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nomic Traits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4초

유색대두 수집종의 특성연구 제1보 유색대두 수집종의 종실 및 생육특성 연구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 Seed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in Growth and Yielding of Collected Colored - Soybean Cultivars)

  • 구자옥;민경수;하기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1-215
    • /
    • 1983
  • 수집된 재래의 유색대두종을 일률적인 재배조건하에서 종실특성 변이와 종실종군별 생육진전 및 수량형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유색대두 수집종들은 100립중을 기준으로 하여 20gr 이하의 소립중, 20-25gr의 중립중, 25-30gr의 대립종 및 30gr 이상의 특대립종 등 4개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종실크기에 관련된 요인중 종실장과 종실폭의 변이는 종실후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종실중과 경중 및 주당협수 등의 형질들은 변이계수에서 생육일수나 결과일수 등의 형질보다 큰 경향이었다. 4. 생육일수와 성숙일수 및 개화시기는 립중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개화기와 성숙일수는 경장 및 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장과 경중은 수량형질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주당협수는 100립중과 부의 상관을, 또한 수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Topping Methods on Root Yield and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Alisma plantago

  • Kwon, Byung-Sun;Hyun, Kuy-Hwan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211-215
    • /
    • 2004
  • The effects of topping method on the yield and major agronomic traits of two varieties, Sunwol and Youngjun of Alisma plantago,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region. Plant height, yield of fresh root, yield of dry root and weights of total roots were the highest in the variety of Sunwol, and at the plots with topping of four times cutting in flowering in main culm (Treatment No.1). Considering from our results, optimum topping method is most likly be topping of four times cutting in flowering in main culm in the Sunwol variety.

  • PDF

형질전환 제초제저항성 벼 밀양 204호의 농업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ransgenic Japonica Rice 'Milyang 204' with Herbicide Resistance Gene (bar))

  • 정응기;이기환;원용재;박향미;전남수;최준호;구연충;한창덕;은무영;김태산;남민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85-90
    • /
    • 2005
  • 밀양 204호는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생명공학연구팀이 직파적응 제초제저항성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98년 bar 유전자를 동진벼에 아그로박테리움법으로 형질 전환하여 제초제저항성 벼를 양성하였다. '98/'99년 동계에 단간 내도복 양질인 주남벼를 인공교배하여 약배양 등 육종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우량계통을 선발하고 밀양 20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GM 벼와 Non-GM 벼의 농업적 특성을 UPOV 및 국립종자관리소의 품종등록 기준에 따른 농업적특성 중 차이가 있었던 것은 엽색도, 지엽의 형태, 간장, 수당립수 등 이었다.

재래종 대두의 종실중과 저형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ed Weight and Agronomic Traits in Korean Native Soybeans)

  • 송희섭;이영일;권신한;송인만;권경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33
    • /
    • 1990
  • 본 시험에서는 중부이남 전역에서 수집한 재래재배종 대두 2,748 계통을 재배하여 백립중군을 분류하고 백립중군별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1. 백립중은 최소 7.3g부터 최대 48.4g까지 변이폭이 매우 컸으며, 군별 분류결과 1군(10.0g 이하)에 2.2%(60 계통), 2군(10.1-15.0g)에 14.7%(404 계통), 3군(15.1-20.0g)에 11.7%(323 계통), 4군(20.1-25.0g)에 26.2%(720 계통), 5군(25.1-30.0g)에 30.2%(829 계통), 6군(30.1-35.0g)에 10.6% (292 계통), 7군(35.1-40.0g)에 3.3%(91 계통), 8군 (40.0g 이상)에 1.1%(29 계통)가 분포되었다. 2. 백두중과 저형질과의 상관관계는 백립중과 성숙기, 결실일수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었으나, 백립중과 개화기, 경장, 분지수, 절수, 협수, 도복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3. 백립중군별 평균협수는 백립중이 가벼운 1군이 66개로 가장 많았으며, 백립중이 가장 무거운 8군이 30개로 협수가 가장 적었다.

  • PDF

Stachyose 및 Raffinose 저함량 콩 선발계통의 농업적 형질 (Agronomic Traits of Soybean Breeding Lines with Low Stachyose and Raffinose Contents)

  • 하두수;문진영;최상우;심상인;김민철;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3-148
    • /
    • 2017
  • 콩의 성숙 종실에 들어 있는 stachyose 및 raffinose 성분은 난소화성당으로 콩이나 콩 제품의 품질, 영양가치 및 가공적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tachyose 및 raffinose의 함량이 낮은 육종계통들의 농업적 형질을 평가하여 용도별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7개의 모본을 이용하여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10개의 $F_6$ 선발 계통은 포장 평가에서 초장, 종피색, 백립중, 성숙기, 수량, 도복등 농업형질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2. 883-1 선발 계통은 백립중이 14.3 g으로 수확기가 9월 21일로 조숙이며 도복이 강하여 난소화성당 저함량 조생 소립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적당하였다. 3. 백립중이 20-26 g 범위의 중립인 5개의 계통(15A1, 15D1, RS-5, RS-64, RS-70)중에서 RS-5 계통은 백립중이 20.1 g 정도이며 종자상태가 매우 우수하고 도복에 강하여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중립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성이 높았다. 4.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아 품질 및 기능성이 우수한 장류용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 모본으로 14G20 선발계통은 도복이 강하며 수량성이 매우 높고 백립중이 29.7 g 정도의 대립이었다. 5. 검정종피와 녹색자엽을 가진 RS-21 계통은 도복이 강하며, 수량성이 매우 높고 백립중이 28.7 g 정도의 대립으로, 난소화성당의 함량이 낮은 특수용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성이 높았다.

