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nt Model

검색결과 1,650건 처리시간 0.031초

쥐의 간암 세포에서 Desferrioxamine에 의해 유도된 Hypoxia Inducible Factor-1 $\alpha$가 방사선 저항성을 초래함 (The Expression of Hypoxia Inducible Factor-1 $\alpha$ by Desferrioxamine Induces Radioresistance in Mouse Hepatoma Cell Line)

  • 권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17-224
    • /
    • 2004
  • 목적: 저산소증은 방사선 감수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이에 대한 적응 반응에서 hypoxia-inducible factor 1 $\alpha$(HIF-1 u$\alpha$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HIF-1 $\alpha$의 발현과 방사선 감수성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쥐의 간암 세포주인 hepalclc7 세포와 HIF-1 $\beta$가 결손되어 HIF-1 $\alpha$의 기능이 억제된 hepaIC4 세포를 사용했다 저산소 유사 물질인 desferrioxamine (DFX)을 전처치하고 6시간 뒤에 방사선조사를 하여 western blot으로 HIF-1 $\alpha$ 발현을 조사하였다. Apoptosis는 DNA 분절화, propidium iodide 핵염색, 그리고 apoptotic cell death detection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MTT assay법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측정하고 SF2$_{2}$ SF$_{8}$, 그리고 mean inactivation dose (MID)를 산출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Hepalclc7 세포에서는 DFX 전처치를 한 경우 방사선에 의해 HIF-1 $\alpha$의 발현이 증가했으나, hepalC4 세포 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Hepa1C4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은 DFX처리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나 hepalclc7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은 DFX를 전처치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저산소 유사 물질인 DFX에 의해 유도된 HIF-1 $\alpha$가 쥐의 간암 세포주에서 apoptosis와 방사선 감수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종괴내의 저산소 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해 HIF-1 $\alpha$가 유도되고 이로 인해 저산소 세포에서 방사선 감수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편평세포암 동물 모델에서 고려인삼잎-다당체(MB40)의 항암치료효과 (The Anti-tumor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MB40) in a Murine Squamous Cell Carcinoma Model)

  • 주은정;최준;정은재;홍석진;조재구;백승국;우정수;정광윤;권순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anax ginseng C.A. Meyer is a medical plant that has been widely utilized as a tonic and nutritional agent since ancient times in Korea. Ginseng has anti-metastatic property of 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The novel acidic polysaccharide compound(MB40) wa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To determine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MB40, we evaluat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MB40 in tumor bearing immune competent mice. Material and Methods : C3H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Cisplatin treatment group, MB40 treat-ment group, Cisplatin and MB40 treatment group) and were transplanted SCC(Squamous Cell Carcinoma) cells(2${\times}$106) to the lateral side of abdomen. From day 4 after transplantation, MB40 was administrated at dose of 10mg/kg, respectively, every other day by intratumoral injection. Cisplatin was systemically administrated at doses of 1mg/kg, respectively, every week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Results : 5 days after administration, tumors can be palpated in every mice group. After 13 days of administration, the mice group to which MB40 were administrated exhibited reduction in tumor size respectively, compared to cisplatin group. Overall status of mice such as body weight and activity were superior in MB40 group than cisplatin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MB40 may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 and decreases complications induced by systemic chemotheraphy. MB40 may be developed as a novel and potent immunotropics to improve the cell immune system and anti-cancer drug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계층적 이동 Ipv6환경에서 지연갱신전략을 이용한 위치등록 비용 감소 (Cost Reduction of Location Registration Using the LiEy UBdate Strategy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이명규;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3호
    • /
    • pp.370-381
    • /
    • 2005
  • 이동 IP는 인터넷에서 호스트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확장성 있는 기법이다 이동 IP를 이용하여, 이동노드는 If주소의 변경없이 인터넷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IP는 위치등록을 위한 높은 통신비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통신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 사용자들의 통신패턴을 조사해본 결과, 이동 사용자들이 실제 통신하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실제, 이동노드가 통신하지 않는 유휴상태에서 이동중인 이동노드는 위치등록을 위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흠 에이전트에게 보낼 필요가 없다. 이러한 관점에 의해서, 본 논문에서는 계충적 이동 IPv6 환경에서 포워딩 포인터를 사용하여 통신 비용을 최소화하는 갱신지연전략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이동중인 이동노드가 통신하지 않는 동안 발생하는 불필요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제거함으로써 통신비용을 칙소화함에 있다. 제안기법에서 바인딩 갱신 메세지는 이동노드가 통신하는 무휴상태에서만 전송된다. 이동노드가 유휴상태일 경우, 바인딩 갱신 메세지는 포워딩 포인터를 이용하여 무휴상태가 될 때까지 지연된다. 따라서, 이동노드가 유휴상태인 경우 불필요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제거함으로써 위치등록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노드가 유휴상태일때 핑퐁효과로부터 발생되는 불필요한 위치등록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산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제안 기법을 이용하여 위치 둥록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2,4-Dichlorophenol로 오염된 폐수의 정화를 위한 식물체의 이용 (Use of Plant Materials for Decontamination of Waste Water Polluted with 2,4-Dichlorophenol)

