worms showed higher SOD-3::GFP intensity.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이 LPS가 유도된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김창현;이미애;김태운;장자영;김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45-1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은 다양한 농도의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다양한 농도에서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생성양 역시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각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기작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수행과 활성물질의 동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대식세포 유래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성 매개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방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llium hookeri)

  • 이용범;함영민;윤선아;오대주;송상목;홍인철;이시택;현호봉;김창숙;윤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5
    • /
    • 2017
  • 본 연구는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가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 검색 결과 디클로로메탄($CH_2Cl_2$)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는 DPPH 활성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제일 뛰어났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uperoxide 소거 활성은 헥산(n-hexane) 분획물에서 활성이 나타났다. RAW 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로 자극을 주고 삼채 주정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조추출물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염증유발 인자(NO, $PGE_2$, iNOS, COX-2, IL-6 및 $IL-1{\beta}$)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삼채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염증 유발 인자의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삼채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산화,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삼채(Allium Hookeri)의 급여가 당뇨마우스의 당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ium Hookeri on Glucose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 김남석;최봉겸;이선혜;장환희;김정봉;김행란;김대근;김유석;양재헌;김현주;이성현
    • 생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8-8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otential of Allium hookeri to control glucose metabolism in a diabetes model. We fed the experimental diets (AL, AR, Dex) supplemented with the powder of leaf, root, or dextrin as a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at 3% of diet to the diabetic mice (C57BLKS/J, db/db) for 8 weeks. Control mice were fed with the diet supplemented with cornstarch (Cont) at 3% level of diet. At 8th week of feeding the diets, we measured body weight, blood glucose, HbA1c, and plasma insulin levels and conducted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staining insulin immunoreactive cells in islets of pancreas. AL group treated with the leaf of A. hookeri showed significantly lower blood glucose and HbA1c levels, higher plasma insulin levels, and increased density of insulin immunoreactive cells compared with the Cont group. During the OGTT, AL group showed lower blood glucose levels than the Cont group for 120 min. Based on these results, leaf of A. hookeri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glucose tolerance by partially affecting insulin secretion and it may be used to prevent and treat diabetic disease.

삼채의 급여가 제 2형 당뇨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ium hookeri on Lipid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 이선혜;김남석;최봉겸;장환희;김정봉;이영민;김대근;이창현;김유석;양재헌;김영수;김현주;이성현
    • 생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3
    • /
    • 2015
  • Allium hookeri is a plant species native to India, Sri Lanka, Myanmar, and China. The plant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lately as a medicinal food i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llium hookeri (A. hookeri) on lipid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n=8/group, 5 groups). High fat diets with dextrin as a positive control (Dex), leaf (AL), root (AR), and fermented root (FAR) at 3% of diet were fed to all experimental mouse, respectively for 8 weeks. Body weight gain,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and excreted fecal lipid levels were measured.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s were analyzed, and fat accumulation in liver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were lower in the FAR group, while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excreted fecal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AL or FA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ookeri, specially fermented root can be a useful food item to control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mice.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Allium hookeri by hot air-and freeze-drying methods)

  • 이주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연구는 삼채의 잎과 뿌리를 이용하여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회분,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열풍건조 삼채 잎의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 잎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열풍건조 삼채 뿌리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 뿌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만이 동결건조 삼채 뿌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삼채 잎과 뿌리에서의 유기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열풍건조 삼채의 뿌리는 동결건조 삼채 뿌리에 비해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열풍건조 삼채의 잎은 tartaric acid를 제외한 모든 유기산 항목에서 동결건조 삼채의 잎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 잎과 뿌리의 주요 무기질은 Ca, K, Mg이며, 이들은 열풍건조 삼채 잎에 비해 동결건조 삼채 잎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과 뿌리에 비해 열풍건조 삼채의 잎과 뿌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E는 열풍건조 삼채 잎에 비해 동결건조 삼채 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뿌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이 열풍건조 삼채의 잎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이 열풍건조 삼채의 잎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삼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삼채 잎과 뿌리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삼채 뿌리보다 삼채 잎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이 더 뛰어남을 보였다.

육계 사료 내 삼채(Allium hookeri) 첨가에 따른 사양성적 및 장 건강 지표 변화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Allium hookeri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ealth for Broiler Chickens)

  • 이채원;윤준혁;안수현;조인호;공창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69
    • /
    • 2023
  • 본 연구는 28일령 육계 사료 내 삼채(Allium hookeri) 뿌리를 첨가했을 시 사양성적, 혈청 항산화 효소 활성, 맹장 내 지방산 조성 및 밀착연접(tight junction)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화 직후 동일한 사양조건과 사료 급여 조건에서 사육한 10일령 수평아리 96수를 공시하여 2처리, 6반복, 반복당 8수로 실험구를 배치하였다. 옥수수-대두박을 기초로 하는 사료를 급이한 대조구와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에 삼채를 0.3% 첨가한 실험사료를 급이한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28일령에 각 케이지의 중앙값에 해당하는 체중을 지닌 개체를 선별하여 혈액, 맹장 소화물, 공장 조직을 채취하였다.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삼채 뿌리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서 21일령까지 그리고 전체 실험기간 중의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관찰하였다(P<0.05). 삼채 뿌리가 혈청 항산화 효소 활성, 맹장 내 지방산 조성, 밀착연접 단백질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 내 삼채 뿌리의 첨가는 28일령 육계의 사료효율을 제외한 사양 성적 및 생리적 지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