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ing factor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7-MEGATM 500 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Skin Regeneration in H2O2-Treated Skin Cells

  • Song, In-Bong;Gu, Hyejung;Han, Hye-Ju;Lee, Na-Young;Cha, Ji-Yun;Son, Yeon-Kyong;Kwon, Jungke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03-110
    • /
    • 2018
  • Environmental stimuli can lead to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premature skin aging. Here,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7-MEGA^{TM}$ 500 (50% palmitoleic acid, 7-MEGA)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and its underlying therapeutic mechanisms in the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cells). Our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with 7-MEGA prior to hydrogen peroxide ($H_2O_2$)-induced damag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of HaCaT cells. 7-MEGA effectively attenuated generation of $H_2O_2$-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hibited $H_2O_2$-induced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prostaglandin $E_2$ ($PGE_2$),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1{\beta}$ ($IL-1{\beta}$). In addition, cells treated with 7-MEGA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increased expression of procollagen type 1 (PCOL1) and Elastin against oxidative stress by $H_2O_2$. Interestingly, these protective activities of 7-MEGA were similar in scope and of a higher magnitude than those seen with 98.5% palmitoleic acid (PA) obtained from Sigma when given at the same concentration (100 nL/mL). According to our data, 7-MEGA is able to protect HaCaT cells from $H_2O_2$-induced damage through inhibit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Moreover, 7-MEGA may affect skin elasticity maintenance and improve skin wrink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7-MEGA may be useful as a food supplement for skin health.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 CCTV 조사 우선순위 결정 연구 (Sewer CCTV Inspection Prioritization Based on Risk Assessment)

  • 손주영;이재현;오재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85-592
    • /
    • 2017
  • 도심 내 매설된 대다수의 하수관로는 노후가 심각하게 진행되어 파손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시개발의 집중도가 높아 인구밀도나 통행량이 많으므로 하수관로가 붕괴되면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관로 파손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한정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파손의 가능성과 피해의 규모를 동시에 고려한 위험도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여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의 조사 우선순위 결정 방법을 도출하였고 도심지 배수분구에 적용 검토하였다. 우선, 서울시 하수관로 GIS DB를 통해 확보 가능한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각 영향인자들의 가중치, 구분항목, 영향점수를 결정하여 가중치 환산법으로 하수관로 파손결과를 산정하였다. 또한, 하수관로의 예상 내용연수 대비 사용연수를 계산하여 파손가능성을 도출하였으며, 내츄럴 브레이크 방법으로 파손결과와 파손가능성을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위 방법을 서울시 내 위치한 소규모 배수분구에 적용하여 위험도 매트릭스와 위험도 등급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대상의 26%가 위험도 4-5등급인 CCTV조사 우선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위험도 기반의 CCTV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활용하여 조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대상을 체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축형(K-BNT-15) 개발 (Development of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 김향희;김수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21-327
    • /
    • 2013
  • 이름대기 능력의 손상은 신경학적 질환을 지닌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있는 노인에게서도 빈번하게 관찰된다. 이름대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는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주의력 감소로 인하여 검사 소요시간이 길면 검사에 대한 집중이 어려워지므로, 검사 결과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항축소가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여, 60개 문항의 K-BNT를 일반노년층의 이름대기 능력을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15개 문항의 검사(즉, K-BNT-15)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노인 175명을 대상으로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적합도, 성별 차이, 문항난이도 등을 평가하였다. K-BNT-15의 실시 결과, 일반 노년층은 10년 단위로 수행력이 감소하였고,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는 일반 노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평가도구의 단축형 개발 시, 특정 집단의 언어적 능력과 문항의 응답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 집단에게 적합한 문항을 선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항반응이론이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K-BNT-15가 노화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감소 및 환자군과의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검사임을 검증하였다.