  • 이정은;박종우;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2-297
    • /
    • 1999
  • 수중에서 유기합성화합물의 oxidative coupling을 통한 제거에 촉매제로서 식물체의 직접적인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지, 염료 및 전자회사 등에서 배출되고 있는 phenol성 화합물인 2,4-DCP를 이용하였다. 이 제거반응은 식물체에 포함된 산화환원효소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oxidative coupling반응에 의해 유기독성화합물들간의 중합 반응으로 생성된 polymer가 침전됨으로서 야기되었다. 여러식물체들을 선별하여 이들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peroxid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냉이에서 가장 높은 peroxidase의 활성이 관찰되었고 순무, 고구마, 배추 그리고 무 뿌리의 순이었다. Peroxidase의 활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난 순무와 냉이를 이용해 다양한 실험조건하에서 2,4-DCP의 제거정도를 조사한 결과 2,4-DCP의 최대제거는 냉이의 경우 3분 이내, 순무의 경우 15분 이내로 아주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며, 실험을 수행한 pH 전 범위(pH 3.0-8.0)에서 높은 제거율(90% 이상)을 유지하였다. 전자수용체로 작용하는 hydrogen peroxide를 9mM 첨가하였을 때 최대 제거율을 보였으며, 그 농도를 증가시키더라도 제거율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초기농도를 달리하여 냉이와 순무에 의한 2,4-DCP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냉이로 매개된 2,4-DCP의 제거율은 초기농도 1,600ppm까지 9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나, 순무로 매개된 2,4-DCP의 경우 초기농도 1,200ppm까지 90%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다가 초기농도가 1,600ppm로 증가되었을 때 78.8%로 제거율이 감소되어 유기독성물질의 초기농도는 식물체를 이용한 유기독성물질의 제거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2,2-trifluoroethanol (TFEA)를 기초로한 세정제의 물성 및 세정성 영향 연구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of New Cleaning Agents Based on 2,2,2-trifluoroethanol (TFEA))

  • 차안정;박지나;김홍곤;배재흠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533-541
    • /
    • 2005
  • 2,2,2-trifluoroethanol (TFEA)과 hydrofluoroether (HFE)를 혼합하여 비수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혼합비에 따른 물성과 세정성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TFEA를 기초로 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와 빌더를 첨가한 수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세정능력을 비교하여 CFC-113, 1,1,1-TCE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오염 물질로 수용성이거나 친수성, 지용성이거나 친유성인 각기 다른 플럭스, 절삭유, 그리스, 불소계 오일 등을 선정하고, 세정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중량변화를 비교하여 각 세정제의 세정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대체세정제로서의 TFEA를 기초로 한 세정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TFEA와 HFE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비수계 세정제는 플럭스와 불소계 오염물에 우수한 세정성을 보여주었지만 그리스 세정에서는 세정성이 떨어졌다. 이에 비하여 TFEA를 기초로 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빌더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계세정제는 일정한 배합 조건에서 플럭스와 그리스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TFEA를 기초로 한 수계 및 비수계 세정제는 특정 오염물질에 대하여 좋은 세정력을 보여 주어 CFC-113, 1,1,1,-TCE 등의 대체세정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rotease Activated Receptor-2의 길항제로서 Lobaric Acid의 피부 색소침착 억제 효능 연구 (A Study on the Inhibition of Skin Pigmentation by Lobaric Acid as Protease Activated Receptor-2 Antagonist)

