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worthiness Requiremen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비행제어법칙 감항인증 기준 설정 및 입증 연구 (A Study for th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iteria and Compliance Related to the Flight Control Law)

  • 고기옥;고준수;안영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569-576
    • /
    • 2013
  • 군용항공기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정부의 군용항공기 감항인증은 점차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감항인증은 모든 항공기가 전 수명주기 동안 운용범위 내에서 비행안전에 적합하도록 항공기 개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절차이다. 감항인증의 도입은 단일 수요자의 요구도에 부합되게 개발 해왔던 기존의 개발 사업특성에서 다수의 수요자의 공통의 요구도를 맞춘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끌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투기급 항공기의 비행제어법칙의 감항인증 기준 설정에 대한 상세 연구와 감항인증 기술기준에 대한 입증 분석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에 관한 신규 인증요건 분석 (Study on New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Powerplant System for the Small Airplane)

  • 이은석;이승근;이강이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07-212
    • /
    • 2017
  • 우리나라 민간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의 감항기준은 KAS Part 23(소형 비행기)과 Part 33(엔진)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미연방항공청(FAA)의 FAR Part 23 및 Part 33과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CS-23 및 CS-E와 동등한 체계를 갖는다. FAA와 EASA는 소형 비행기의 감항기준을 전면 개정하였다. 설계 방식과 적합성 입증방법을 지정한 규범적 규정에서 안전한 성능을 달성하도록 목표를 지정하는 성능기반형 규정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전환에 따라 동력장치 감항기준 또한 기존의 요건에서 대폭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FAA의 동력장치 인증요건 개정 사항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감항기준 개정 방향을 고찰하였다.

  • PDF

항공기 시스템 설계와 안전성평가에 운영경험 반영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erational Experience in the Stage of Aircraft System Design and Safety Assessment)

  • 구민성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39
    • /
    • 2014
  • Airworthiness authorities specify the technical standards of airworthiness that propose minimum requirement of the commercial transport category and apply the rules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aircraft.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nd other national airworthiness authorities define the fatal accident risk level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the aircraft system and establish standard procedures to appl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However, an accident or incident may occur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although the aircraft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trict standards and approval by the Airworthiness Authorities. There are some key factors, such as human error, unpredictable complex system failures, degradation of the components reliability, improper maintenance task and intervals. Risk can be reduced by reflecting aircraft operational experience with similar types of aircraft in the process of aircraft development and safety assessment. Result of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Airbus A300-600 incident in which the aircraft engine reverser was deployed in the air have been introduced to reflect the design of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Also, this paper suggests to create a big-database in order to provide a feed-back to the FAR Part 25 transport category design and safety assessment of the operational experience.

Part 23 보통급 비행기와 VLA 비행기의 구조분야 감항기술기준 요건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al Requirements of Part 23 Normal Category and VLA)

  • 김성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2-46
    • /
    • 2013
  • In 2010, Airworthiness standard for VLA(Very Light Airplane) category was newly introduced as KAS Part VLA. KAS Part VLA is an adaption of EASA CS-VLA which was developed to reduce unnecessary burden of manufacturer of very light, simple, single-reciprocating-engine/propeller powered airplanes having low stall speeds by tailoring some requirements of Part 23. In this paper, difference and similarity of structural requirements between Part 23 and VLA was analyzed.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에 관한 신규 인증요건 분석 (Study on New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Powerplant System for the Small Airplane)

  • 이은석;이승근;이강이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8-133
    • /
    • 2018
  • 국내 민간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의 감항기준은 KAS Part 23 "감항분류가 보통(N), 실용(U), 곡기(A), 커뮤터(C)류인 비행기에 대한 기술기준"과 Part 33 엔진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미연방항공청(FAA)의 FAR Part 23 및 Part 33과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CS-23 및 CS-E와 동등한 체계를 갖고 있다. FAA(2016.12.12.)와 EASA(2017.3.29.)는 소형 비행기의 감항기준을 개정하였다. 설계 방식과 적합성 입증방법을 지정한 '규범적 규정'에서 안전한 성능을 달성하도록 목표를 지정하는 '성능기반 규정'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 전환에 따라 동력장치 감항기준 또한 대폭 변경되었다. 이에 따른 FAA의 동력장치 인증요건 개정 사항을 살펴보고 국내 감항기준 개정 방향을 고찰하였다.

