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 diffu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34초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Fritillaria unibracteata Hsiao et K.C. Hsia and F. ussuriensis Maxim.

  • Moon, Jung-Wook;Chen-Zhi, Chen-Zhi;Song, Won-Seob;Baek, Seung-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19-723
    • /
    • 2011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thanol, water, and $CH_2Cl_2$ extracts from Fritillaria unibracteata Hsiao et K.C. Hsia and F. ussuriensis Maxim. were investigated by disk-agar diffusion method. The result showed comparativel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The extracts from F. unibracteata and F. ussuriensis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activity. However, water and $CH_2Cl_2$ extracts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7 microorganisms. Especially, against the most sensitive microorganism Staphylococcus epidermidis, methanol extracts at highest concentration of 20 mg/mL exhibited the largest clear zone on plate by 6-12 mm and ethanol extracts on plate by 6-10 mm.

프로폴리스의 구강구취균에 대한 항균성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Oral Microorganisms)

  • 김상아;정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0-375
    • /
    • 2013
  • 구강구취균 4종을 국내산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 열처리, pH의 변화를 통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 gingivalis KCTC 5352가 다소 프로폴리스에 저항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그 외의 구강구취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를 조절하여 구강구치균의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프로폴리스의 농도가 진할 수록 더 빠른 시간에 큰 활성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0.22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첨가하였을 경우 4-6시간 안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하였다. TEM을 통해 프로폴리스가 균의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았으며 프로폴리스를 첨가한 균의 세포막이 얇아지면서 붕괴되고 안의 내부물질이 유출되면서 세포가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0.56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여 열처리 후와 pH 조절 후의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을 시험한 결과 열에 안정하지 않고, pH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Brown Algae Extracts and the Thermal and pH Effects on Their Activity

  • Lee, So-Young;Kim, Jin-Hee;Song, Eu-Jin;Kim, Koth-Bong-Woo-Ri;Hong, Yong-Ki;Lim, Sung-Mee;Ahn, D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06-512
    • /
    • 2009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30 species of algae was measured using the agar diffusion method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In agar diffusion method, the 95% ethanol extracts from 12 of the algae showed growth inhibition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In particular, Ishige okamurai, Ecklonia stolonifera, Sargassum siliquastrum, Sargassum thunbergii, Colpomenia bullosa, and Ecklonia cava ha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t 4 mg/mL. In the results of the MIC test, S. siliquastrum showed the most antimicrobial activity, where its MIC values ranged from 0.005 to 0.0075%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sillus subtilis. In the thermal stability test, for the ethanol extracts of I. okamurai, E. cava, S. siliquastrum, S. thunbergii, and C. bullosa, the extracts proved to maintain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when they were treated at $121^{\circ}C$ for 15 min. In the pH stability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 siliquastrum ethanol extract was stable from pH 2 to 10, whereas the activity of the other species ethanol extracts were weakened under pH 10 against several microbes.

식중독 세균에 대한 소목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Effect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on Foodborne Bacteria)

  • 김이슬;심혜미;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26-1034
    • /
    • 2016
  • 본 실험은 식용 가능한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항균 활성을 검색하였다. 미생물에 대하여 약용 식물을 50 mg/mL, 100 mg/mL, 20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소목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각각 200 mg/mL, 100 mg/mL, 5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소목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이 소목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각 분획물을 5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그람 양성균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층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람 음성균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소목의 항균 물질로 추정되는 brazilin은 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존재하므로 소목 에탄올 추출물에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항균 활성이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brazilin 외에도 다양한 항균 물질이 존재하여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항생제로 알려진 vancomycin과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결과 50 mg/mL 농도에서 소목 75%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vancomycin 2.5 mg/mL를 사용하였을 때와 유사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의 추출물을 가지고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C. difficile KCTC 5009, L. monocytogens ATCC 19115의 최소저해농도는 0.06 mg/mL였고, S. aureus KCTC 1916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03 mg/mL였다. Vancomycin의 유효혈청농도는 0.005~0.04 mg/mL로 견줄만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추출물을 가지고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는 항균력은 C. difficile KCTC 5009, L. monocytogens ATCC 19115, S. aureus KCTC 1916에서 모두 대조구와 비슷하게 억제환이 생성되어 소목 추출물의 항균성 물질은 열 및 pH에 대체로 안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목 에탄올 추출물이 그람 양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아 소목을 그람 양성의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제제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 장미란;서지은;이제혁;정미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1
    • /
    • 2010
  •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The Introduction of Polycrylamide Gel into the Solid Culture of Streptomyces spp