  • 구정현;이지은;명철환;박종일;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3-252
    • /
    • 2015
  •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 멜라노좀은 수상돌기를 따라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다. 세포막을 통한 정보 전달계에 관여하는 protease activated receptor-2 (PAR-2)는 SLIGKV와 같은 펩타이드에 의해 활성화되어 멜라노좀 전달을 증가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PAR-2의 저해제를 찾고 본 저해제가 멜라노좀의 이동과 색소침착을 저해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R-2가 활성화되면 G 단백질이 방출되고, 이때 증가하는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가 lobaric acid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lobaric acid가 PAR-2의 길항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각질형성세포에서 SLIGKV에 의해 증가된 형광 비드 uptake가 lobaric acid에 의해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분리된 멜라노좀을 이용한 시험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멜라노사이트와 케라티노사이트를 공동 배양하여 멜라노좀의 이동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lobaric acid에 의해 멜라노좀의 전달이 억제되었다. 인공피부조직에 lobar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색소 침착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Fontana-Masson 염색을 통해 멜라닌의 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obaric acid가 PAR-2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로 멜라노좀 전달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Excipients in Polyethylene Glycol 6000 Solid Dispersion on Enhanced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of Ketoconazole

  • Heo, Min-Young;Piao, Zong-Zhu;Kim, Tae-Wan;Cao, Qing-Ri;Kim, Ae-Ra;Lee, Beom-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604-611
    • /
    • 2005
  • Polyethylene glycol (PEG) 6000-based solid dispersions (SDs), by incorporating various pharmaceutical excipients or microemulsion systems, were prepared using a fusion method, t o compare the dissolution rates and bioavailabilities in rats. The amorphous structure of the drug in SDs was also characterized by powder X-ray diffractometry (XRD)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ketoconazole (KT), as an antifungal agent, was selected as a model drug. The dissolution rate of KT increased when solubilizing excipien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PEG-based SDs. When hydrophilic and lipophilic excipients were combined and incorporated into PEG-based SDs, a remarkable enhancement of the dissolution rate was observed. The PEG-based SDs, incorporating a self 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 or microemulsion (ME), were also useful at improving the dissolution rate by forming a microemulsion or dispersible particles within the aqueous medium. However, due to the limited solubilization capacity, these PEG-based SDs showed dissolution rates, below 50% in this study, under sink conditions. The PEG-based SD, with no pharmaceutical excipients incorporated, increased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_{max}$) and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 curve (AUC$_{0-6h}$) two-fold compared to the drug only. The bioavailability was more pronounced in the cases of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PEG-based SDs. The thermograms of the PEG-based SDs showed the characteristic peak of the carrier matrix around 60$^{\circ}C$, without a drug peak, indicating that the drug had changed into an amorphous structure. The diffraction pattern of the pure drug showed the drug to be highly crystalline in nature, as indicated by numerous distinctive peaks. The lack of the numerous distinctive peaks of the drug in the PEG-based SDs demonstrated that a high concentration of the drug molecules was dissolved in the solid-state carrier matrix of the amorphous structure. The utilization of oils, fatty acid and surfactant, or their mixtures, in PEG-based SD could be a useful tool to enhance the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by forming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systems when exposed to gastrointestinal fluid.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nd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 Kang, Keon-Wook;Kim, Yoon-Gyoon;Kim, Choon-Won;Kim, Sang-Ge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55-663
    • /
    • 2002
  • Liver fibrosis is a prepathological state wherein damaged liver tissues in chronic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are not repaired to normal tissues, but converted to fibrous tissue. 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is effective against a wide variety of chemical carcinogens. Recently, we reported that oltipraz inhibits liver fibrogenesis (Kang et al., 2002).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oltipraz in combination with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on 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liver fibrogenesis were assessed in rats. Oltipraz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was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s in plasma ALT, AST and bilirubin by DMN, whereas DDB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attenuated the increases in the plasma ALT and bilirubin. The lowered plasma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in DMN-treated rats were completely restored by oltipraz, but not by DDB. DDB decreases liver cell injury and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B. DMN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ver collagen,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4-hydroxyproline content in liver homogenates, which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oltipraz, but not by DDB. Given the differential effect between oltipraz and DDB,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antifibrotic efficacy by the drugs was assessed in the animal model. Despite the minimal effect of DDB on DMN-induced fibrogenesis, DDB (5-25 mg/kg), administered together with oltipraz (25-5 mg/kg), showed an additive protective effect against hepatotoxicity and fibrosis induced by DMN, which was shown by the blood chemistry parameter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adequate composition ratio of oltipraz to DDB was 5:1.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f oltipraz and DDB as the active component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흰 쥐의 측두하악관절 통증모델에서 Triptolide와 N-nitro-L-arginine Methyl Ester의 통증조절효과 (Analgesic Effects of Triptolide and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in Rat's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Model)