밀의 고분자 글루테닌 조성과 농업 형질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Molecular-Weight Glutenin Subunits and Agronomic Traits on Bread Wheat Quality Parameters)

  • 차진경;신동진;박현진;권영호;이소명;고종민;이종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111-120
    • /
    • 2022
  • 국내외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HMW-GS 조성과 농업 특성이 밀가루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국내 자원의 HMW-GS 조성은 Glu-A1c와 Glu-A1b, Glu-B1b, Glu-D1f가 가장 많았고, Glu-B1i 또는 Glu-B1al을 가진 자원은 각 1개로 적었다. 외국 자원은 각 loci 별로 Glu-A1a, Glu-B1c, Glu-D1d가 가장 많았고, Glu-B1에서는 Glu-B1i가 두번째로 많았다. 2. 국내자원은 도입자원에 비해 출수일수가 짧고 성숙일수가 길며, 글루텐 인덱스, 믹소그래프 반죽 강도(MPV 및 MPW)가 높은 반면, Glu-1 점수와 반죽시간, 반죽 안정성(MTxW)이 낮았다. 3. HMW-GS 조성과 품질 특성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과 글루텐 함량은 Glu-B1i에서 가장 높았다. 글루텐 인덱스, 침전가, 믹소그래프 반죽시간, 반죽 안정성(MTxW)은 모두 공통적으로 Glu-B1의 Glu-B1i와 Glu-B1al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죽시간과 반죽 안정성(MTxW)은 Glu-A1a와 Glu-A1b, Glu-D1d에서도 높았다. 4. 농업 형질과 품질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 글루텐 인덱스, 침전가, 반죽 강도(MPV 및 MPW)는 공통적으로 출수일수와는 부의 상관, 성숙일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국내 자원의 빠른 출수기와 충분한 성숙일수를 유지하면서 도입 자원이 가진 Glu-B1i, Glu-B1al, Glu-D1d 등의 유용한 HMW-GS 조성을 도입하면 고품질 밀 품종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Identification of QTLs for Some Agronomic Traits in Rice Using an Introgression Line from Oryza minuta

  • Rahman, Md Lutfor;Chu, Sang Ho;Choi, Min-Sun;Qiao, Yong Li;Jiang, Wenzhu;Piao, Rihua;Khanam, Sakina;Cho, Young-Il;Jeung, Ji-Ung;Jena, Kshirod K.;Koh, Hee-J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16-26
    • /
    • 2007
  • Wild progenitor species provide potential gene sources for complex traits such as yield and multiple resistances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nd thu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food supplies. An introgression line 'IR71033-121-15' was derived from a wild species Oryza minuta (2n = 48, BBCC, Acc No. 101141) at IRRI. Introgression analysis using 530 SSR and STS markers revealed that at least 14 chromosomal segments distributed over 12 chromosomes had been introgressed from O. minuta. An $F_{2:3}$ population from the cross between IR71033 and Junambyeo (a Korean japonica cultivar) consisting of 146 lines was used for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nalysis of 16 agronomic traits. A total of 36 single-locus QTLs (S-QTLs) and 45 digenic epistasis (E-QTLs) were identified. In spite of it's inferiority of O. minuta for most of the traits studied, its alleles contributed positively to 57% of the QTLs. The other QTLs originated from either parent, IR71033 or Junambyeo. QTLs for phenotypically correlated traits were mostly detected on introgressed segments. Fourteen QTLs corresponded to QTLs reported earlier, indicating that these QTLs are stable across genetic backgrounds. Twenty-two QTLs controlling yield and its components had not been detected in previous QTL studies. Of these, thirteen consisted of potentially novel alleles from O. minuta. QTLs from O. minuta introgression could be new sources of natural variation for the genetic improvement of rice.

Comparative Analyses for Aroma and Agronomic Traits of Native Rice Cultivars from Central Asia

  • Sarhadi, Wakil Ahmad;Hien, Nguyen Loc;Zanjani, Mehran;Yosofzai, Wahida;Yoshihashi, Tadashi;Hirata, Yutaka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7-22
    • /
    • 2008
  • Aromatic rice has become popular owing to its aroma. Growing demand for aromatic rice has spurred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ultivars that offer similar combinations of grain attributes such as texture, cooking characteristics, aroma, and taste.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agronomic attributes and aroma of 26 cultivars from Afghanistan, Iran, and Uzbekistan, and controls from Japan, Thailand, and India were characterized. Also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Jasmine 85 aromatic$\times$Nipponbare non-aromatic) and(Jasmine 85$\times$Basmati 370 aromatic) were obtained. Tasting individual grains, cooking test, 1.7% KOH sensory test, and molecular marker analysis have been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aromatic and non-aromatic rice. Diversity for some traits of agronomic importance, such as plant height was detected among countries, e.g. Afghan cultivars classified as tall, and Iranian and Uzbek intermediate and short, respectively. Differentiations of panicle, grain, leaf, basal internode, and culm dimension among rice cultivars, indicating the source of rice diversity in Central Asia. According to the results, 6 of 10, 2 of 7, and 0 of 6 of Afghan, Iranian, and Uzbek rice cultivars were scored as aromatic, respectively. Therefore, Afghan cultivars are a good source of aromatic rice germplasm for Central Asia. The expression between aromatic and non-aromatic, and 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s has been evaluated. The observed segregation ratio of these crosses in the $F_2$ populations was tested by $x^2$ analysis against the expected ratio for a single gene. A segregation ratio of 3:1 between non-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 has been detected, while segregation has not been detected between the 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s. Also, parallel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tested aromatic rice cultivars.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a single recessive gene controls aroma in all aromatic rice cultiv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