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regate Ratio

검색결과 1,117건 처리시간 0.033초

골재 종류별 시멘트 경화체 계면의 전기저항 특성 (Electrical Resistivity of ITZ According to the Type of Aggregate)

  • 김호진;배제현;정용훈;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68-275
    • /
    • 2021
  • 콘크리트의 강도를 결정하는 3가지 요인은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골재의 강도, 골재와 시멘트페이스트 계면영역의 강도가 있다. 이 중 계면영역의 강도가 가장 취약하다. ITZ(Interfacial Transition Zone)는 10~50㎛로 형성되며, 수산화칼슘의 비율은 높아지고, CSH는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높은 수산화칼슘 비율은 ITZ의 부착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로인해 ITZ는 더 약한 영역이 된다. ITZ의 문제점은 경량골재를 활용할 때 더 불리한 요소로 나타난다. 계면특성의 기존연구는 계면파괴인성을 측정하고, 계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파악했고, 굵은 골재를 사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SEM과 XRD분석을 진행했다. 또한 EMPA-BSE장비를 활용하여 미세구조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미세구조와 역학적 성질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골재와 경량골재 계면을 파악하기 위해 EIS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경량골재 겉면을 고로슬래그 코팅을 통해 계면상태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천연골재와 경량골재의 압축강도는 밀도가 높은 천연골재 높은 강도를 나타냈고, 경량골재 표면 코팅 시 천연골재 이상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골재 종류별 전기저항의 차이를 보였다.

순환골재를 이용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Fly Ash)

  • 양인환;전병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44-15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와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의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변수로써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과 플라이애시 치환율을 고려하였다. 실험에서 고려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율은 0, 30, 50 및 70%이고, 플라이애시 치환율은 0, 15 및 30%이다. 실험변수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7일, 28일 및 91일 재령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플라이애시를 혼입하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에 비해 플라이애시 치환율이 30%인 배합의 각 재령별 압축강도와 탄성계수 감소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순환골재콘크리트에서 30%이하 수준의 플라이애시의 혼입이 역학적 특성 측면에서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Flexur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tain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 양인환;안슬기;황철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0-39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하여 31~38 MPa 범주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보의 휨강도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천연굵은골재에 대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률과 철근비를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순환굵은골재의 치환률로써 0, 30, 50 및 100%를 고려하였으며, 주철근의 철근비로써 0.50, 0.79 및 1.14%를 고려하였다. 4점 하중재하 시험방법을 통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 보의 균열 및 파괴거동, 하중-처짐 관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천연굵은골재 보와 순환굵은골재 보의 휨균열 형상은 거의 유사하며, 전반적으로 순환굵은골재 보의 균열간격이 천연굵은골재 보의 균열간격보다 작다. 순환골재치환률에 따른 균열폭 크기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설계기준에 의한 예측식을 이용하여 실험 부재의 휨강도를 산정하였다.현행 설계기준에 의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예측결과는 실제의 휨강도를 과소평가하여 보수적인 설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킬른더스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Cement Kiln Dust)

  • 김기정;황인성;차천수;김성수;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7-270
    • /
    • 2003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in which cement and fine aggregate are replaced with cement kiln dust(CKD), such as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and hardened concrete and hydration heat history, for effective using method of CKD, a by-product produced in the process of making c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as the replacing ratio of CKD increases, slump and air content of concrete decreases remarkably due to an increase of viscosity and filling of the pores. As the properties of setting, initial and final setting time are shortened with an increase of the replacing ratio of CKD, and as the replacement of CKD for fine aggregate increases, setting time is shortened more greatly.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due to filling of the pores and reduction of air content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CKD for cement is 10% and 15%, peak temperature of hydration heat lowers slightly, but it goes up in the case of replacement of CKD for fine aggregate. Also, when cement and fine aggregate is replaced with CKD by 2.5% and 7.5% respectively(1C3S) in the case of replacement of CKD for cement and fine aggregate, it is highest.