Development of Airworthiness Database System with Validation Process for Design Programs of General Aviation Aircraft

  • Lwin, Tun;Lee, Jae Woo;Kim, Sangho;Lee, Hyo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435-445
    • /
    • 2012
  • In this paper, a design process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aviation safety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aviation aircraft. An Airworthiness-Design Integration System, which integrates certification requirements with the entire design/analysis process, is developed and presented. For the proposed system, KAS 23/FAR 23/AC 23/CS 23 certification regulations are analyzed to determine design constraints and system compliance checks and to construct an ER&G (Engineering Requirement and Guide) and a Design-Certification Related Table (DCRT). Furthermore, through building a DB (Data Base), the management of design and certification related resources for developing a FAR 23 class aircraft are made. Certification tools and resources are also efficiently managed by the DB.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the detailed design process is proposed in this system. Tracking of this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by configuring a USE CASE and a system. The Airworthiness-Design Integration system will be constructed based on the system's design plan, certification system, and usage scenarios.

e-VTOL 항공기의 감항기술기준 적용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rworthiness Standard for the e-VTOL)

  • 최주원;황창전;석진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593-599
    • /
    • 2021
  • e-VTOL 항공기는 전기동력으로 인한 운용유지비의 절감, 친환경성, 수직이착륙으로 인한 도심운용, 자동화로 인한 조종의 편리성 등 미래 교통수단으로 향후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나 상용화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안전성 확보와 인증에 있어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상존한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운송사업용 형식증명 및 표준감항증명을 받은 e-VTOL 항공기는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없는 상태이다. 현행 항공기 감항기술기준에서 요구되는 안전도 수준은 상당히 높고 이를 입증하는 과정도 상당히 까다롭다. e-VTOL 항공기 인증도 현행 감항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안전도 수준을 만족해야 하나 현행 기준의 적용성과 동등한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인 한계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와 문제점들을 e-VTOL 항공기의 특징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군용 회전익항공기 연료계통 내추락성 입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Crashworthiness for Fuel System of Military Rotorcraft)

  • 박상수;양준모;김문국;김재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23
    • /
    • 2023
  • 항공기 연료계통은 연료 공급, 연료탱크 간 연료이송, 각 연료탱크 내의 잔여 연료량 측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추락 시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추락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 승무원의 추락 생존성을 높여야 한다. 민간에서는 연료계통의 내추락 설계를 감항 요구도로 반영하여 철저한 검증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행안전이 확보된 항공기 개발을 위해 관련 감항인증기준 및 입증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나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항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연료계통 내추락성 입증 지침 마련을 통한 비행안전성 향상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군용 회전익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연료계통 내추락 관련 감항인증기준, 입증방법 및 적용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회전익 항공기의 결빙 인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cing Certification of Rotorcraft)

  • 이해선;박종혁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2호
    • /
    • pp.196-204
    • /
    • 2008
  • 현대의 민간용 회전익 항공기는 모든 기상조건에서 비행할 수 있는 운용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결빙 환경에서의 회전익 항공기 운항 안전과 인증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결빙은 항공기 운항 안전에 있어 가장 다루기 어렵고 위험한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실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익 항공기의 결빙 인증 요구조건에 대한 고찰을 수행함으로써 회전익 항공기 형식증명 시 어떻게 결빙을 입증할 것인가에 대한 제시와 함께 결빙에 대해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하였다.

  • PDF

항공기 시스템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Safety Assessment of Aircraft)

  • 이경철;이종희;이백준;유승우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7권2호
    • /
    • pp.89-100
    • /
    • 2007
  • For the certification of aircraft and part, it must be show the compliance with applicable requirements through system safety assessment. The safety assessment process should be planned and managed to provide the necessary assurance that all relevant failure conditions have been identified and that all significant combinations of failures which could cause those failure conditions have been considered. Complex systems, especially aircraft, should take into account any additional complexities and interdependencies which arise due to integration. In all cases involving integrated systems, the safety assessment proces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in establishing appropriate safety objectives for the system and determining that the implementation satisfies these objectives. This study review the safety assessment for the certification process of the aircraft engine system and analyze turbo-fan engine by fault analysis method for compliance with airworthiness requirement of aircraft engin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