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ac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1초

명태의 건조중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Alaska Pollack during its Drying)

  • 성낙주;이수정;신정혜;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53-758
    • /
    • 1997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제품중의 하나인 건조명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명태 건조중 건조방법이 발암성 N-nitrosamine 및 그 전구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명태의 생시료중 질산염 및 아질산염 질소는 각각 1.5,<1.0mg/kg이었으나 건제품에서는 각각 $3.0\~4.2,\;1.4\~2.7mg/kg$의 범위였으며, 대체로 열풍건제품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명태 건조중 아민류의 함량변화를 보면 betaine은 건조중 별다른 양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TMAO는 건조중 감소하는 반면에 TMA및 DMA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출된 NA는 N-nitrosodimethylamine (NDMA)뿐이었고, $10{\mu}/kg$의 N-nitrosodipropylamine (NDPA)을 시료에 첨가하여 회수율을 시험한 결과 $87.2\~107.4\%$였다. 명태의 생시료중 NDMA는 평균 $2.8{\mu}/kg$이었으나 건제품에서는 $8.7\~51.4{\mu}/kg$으로서 건조 방법에 따라 상당한 함량차를 보여 천일건제품은 생시료에 비해 평균 9.0배, 열풍건제품은 평균 15.5배 그리고 동결건제품은 평균 4.4배였다. 일반적으로 NDMA의 생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동결건조법이 효과적이었다.

  • PDF

올리브 오일을 첨가한 어육 소시지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the Fish Sausage Added with Olive Oil)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06-71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and olive oil in the preparation of sausag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estimating the response surface, which demonstrated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Alaska Pollack and olive oil.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est materials were measured.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following properties: dough sweetness (p<0.05); sausage L (p<0.05), a (p<0.001), and b (p<0.01); hardness (p<0.01), chewiness (p<0.05), and gumminess (p<0.01). Also, the sensory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lor (p<0.05), flavor (p<0.01), taste (p<0.001), tenderness (p<0.05), chewiness (p<0.01), mositness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Alaska Pollack 35.74 g and olive oil 7 g.

황태채, 북어채 및 대구채 판별을 위한 전자코 분석 (Discrimination of Shreds of Frozen and Dried Alaska Pollack, Dried Pollack, and Cod using Electronic Nose)

  • 홍은정;김기화;박수지;김지은;김동술;이화정;김은정;이재황;김승희;이광호;노봉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62-168
    • /
    • 2011
  • 본 연구는 황태채, 북어채 및 대구채간의 차이를 MS-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각 시료의 mass spectrum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판별함수분석을 통해 휘발성 성분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황태채와 북어채, 대구채가 구분되었다($r^2$= 0.7787, F = 185.2). 이러한 결과는 황태채, 북어채 및 대구채를 러시아산만을 선택하여 비교한 결과 그 차이가 더욱 뚜렷이 구분되었다. 결과적으로 전자코를 이용하여 유사 식품 간의 차이를 충분히 구분 가능하였으며 EMA 식품을 선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명태단백 가수분해물 제조 및 plastein의 합성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and plastein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이호;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39-345
    • /
    • 1992
  • 명태육의 식품가공적성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pronase에 의한 명태단백의 가수분해조건과 fruit-와 stem-bromelain에 의한 plastein의 합성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ronase 가수분해 최적조건인 반응pH 7.0, 반응온도 $40^{\circ}C$, 기질 g당 효소첨가량 1,000units 및 반응시간 4시간에서 89% 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Plastein은 pH가 각각 5.0(stem-bromelain)과 7.0(fruit-bromelain)으로 조정된 기질 30% 용액에 bromelain 1%를 가하여 $40^{\circ}C$, 24시간 진탕반응하여 합성하였다. 이 최적조건에서 합성된 plastein은 각각 22.6과 20.8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능검사에 의해 반응초보다 크게 쓴맛이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고등어, 칼치, 명태의 선도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reshness change of Pacific Macheral, Hair Tail, and Alaska Pollack by the various storage conditions)

  • 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5
    • /
    • 1981
  • The fishes that are mostly used in our homes such as Pacific Mackeral, hair Tail and Alaska Pollack were devided into Freezing group, Refrigerating group and Room temperature group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TVB-N, TMA-N, TMA-O and pp.H. were measured in natural state, after water washing and 3% NaCl-water wash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e kinds of fishes, TVB-N in room temperature showed that rottenness first appeared after 5~8 hours in raw state, 6~12 hours in water washing, and 8~12 hours in 3% NaCl-water washing. 2. Regardless of freezing and refrigeration, Pacific Mackeral became rotten after 14 days in raw state, 14~17 days in water washing and 17 days in 3% NaCl water washing. Alaska Pollack and Hair Tail showed rottenness after 8 days in raw state, 11 days in water and 3% NaCl water washing. 3. Even in hot summer days, freshness could be preserved for 10 days if fishes were freezed ($-20^{\circ}C$) or refrigerated (4~$8^{\circ}C$) after bowel excluded, washed in NaCl water and enveloped in poly-ethylene bag.

