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ac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6초

레토르트 살균처리가 적색육 및 백색육 어류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2. 지질성분의 변화-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Dark, White-Fleshed Fishes by Retort Sterilization Processing -2. Changes in Lipid Components-)

  • 오광수;김정균;김인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0-136
    • /
    • 1991
  • 전보에 이어 어육을 원료로 하여 보다 품질이 우수한 고온가열처리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시료 어육을 $121.1^{\circ}C$에서 Fo값을 5, 10, 20으로 달리하여 가열처리 했을 때 지질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시료 가다랑어육 및 명태육의 TBA값과 과산화 물 값은 가열처리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감소폭은 가다랑어육 쪽이 컸다. 카르보닐 값은 가열처리 중 가다랑어육은 감소하는 반면, 명태육은 증가하였다. 색조는 양 시료 모두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육색이 진해졌으며, 특히 가다랑어육에서 갈변진행이 현저하였다. 지질성분은 가다랑어육에는 NL의 함량이 많았고, 명태는 PL의 함량이 많았다. $98^{\circ}C$의 열처리에서는 양 시료 모두 NL과 PL의 조성비에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121.1^{\circ}C$은 열처리에서는 Fo값 증가할수록 NL의 조성비는 높아지고 PL의 조성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L, NL 및 PL의 지방산조성은 $98^{\circ}C$ 열처리에서는 양 시료 모두 조성비의 변화가 지의 없었으나, $121.1^{\circ}C$른 열처리에서는 Fo값이 증가할수록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점차 감소했으며, 특히 22:6의 감소폭이 컸다. 반면, 포화산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폭은 명태육 쪽이 가다랑어육에 비해 다소컸다. Fo 20의 열처리에서 TL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잔존율은 생시료에 비해 가다랑어육이 $73\%$, 명태육이 $65\%$였다.

  • PDF

전통 명태식해 저온숙성 중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Low-Temperature Fermentation)

  • 차용준;정은정;김훈;이영미;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6-571
    • /
    • 2002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명태식해를 제조한 뒤 저온(5$^{\circ}C$)에서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LLCE/GC/MS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6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주로 함황화합물류(11종), 알콜류(13종), acid류(13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4종), 테르펜류(6종), 방향족 화합물류(4종) 및 기타 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명태식해 숙성 중 함황화합물류(3-(methylthio)-1-propen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allyl disulfide, methyl-(E)-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2 diallyl disulfide isomers, diallyl trisulfide), 산류(acetic acid, butanoic acid), 케톤류(2, 3-butanedione, 6-methyl-5-hepten-2-one) 및 기타 화합물류 중의 에스테르류(ethyl formate, ethyl acetate)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p<0.05). 특히 함황화합물류는 명태식해의 숙성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고, acid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화합물류는 숙성 후반에 더 크게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른명태 저장중(貯藏中)의 수분활성(水分活性)과 갈변반응(褐變反應)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Alaska Pollak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 김무남;최호연;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47
    • /
    • 1973
  • In the present work, the quality stability of sun-dri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was discussed in the aspects of non-enzymatic discoloration as a function of relative humidit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20^{\circ}C)$. Frozen Alaska pollack was dressed, filleted, dried for 48 hours in the open air, and finally stored in cylindrical acrylic chambers which contained saturated specific salt solutions proposed by Rockland(1960) for humidity control.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product was analyzed by spectrophotometry at 10 day-intervals during the storage. Lipid oxidation was measured as TBA value at wavelength of 538nm. And browning pigments were extracted, divided into two fractions and measured at 460nm: one was chloroform-methanol (2:1 v/v)soluble fraction attributed to lipid oxidation, and the other was water dialyzed fraction caused by so called Maillard reaction. The TBA value showed a maximum on 30 day storage, hereafter, intended to decrease gradual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brown pigment development in water dialyzed fractions as well as in chloroform-methanol soluble fractions was lower at 34 to 45%RH than at any other case, and propagation of lipid oxidation was also diminished at the same levels of humidity. From the facts described previously, it is recognized that storage at 34 to 45%RH provides higher quality stability for sun-dried Alaska pollack.

  • PDF

냉동방법에 따른 냉동태의 조성아미노산 함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arious Defrosting Methods on the Amount of the Amino Acids in the Frozen Alaska Pollack)

  • 안명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34
    • /
    • 1979
  • Three different defrosting methods were employed in order to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he total proteins and the amino acids in the frozen Alaska Pollack. The sample were defrosted (1) in the air of 25$\pm$3$^{\circ}C$ (2) in the air at the temperature of 4 $\pm$ $1^{\circ}C$(3) in the flowing water of 22$\pm$ $3^{\circ}C$ respectively. The samples were quick-freezed at $-23^{\circ}C$ and stored for 1 month, 2 months, and 3 months keeping the temperature at $-15^{\circ}C$.

