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153초

Lactobacillilus brevis를 이용한 다시마 발효물의 알코올 분해 활성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Sea Tangle Juice)

  • 강영미;이배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
    • /
    • 2010
  •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sea tangle juice (FSYJ) using Lactobacillilus brevis BJ20 were evaluated by measuring relative alcohol dehydrogene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TI assay. the fermented sea tangle juice by Lactobacillilus brevis BJ20 appeared safe in the cytotocxity. The relative ADH activity of FSTJ showed 124% at 10 mg/mL, which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relative ALDH activity showed, however, in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concentrations of FSTJ up to 50 m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ermented sea tangle juice by L. brevis BJ20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material for metabolizing alcohol.

필치가 혈중 알코올농도와 간세포내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lch o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and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Alcohol-Fed Rats)

  • 이오미;예충민;최병철;이지윤;강혜정;최윤경;김창종;심상수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0-346
    • /
    • 2005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lch on alcohol metabolism, we measured bo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and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rat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Feelch-inges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ater-ingested group at 0, 40, and 80 minute after alcohol intak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taken 300ml of $21\%$ alcoho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ak valu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male and female were $0.083\pm0.014\%\;and\;0.108\pm0.018\%$, respectively. In alcohol-fed rats,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was not changed. In both Feelch-fed group and Feelch plus alcohol-fed group, ADH and ALDH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Feelch decreased phospholipase $A_2$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hepatic tissue and activities of serum aminotransferases as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elch may have a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this is likely due to low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via the increment of hepatic ADH and ALDH activity.

흰쥐에 있어서 구기자 알콜 추출물이 Oxygen Free Radical 및 Alcohol 대사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Lycium chinense on the Oxygen Free Radical and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Rats)

  • 윤종국;전태원;오만진;이규희;정재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8-273
    • /
    • 2000
  • To investigate an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Lycium chinense(EELC) on the activities of enzymes scavenging oxygen free radicals or detoxicating alcohol. The ground Lycium chinense was extracted with 30% edible ethanol and then diluted with 6% ethanol to contain 2% EELC(w/v). Three different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had taken a drink EELC, ethanol(ETH) or water(control), respectively for 2 months. At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obtained the following findings. The EELC-treated animal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hepatic glucose-6-phosphatase among three groups. The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and cytochrome p-450 from EELC treatmen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from ETH-treated group. However,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was higher in the EELC-treated group than the ETH-treated(p<0.005). Furthermore, hepatic alcohol or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and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ELC-treated animals than in ETH-treated those. The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liver was appeared the orderly higher value in EELC, ETH and control-treated group. As the result, EELC may affect the reduction of oxyge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help the detoxication of ethanol.

  • PDF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 조은경;김희연;변현지;김수원;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8-774
    • /
    • 2010
  •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흰쥐에 Toluene과 Alcohol의 병행투여가 Toluene 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thanol with Toluene Treatment for a Short Time Period on the Toluene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 윤종국;전재현;신중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6-980
    • /
    • 1996
  • 흰쥐를 대조군과 체중 100g 당 ethanol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체중 100g당 toluene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및 ethanol 투여 2시간 후 toluene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lcohol 투여군, toluene투여군 모두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AH) 및 aminopyrine demethylase(AD) 활성도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oluene과 ethanol의 병 행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AH 및 AD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 중 benzylalcohol dehydrogenase 활성도 역시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toluene과 alcoho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본 효소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간조직 중 benz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cohol과 toluene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간조직 중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alcohol과 toluene 병행 투여군이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하게증가되었다. 이상 실험성적을 종합해 볼 때 alcohol의 전처치는 toluene 대사 효소 활성도를 억제시켜 toluene 대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75-1682
    • /
    • 2010
  • 해조류 감태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pH 1.2에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VitC 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은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능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미용효능은 tyrosinase와 elastaase 억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Tyrosinase 저해능 분석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1 mg/ml의 농도에서 65%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8%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비록, 그 효능이 충분히 높지는 않지만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미백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감태 열수 추출물 0.5 mg/ml에서 38%, 1 mg/ml에서 44%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Positive control로 elastase 저해 활성 효과가 알려진 VitC는 1 mg/ml의 농도에서 36%의 저해활성이 나타났고 elastase 활성저해제인 oleanolic acid는 농도 0.5 mg/ml에서 elastase를 32%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름 예방 효능에 있어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기능성이 예상된다.