  • PDF

아스팔트순환골재를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sing Recycled Asphalt Aggregate)

  • 이동욱;윤중만;김남식;강영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7-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순환골재를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수성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 잔골재 비율, 물시멘트(w/c)비의 혼합율 변화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구조체로서 요구되는 소요강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순환골재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도조정 없이 13mm 아스팔트순환골재를 사용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빈배합이 되도록 결정하였다. 분석결과 압축강도는 18.2~19.5Mpa을 보였으며 투수계수는 평균적으로 8.0E-02cm/sec 값을 나타내었다.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한 포장용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 (Engineering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for Pavement Using Polypropylene Fiber)

  • 성찬용;이승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77-283
    • /
    • 2010
  • Research on permeable pavement like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 with porous structure has been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need such as reduction of run off and flo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void ratio,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compressive strength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PPC) using crushed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that is obtained from waste concrete. Also, 6 mm length of polypropylene fiber was used to increase toughness and interlocking between aggregate and aggregate surrounded by binder. Binder and filler used wer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CaCO3, respectively. The mix proportions were determined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workability and slump according to aggregate sizes 5~10 mm. In the test results, regardless of kinds of aggregates and fiber contents, the void ratio,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compressive strength of all types of PPC showed the higher than the criterion of porous concrete that is used in permeable pavement in Korea. Also, strengths of PPC with increase polypropylene fiber volume fraction showed slightly increased tendency due to increase binder with increase of fiber volume fraction. Accordingly, polypropylene fiber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can be used for permeable pavement.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동결융해 저항성 특성 (Resistance of Freeze-Thaw and Strength Development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이인대;김광우;배성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3-169
    • /
    • 1998
  • 폐콘크리트로부터 생산된 재생굵은골재를 쇄석골재 대신하여 콘크리트에 활용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의 특성 및 동결융해저항성을 측정하였다. 쇄석골재로 일정비율 대체한 재생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하여 압축 및 휨강도가 낮았으며, 플라이애쉬 혼입한 재생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와 비슷한 강도변화를 나타냈다. 동결융해저항성은 물.시멘트비, 재생굵은골재 대체율 그리고 플라이애쉬의 첨가량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으나.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플라이애쉬 혼입량이 적을수록 그리고 재생굵은골재 대체율이 80%일 때 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수성 입단과 토양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il Water-Stable Aggregates and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 현병근;정석재;송관철;손연규;정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7-63
    • /
    • 2007
  • 토양의 입단은 토양의 물리적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며 토양의 양분 및 수분의 이동 및 토양관리방법 등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토양의 입단과 토양특성에 대한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내수성 입단과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관계를 구명하고자 토양의 토양물리 화학성과 함께 내수성 입단을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양의 내수성 토양입단형성에 미치는 토양물리성 입자 중 미사($r=0.82^{***}$)와 점토($r=0.75^{***}$) 함량은 유의성이 있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모래($r=-0.82^{***}$)는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토양화학적 특성은 Ca > Mg > CEC > OM > K > Al 순으로 내수성 토양입단 함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Middleton의 분산율 (0.05mm 이하)과 내수성 토양입단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r=-0.76^{***}$)을 나타내었다. 내수성 입단 함량 추정을 위한 Middleton의 분산율의 유의한 회귀모형이 산출되었다 (Y=-0.79X+96.49; $r^2=0.58^{**}$). 결론적으로, Middleton의 분산율을 이용하여 토양의 내수성 토양 입단함량을 간편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었다.

습식 중화반응에 의한 순환 잔골재의 품질 향상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 by Neutralization Reaction in Water)

  • 김하석;김진만;선정수;배기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46-151
    • /
    • 2015
  •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 및 대체자원의 개발과 환경보호의 측면에서 국가 사회적으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낮은 밀도와 높은 흡수율을 가지는 저품질 순환골재는 구조용 콘크리트 골재로 사용되지 못하고 주로 저부가가치로 사용되고 있다. 고품질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골재와 골재에 부착된 구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최근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모르타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나, 고품질 순환잔골재의 생산 조건에 관한 정량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 황산과 저속습식마쇄기를 이용하여 구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산의 몰비와 골재비율에 따른 순환골재의 실험결과 밀도, 흡수율, 실적율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젝트애시를 잔골재로 프리믹스하여 활용하는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Concrete Using Reject Ash as Pre-mixed Fine Aggregate)

  • 한민철;현승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44-49
    • /
    • 2019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입도의 단일골재 및 반대 입도의 골재를 혼합한 혼합골재에 리젝트애시(Reject ash=Rj)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골재 제조공장에서 프리믹스하여 1개의 골재로 납품하는 혼합골재 시스템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연구결과 입도규정의 경우는 혼합골재(CSb+SS)에 Rj를 5% 정도 치환할 경우 입도규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인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와 공기량의 경우에는 Rj의 치환율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압축강도의 경우에는 Rj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매립 처분되는 Rj를 5% 정도 혼합골재에 프리믹스하여 활용하면서 감수제 및 AE제 등으로 적정 유동성 및 공기량은 확보하여 준다면 압축강도 증진 등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