  • Han, Hong-Ui;Yang, Mo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9
    • /
    • 1992
  • It is proposed the polyacrylamide gel, instead of agar, could be used for the solid cultures of microorganisms including Streptomyces strains. Polymerization and gellation of 5% acrylamide solution were done by autoclaving for 5 min at 121.deg.C and no hindered by the addition of nutrient-rich media. In particular, pH buffer solution suitable for corresponding microorganisms must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Comparing with agar, it was discussed that polycrylamide gel had many advantages such as gellation within the wide range of strong acid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quirement tests of growth factors and minerals, sterization at high temperature, diffusion assays of products depending on the pore size of gel, and stability and standarization of microbial cultures.

  • PDF

In situ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s of B. Subtilis

  • Akthar, Wasim S.;Aadham, Mohamed Sheik;Nisha, Arif S.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15-232
    • /
    • 2020
  • Crude oils are essential source of energy. It is majorly found in geographical locations beneath the earth's surface and crude oil is the main factor for the economic developments in the world. Natural crude oil contains unrefined petroleum composed of hydrocarbon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and it contains other organic materials like aromatic compounds, sulphur compounds, and many other organic compounds. These hydrocarbons are rapidly getting degraded by biosurfactant producing microorganisms.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surfactant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oil-contaminated soil. The ability of the microorganism producing biosurfactant was investigated by well diffusion method, drop collapse test, emulsification test, oil displacement activity, and blue agar plate method. The isolate obtained from the oil contaminated soil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The identification was done by microscopic examinations and further characterization was done by Biochemical tests and 16SrRNA gene sequencing. Purification of the biosurfactant was performed by simple liquid-liquid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ted biosurfactants was done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 degradation of crude oil upon treatment with the partially purified biosurfactant was analyzed by FTIR spectroscopy and Gas-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GC-MS).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I. 시금치에 발생하는 Broad Bean Wilt Virus (BBW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leracea L.) II. Identification of Broad Bean Wilt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4
    • /
    • 1979
  • 짙은 연색의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 시금치를 채집하여 Broad bean wilt virus(BBWV)를 분리동정 하였다. 분리된 Broad bean wilt virus (BBWV)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henopodium quinoa) ,잠두(Vicia faba)에서는 접종엽에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접종상엽에서는 모자익(전신감염)병징이 나타났으며 꽈리(Physalis floridana), 시금치, 담배 (W.B), 담배 (Nicotiana glutinosa)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로부터 분리한 병원바이러스와 BBWV의 항혈청을 한천내확산법(Agar gel-diffusion test)으로 반응시킨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구형의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직경은 25nm이었다. 시금치 재배포장에서 BBWV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

산초 정유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장미란;서지은;이제혁;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6-213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using the agar-well diffusion assay,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B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In particular, essential oil from Z. schinifolium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than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Essential oil from Z. schinifolium displayed large inhibition zones especially against Bacillus cereus (31 mm). At concentrations between 0 and $20\;{\mu}g/mL$ the oils showed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both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against nine bacteria ranged from 1.25 to $5\;{\mu}g/mL$.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values against eight bacterial ranged from 2.5 to $20\;{\mu}g/mL$, except Shigella sonnei. Furthermore, our finding 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validated the use of this plant for medical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