  • PDF

Effect of Garlic, Chili and Ginseng on the Thermal Gelation of Alaska Pollack Surimi

  • Takeuchi, Atsuyoshi;Lee, Nam-Hyouck;Cho, Young-Je;Konno, Kunihik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05
  • Additions of ground garlic, chili and ginseng powder did not affect the breaking force and strain of directly heated gel of Alaska pollack surimi. In comparison, these additives reduced the setting effect achieved by incubation of the salted surimi at $25^{\circ}C$, and resulted in a decreased breaking force and strain for the two step heated gel. Garlic almost completely inhibited the myosin cross-linking reaction, an important reaction for improving the gel properties occurring in the setting process. However, chili and ginseng powder minimally inhibited the cross-linking reaction.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mechanism for the suppression of the setting effect by chili and ginseng is different from that of garlic.

명태의 냉장유통 단계에서 시간-온도이력 지시계(TTI) 부착시점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ime to Activate Time-Temperature Integrator (TTI) in Cold Chain System of Alaska Pollack)

  • 최정화;박수연;강진원;황상민;김민정;김민중;이만희;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7-102
    • /
    • 2014
  • TTI 상용제품인 Fresh-check을 명태의 냉장유통 중 품질예측에 사용할 때 그 성능이 항상 최적화되어 있을 수 없다는 가정하에서, TTI를 냉장유통의 어느 시점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를 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TTI 부착시점으로 크게 '어획 후 선상에서,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에서', '마트에서'의 세 경우로 나누었다. 먼저, 등온 실험을 통하여 TTI의 색 변화와 명태의 Pseudomonas spp.에 관한 kinetic과 Arrhenius 온도의존성 모델 식을 완성하였다. 얻어진 모델 식을 사용하여 냉장유통에 해당하는 dynamic 온도조건에 대하여 수리적으로 TTI의 색 변화와 명태의 품질변화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마트에서 부착했을 때 TTI 색 변화가 종료 점에 도달한 시간이 명태의 부패시간과 가장 일치하였다. 따라서 상용 TTI 제품을 사용할 경우 부착시점의 선택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염젓갈류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Low-Salt Fermented Seafoods)

  • 김영만;강민철;홍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1-308
    • /
    • 1995
  • 소비자의 수용도에 중점을 둔 저염젓갈의 품질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출하 직전의 시판 젓갈을 반제품과 완제품의 형태로 $30^{\circ}C:$에 저장하여 품질 저하를 시키면서 관능검사와 이에 따른 이화학적 검사를 병행하였다. 명란젓갈의 경우 Brix가 반제품 $47.6\%$ 이상, 완제품 $41.2\%$ 이상이면 합격품으로 판정되었으며 제조회사 별로 절대값의 차이는 있었지만 백색도도 소비자의 수용도가 떨어질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오징어 젓갈은 원료의 특성상 백색도는 기준으로 설정하기 어려웠으나 Brix는 제조회사 별로 기준을 설정하면 소비자 수용도와 상관관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pH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저염젓갈의 품질 평가는 관능적 평가와 이론학적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화학적 검사 항목으로 Brix, 백색도, pH 및 hypoxanthin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Brix가 가장 좋은 기준이 되며 hypoxanthine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많아 좋은 기준이 될 수 없었으나 오징어젓갈의 경우는 제조 방법이 같을 때 유의할 만한 평가 항목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경상도 전통 마른 명태 식해의 품질특성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 구태호;김성;최희진;성태수;최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7-274
    • /
    • 200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including optimal composition of the product were investigat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Gampo accepted to be best for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sikhae and it is called standard sikhae. The standard sikhae was prepared as follows: dried-Myungtae 200g, cooked rice 230g, red pepper 92g, garlic 112g, ginger 100g, radish 1.6kg, salt 20g, and malt meal 65g.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Gampo showed higher values in total sugar, free reducing sugar, and nitrogen compounds than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another locations. The sugar of standard sikhae consisted of four kinds including glucose. An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glutamic acid, alanine, and methionine.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in Myungtae sikhae contained 17 kinds, and the contents was increased in order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proline. The organic acid of standard Myungtae sikhae consisted of 7 kinds including lactic acid during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citric acid,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gradual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especially, increasing of lactic acid remarkably increased than the different organic acid.

명태의 보관시간에 따른 품질 예측 모델링 (Using Modeling to Predict Alaska Pollack Quality during Storage)

  • 심수동;김대욱;안수림;이다선;김선봉;홍광원;이양봉;이승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5-204
    • /
    • 2010
  • Several quality parameters affecting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were measured and modeled kinetically under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K-value, trimethylamine (TMA),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orry meter, pH, acid value (AV), total viable cell count (TVC), and colony forming units (CFU) of Pseudomonas spp. The off-flavor development time (ODT) was also measured using the R-index sensory test and modeled kinetically. Among the quality parameters, the CFU of Pseudomonas spp. was an indicator of the ODT according to a similarity in the Arrhenius temperature dependence, which was derived as a criterion mathematically. The temperature dependence was represented by the Arrhenius's activation energy ($E_a$). On comparing the $E_a$ of the quality factors and the ODT, the similarity in the temperature dependence was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Pseudomonas spp., pH, VBN, TVC, K-value, TMA, AV, and Torry meter. Therefore, Pseudomonas spp. was identified as the primary indicator of O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