섬유아세포에서의 MMP-2 및 MMP-9 활성 억제에 의한 베르베린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berberine by inhibition of MMP-2 and MMP-9 activity in fibroblasts)

  • 장영아;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15
    • /
    • 2018
  • 우리는 황련에서 분리된 베르베린의 화장품소재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주름 효능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산화와 항주름 활성평가를 위해 ROS 생성능, hyaluronic acid 생성능, MMP-2, -9, TIMP-1,-2, $TNF-{\alpha}$의 발현을 각각 측정하였다. 베르베린에 대한 자외선의 세포 독성은 CCD-986sk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이 $25{\mu}g/mL$의 농도 미만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베르베린이 ROS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베르베린은 주름 형성과 관련된 MMP-2 및 MMP-9의 protein 단계 및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IMP-1 및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프로 pro-inflammatory cytokine 으로 알려진 $TNF-{\alpha}$에 대한 베르베린의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NF-{\alpha}$ 유전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르베린은 활성산소종의 억제와 TIMP-1과 -2의 발현 조절에 의한 MMP-2,-9의 감소로 항산화 및 항주름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한우 도축시 혈청 호르몬과 혈액 성분의 상관 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Serum Hormones and Components in Hanwoo during Slaughtering Process)

  • 전기준;김명직;조규호;유재원;김인철;최재관;정호영;이학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7-297
    • /
    • 2006
  • 한우에서 도축 전 혈청 호르몬 및 혈액 성분의 농도 변화가 거세우와 비거세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은 도축 2개월 전에서 수송 직전 사이에 cortisol과 creatinine이 증가하였고 calcium은 감소하였다. 수송 직전에 비해 수송 직후에는 IGF-1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송 직전에 비해 도축 시에는 IP농도가 감소했다. 혈청 호르몬 및 대사 물질들에서 도축 2개월 전, 수송 직전, 수송 직후 및 도축시 혈청들 간의 상관 관계는 도축 2개월 전 농도와 수송 직전 농도간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인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IGF-1, TP, albumin, creatinine, HDLC 및 globulin이며 비거세우에서는 creatinine과 globulin이었고, 도축 2개월 전 혈청과 도축시 혈청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 혈청 성분은 거세우에서는 IGF-1, BUN, IP 및 HDLC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creatinine이었다. 그리고 수송 직전 혈청과 도축시 혈청 간에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혈청 성분은 거세우에서는 testosterone, IGF-1, creatinine, triglyceride, HDLC 및 globulin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TP, creatinine, HDLC 및 globulin으로 나타났다.

혈색소 농도에 따른 대학생의 골밀도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Hemoglobin in University Students)

  • 윤준;김대중;성현호;조윤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6-30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혈색소와 골밀도를 평가하고, 혈색소와 골밀도 정량 분석 결과를 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골밀도에 미치는 혈색소의 영향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30세의 건강한 대학생 52명을 직접 실험을 진행하였다. 골다공증은 전통적 노화 여성의 질병으로 간주되었지만, 점차 남성의 건강 문제로 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골밀도의 정량적 평가로 계산된다. 검사실에서 실시하는 혈액과 소변 검사는 주로 뼈의 신진 대사의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낮은 BMD 또는 취약성 골절에 사용된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평균 적혈구수,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은 남성에게서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요추 척추, 골격근양,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수준에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혈색소는 골밀도에 51.7% 통계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골밀도와 혈색소에서 유의한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며, 혈색소 수준은 골밀도 수준을 예측하는데 강력한 인자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낮은 Hb 값이 낮은 뼈 질량을 가진 피험자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낮은 Hb 값이 골밀도를 감소시키는 뼈 회전율 변화의 위험 요소로서의 규칙을 가짐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Monitoring of Chicken RNA Integrity as a Function of Prolonged Postmortem Duration