국산 홍합과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Domestic Blue Mussel and New Zealand Green Lipped Mussel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 김시경;옥둘이;박은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63-1368
    • /
    • 2014
  •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서 주로 양식되는 진주담치(국산 홍합)와 세계적으로 기능성이 잘 알려진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홍합 추출물들은 알코올대사와 관련한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을 상승시켰으며, 특히 ADH의 활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은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하여 ADH 상승 효과는 비슷하였으며, ALDH 상승 효과는 약간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조사한 항산화능은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 보다 높았다. 항고혈압과 관련한 ACE 저해능의 경우에는 국산 홍합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해 10 mg/mL 농도에서는 낮았으나 2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차(P<0.05)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홍합도 세계적으로 초록입 홍합에 못지않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매실즙이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황자영;함재웅;남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9-332
    • /
    • 2004
  • 매실즙,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 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매실즙 및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흡광도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 효과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최대 흡광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매실즙, GMT(5, 10, 15%), 아스파르트산(0.5, 1.0%)의 값은 각각 137.9, 131.6, 153.0, 218.7, 111.8, 144.3으로 나타났다. 매실즙과 GMT 및 아스파르트산을 혼합하여 이들의 ADH 효소 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중 매실즙과 10% GMT 혼합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ALDH 효소 활성도의 증가수준을 비교해보면 매실즙 첨가군이 가장 증가정도가 높았고 그 다음이 ALDH를 첨가한 경우 였으며 GMT, 아스파르트산의 순으로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매실즙의 경우 효소만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의 값을 100%로 보았을 때 매실즙 첨가군의 값은 976.4%로 나타나 ALDH의 활성이 10배 가까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매실즙의 숙취해소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미네랄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nerals Added to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이석준;김안드레;이재화;김미희;이봉상;지영택;빈재훈;하종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93-400
    • /
    • 2011
  • 항산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복분자, 울금, 산수유 추출물과 알코올분해 효소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미네랄수(HSMW)를 첨가한 복합물(MIX)이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체내 알코올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에서 복분자, 산수유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정량되었으며, DPPH radical scavenging과 SOD 활성에서는 MIX가 유의적으로 높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에서 10% HSMW 투여군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MIX와 CP 투여군은 모든 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농도가 저농도에 비해 5~10% 더 감소하였다. MIX와 CP 투여군의 간 균질액의 ADH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ALDH 활성은 MIX와 CP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혈청 중 간 기능 지표 효소인 GOT, GPT 활성은 MIX 투여군이 정상군과 비슷한 활성을 보여 간 손상이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IX에 함유된 미네랄수(HSMW)인 Zn, Ca, Mg, Mn 등이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을 조절함과 동시에 약용식물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을 하여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증상과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 체내 알코올 대사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간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성 숙취 음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Alcohol 섭취 쥐에서 Alchol 대사효소계에 미치는 복어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Puffer Fish Extract on the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Alcohol-Treated Rat)

  • 김동훈;김동수;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1-186
    • /
    • 1994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effect of Puffer fish skin extract (PF) on the hepatic alcohol metabolism in rats. It was observed that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had been markedly decreased by the pretreatment of PF for two weeks.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were significantly incrased (more than 20% of control) by pretreatment of PF for two weeks and acute alcohol intoxication (5 g/kg) on final day. When rats were fed with subacute toxic state by alcohol (25v/v % , once a day for six weeks), activities of ADH and ME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al treatments of PF for final two weeks. But the catal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any of both case. And also activities of ADH and MEOS in vitro were not changed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 treatemnt prompted the recovery from alcohol intox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