  • 김윤경;이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00-806
    • /
    • 2015
  • 이 연구는 triptolide와 L-NAME의 측두하악관절 통증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측두하악관절 통증모델에서 triptolide와 L-NAME의 소뇌연수조 내 각각의 얄물의 단독 투여에 따른 통증행위반응과 두 약물의 병용 투여에 따른 상호작용이 통증행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관절강 내로 주입한 5% 포르말린($30{\mu}l$)은 유의한 통증행위반응을 유발하였고, 2차 통증행위반응 관찰 시 포르말린 주입 전 $1{\mu}g/10{\mu}l$ triptolide 투여군($163.33{\pm}29.11$회)은 포르말린군($308{\pm}33.04$회)과 비교 시 통증행위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0.1{\mu}g/10{\mu}l$의 L-NAME 투여군의 1, 2차 통증행위반응의 결과, 각각 $5.80{\pm}3.75$회, $92.30{\pm}16.04$회로 포르말린 주입군 $25.4{\pm}6.59$회, $285.60{\pm}29.93$회와 비교 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음으로, $1{\mu}g/10{\mu}l$의 triptolide와 $0.01{\mu}g/10{\mu}l$의 L-NAME 병용 투여군에서 1, 2차 통증행위반응이 $0.80{\pm}0.80$회, $96.50{\pm}26.16$회로 나타나 $22.50{\pm}19.15$회, $163.33{\pm}29.11$회로 나타난 $1{\mu}g/10{\mu}l$ trtiptolide군과 비교 시 유의하게 통증행위반응이 경감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측두하악관절 통증조절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활용가능한 천연물로 triptolide가 제시될 수 있으며, 천연물과 화합물들의 병용 투여를 통해 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리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간손상(肝損傷) 보호작용(保護作用)에 대한 연구 (Study i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ipyimiguanjung-tang and Osuyubujaijung-tang)

  • 김형순;배영춘;이상민;김경요;원경숙;이경성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0-108
    • /
    • 2003
  •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has been developed as prescriptions for the Soyeumin constituti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s investigated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4)-induced hepatic damage.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produced liver damage in rats as manifested by the significant rise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alkaline phosphatase(ALP) in serum as compared to those of untreated normal group. Pretreatments of rats with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500 mg/kg for 7 day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T, ALT, and ALP levels compared with CCl4-treated control group. Treatment of rats with CCl4 led to significantly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 in cytochrome P450 and P450 reductase. The oral administration of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microsoma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increased the cytochrome P450 and P450 reductase activity. All these biochemical alterations resulting from CCl4 administration were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with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1)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can be useful as a hepatoprotective agent. And the effect of NO modulation by NO synthesis or precursors, and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 (SGT) water extract was researched on chronic liver damage induced by CCl4 administration. It was observed that endogenous NO protected the liver from lipid peroxidation, fibrosis, and damage.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show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n the chronic liver cirrhosis model and relationship with NO mod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