  • Malila, Yuwares;Srimarut, Yanee;U-chupaj, Juthawut;Strasburg, Gale;Visessanguan, Wonno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649-1656
    • /
    • 2015
  • Gene expression profiling has offered new insights into postmortem molecular changes associated with meat quality. To acquire reliable transcript quantification, high quality RNA is requi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tegrity of RNA isolated from chicken skeletal muscle (pectoralis major) and its capability of serving as the template in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s a function of postmortem intervals representing the end-points of evisceration, carcass chilling and aging stages in chicken abattoirs. Chicken breast muscle was dissected from the carcasses (n = 6) immediately after evisceration, and one-third of each sample was instantly snap-frozen and labeled as 20 min postmortem. The remaining muscle was stored on ice until the next rounds of sample collection (1.5 h and 6 h postmortem). The delayed postmortem dur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_{260}/A_{280}$ and $A_{260}/A_{230}$ ($p{\geq}0.05$), suggesting no altered purity of total RNA. Apart from a slight decrease in the 28s:18s ribosomal RNA ratio in 1.5 h samples (p<0.05), the valu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20 min and 6 h samples ($p{\geq}0.05$), indicating intact total RNA up to 6 h. Abundance of reference genes encoding beta-actin (ACTB),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HPRT), peptidylprolylisomerase A (PPIA) and TATA box-binding protein (TBP) as well as meat-quality associated genes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isozyme 4 (PDK4),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delta (PPARD) were investigated using qPCR. Transcript abundances of ACTB, GAPDH, HPRT, and PP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postmortem time points (p<0.05). Transcript levels of PDK4 and PPARD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6 h samples (p<0.05). The findings suggest an adverse effect of a prolonged postmortem duration on reliability of transcript quantification in chicken skeletal muscle. For the best RNA quality, chicken skeletal muscle should be immediately collected after evisceration or within 20 min postmortem, and rapidly preserved by deep freezing.

Association of urinary 3-phenoxybenzoic acid levels with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in a rural elderly population in Asan, South Korea

  • Kim, Bokyeong;Jung, Ara;Yun, Dongmin;Lee, Mira;Lee, Mee-Ri;Choi, Yoon-Hyeong;Kim, Yongbae;Park, Choonghee;Hong, Yun-Chul;Kim, Sungroul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0권
    • /
    • pp.2.1-2.9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sence of depression symptoms and the exposure level to insecticides among aged population in rural area, determined via measured levels of urinary 3-phenoxybenzoic acid (3-PBA), after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confounding factors.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e randomly recruited participants for our study (161 male and 239 female) from rural areas of Asan, Chungnam, Korea. Environmental risk factor exposur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analyze urinary 3-PBA levels. We us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urinary 3-PBA levels with the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creatinine levels, the median (interquartile range) concentration of 3-PBA was approximately 1.5 times (p<0.05) higher among female (1.54 [0.90 to 2.35]) ${\mu}g/g$) than among male (1.06 [0.64 to 1.81] ${\mu}g/g$). Our study found that among female participants, the unit increase in 3-PBA levels exhibited a likely positive association (odds ratio, 1.12; 95% confidence interval, 1.00 to 1.25) with an increased risk of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insurance type, daily physical condition, marital status, smoking status, and age. Conclusions Given our finding of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and 3-PBA levels, precau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minimize exposure to insecticides and thus protect the health of aged residents in rural areas.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HaCaT 피부각질세포의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is of Human HaCaT Keratinicytes by Ginsenosides Rb1 and Rg1)

  • 김정민;조원준;윤희승;방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74-6781
    • /
    • 2014
  •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과 Rg1의 효능검증 및 작용점을 규명하고자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을 실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의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을 6 및 24 시간 처리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유전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는 항산화 작용점에 있는 일련의 유전자군, FANCD2, FGF2, LEPR, FAS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확인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주요인자들의 작용 및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의 신호전달을 완성하고자 한다.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 여가몰입 및 웰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Leisure Supports, Flow and Wellness among Active Senior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 설수황;최종운;안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40-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며 1가지 이상 여가활동과 3개월 이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209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에 대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둘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셋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01). 고령사회로 접어든 현시점에서 여가활동 참여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웰니스를 영위하기 위해 여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인 뿐만아니라 우리 사회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