  • PDF

명태피 및 말쥐치피를 이용한 피교의 최적가공조건과 품질에 대하여 (CONDITIONS FOR ALASKA POLLACK AND FILE FISH SKIN GLUE PROCESSING AND THE QUALITY OF PRODUCT)

  • 이응호;하진환;허우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77
  • 수산물 가공시의 부산물인 어피, 어두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어피를 원료로 피교를 가공할 때의 최적조건 및 제품의 이화열적 특성을 실험하고 아울러 제품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 어체중량에 대한 피의 수율은 명태피가 $4.6\%$, 말쥐치피가 $5.0\%$였다. 명태피교 최적가공조건은 알칼리 용액 3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0.1\%$, 첨가수량은 명태피 중량의 3배, 추출온도 $70^{\circ}C$, 추출 시간 3시간, 추출용액의 pH 5.0이었고, 말주치피교 최적 가공조건은 알칼리용액 침지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추출농도, 추출시간 및 추출용액의 pH는 명태피교의 가공조건과 같이 첨가수량은 말쥐치피 중량의 5배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명태 및 말쥐치피교제품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98.0\%,\;96\%$이었으며, 다른 일반성분 의 조성도 시판 gelatin과 비슷하였다. 명태와 말쥐치피교 제품의 점도는 5.84 및 5.79였고, 융점은 $21.8^{\circ}C$$25.0^{\circ}C$, 응고점은 $7.1^{\circ}C$$7.4^{\circ}C$이었고, jelly강도는 10.0g 및 11.6g이었다. 색도와 탁도는 명태피교 제품이 말쥐치피교 제품보다 약간 좋았다. 그리고 구성아미노산 조성으로 보아 추룰잔사도 사육원료로서 손색이 없었다. 또한 피교제품의 총아미노산에 대한 개별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시약급 gelatin과 거의 같았다.

  • PDF

어육 단백질을 이용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Edible film from Fish Protein)

  •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수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7-252
    • /
    • 2002
  • 어육 단백질로부터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명태와 고등어로부터 최적 단백질 추출조건을 구명하고, 필름 제조용 용액의 단백질 농도, pH 및 온도가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명태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79.62\%$, 조단백질 $18.2\%$, 조지방 $0.6\%$, 회분 $1.3\%$였으며, 고등어는 수분 $69.1\%$, 조단백질 $20.1\%$, 조지방 $9.5\%$, 회분 $1.3\%$로서 명태가 고등어에 비하여 수분함량은 높고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낮았다. 또한, 황함유 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 함량은 명태 771mg/100 g, 고등어 746mg/ 100 g 으로서 이들 아미노산의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명태와 고등어로부터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률은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pH 2, 11의 순이었고, 중성부근에서는 추출률이 낮았다. 한편 추출된 가용성 단백질을 등전점 분리시켰을 때, 단백질의 회수율은 명태는 pH 4.8 ($79.8\%$)에서, 고등어는 pH 5.0 ($64.1\%$)에서 가장 높았다. 어육 단백질 필름은 증류수 100mL에 단백질 4g (glycerol 1.6g) 을 첨가하여 pH 10.0로 조정한 다음 $90^{\circ}C$로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물리적 특성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명태 수리미의 일반성분 및 전분의 분석을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의 이용 (Utilization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Starch in Alaska Pollack Surimi)

  • 송호수;이근태;박성민;황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1-326
    • /
    • 2002
  • 최근 식품의 성분분석을 위한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식품의 비파괴 분석법의 일종인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명태 수미리의 단백질 및 지질의 정량과 수리미의 대표적 첨가물인 전분정량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수리미 중의 성분 측정을 위해서는 먼저 시료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나타나는 크고 폭 넓은 신호를 제거할 필요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시료를 동결건조시킴으로써 수분에 의한 방해 신호를 제거하였다.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수리미 중의 단백질 분석에서 단백질의 근적외선 신호는 1,510nm, 2,050nm, 2,170nm, 2,180nm에서 나타나며, 이들 신호는 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EE는 0.296이었고, SEP는 0.3267이었다. 지질의 정량을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에서는 1,730nm, 1,740nm, 2,300nm에서 지질에 의한 흡수신호가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지질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EE는 0.340이었고, SEP는 0.364이었다. 전분의 정량에서는 1,450nm와 1,950nm의 신호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SEE와 SEP는 각각 0.304, 0.318이었고, 오차범위 는 0.0186-0.6470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수리미 중의 성분 측정은 신속성 및 재현성이 높아 수산가공품 중의 성분분석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생각되고, 특히 수산제품 중 건제품의 분석에 있어서 앞으로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식품의 분석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차후 대상 시료를 달리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 명태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생성 (Oxidized Cholesterols in Dried Alaska Pollacks)

  • 이일숙;박선영;이주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22-826
    • /
    • 1997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nsuring the safety of dried Alaska pollack. The changes of such compounds in the curse of drying as cholesterol, malonaldehyde, 7-ketocho-lesterol, 7$\alpha$-, 7$\beta$-hydroxycholesterol and 25-hydroxycholesterol were analyzed. The contensts of cholesterol decreased rapidly in the samples durint sun, hot-air and frozen drying and the decreased levels of cholesterol in dried products were about 134.0~191.3mg/100gas compared with 307.1mg/100g in raw samples. 4.8~6.1$\mu\textrm{g}$/100g in dried samples. In the raw samples, oxidized cholesterols were not detected hydroxycholesterol(34.1~41.7$\mu\textrm{g}$), 7$\beta$-hydroxycholesterol(26.8~40.2$\mu\textrm{g}$/g) and 25-hydroxycholesterol(0.3~1.3$\mu\textrm{g}$/g) were detected. Frozen drying was formed to be the most effective to minimize the formation of oxidized cholesterol in Alaska pollacks.

  • PDF

명태 근육단백질의 아세틸화에 따른 기능성의 변화 (Acetylation of Fist Protein form Alaska Pollack)

  • 홍정화;최진호;변대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9-223
    • /
    • 1990
  • Myofibrillar protein from Alaska pollack was modified with acetic anhydride at pH 7.5 and $25^{\circ}C$ and changes in functional properties as affected by the degree of modification were determined. Acetylation of myofibrillar protein resulted in protein with unique functional properties dependent upon the degree of acetylation. By selecting appropriate degree of modification it was possible to control protein solubility heat coagulability calcium precipitability foaming and emulsion capa-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