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M1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2초

양파김치 메탄올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 (Anticancer and Immuno - Activity of Onion Kimchi Methanol Extract)

  • 박경욱;김재용;조영숙;이성태;정창호;강갑석;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9-1444
    • /
    • 2004
  • 양파 및 양파김치에 대한 항암 및 면역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aflatoxin $B_1$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항돌연변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파김치 첨가군이 양파의 첨가군보다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A549 및 MCF-7 암세포주에 처리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1,000 ${\mu}$g/mL 농도에서 모두 20% 이상 그 성장을 억제하였다.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고, 양파 추출물보다 더 높은 증식을 유도하였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주에서 NO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역시 양파김치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보다 더 많은 NO을 생성량을 유도하였다.

양파고추장 메탄올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 (Anticancer and Immuno-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Kochujang)

  • 김재용;박경욱;양현숙;조영숙;정창호;심기환;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78
    • /
    • 2005
  • 양파고추장에 대한 항암 및 면역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장 메탄을 추출물은 aflatoxin $B_{1}$으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항돌연변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고추장보다 양파고추장이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양파고추장 메탄올추출물은 A549 및 MCF-7 암세포주에 처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1,000\;{\mu}g/mL$농도에서 모두 $20\%$ 이상 그 성장을 억제하였다. 양파 고추장 메탄올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고, 대조구 고추장 추출물보다 더 높은 증식을 유도하였다. 고추장 추출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주에서 NO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역시 양파고추장 추출물이 대조구 고추장 추출물보다 더 많은 NO을 생성량을 유도하였다.

Benzo[a]pyrene의 변이원성에대한 인진쑥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on the Mutagenicity of Benzo[a]pyrene)

  • 안병용
    • KSBB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31-336
    • /
    • 2000
  • 여름과 가을에 수확한 연진쑥을 열수 빛 에탄올로 추출하 여 B(a)P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SOS Chromotest로 시험한 결과 여름에 수확한 시료의 물 추출물에서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 가용성 분획과 불용성 분 획으로 분리하였으며 분획별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불용성 분 획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불용성 분획은 SOS Chromotest외 A Ames test에서 정확한 용량의존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50% 돌연변이 억제농도 $(IC_{50}$는 E. coli PQ37에 대하여는 $200{\mu}g/assay$, S. typhimurium TA98에 대하여는 $800{\mu}b/plate$ TAIOO에서는 $600{\mu}g/plate$이었다. 그러나 세포내.외 항돌연변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인진쑥 물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d desmutagenic effect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PLC를 사용 하여, B(a)P의 변이원성에 주된 효소인 cytochrome P-4S0 1A1에 의해 대사되어지는 aflatoxin Mj 농도를 측정한 결 과 AFM1의 형성이 크게 감소되었다. B(a)P의 변이원성에 대 한 인진쑥 불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아마도 B(a)P를 ultimate mutagen으로 대사시키는 cytochrome P-4S0 1A1 효소계를 저해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Steroid Hormone Receptor/Reporter Gene Transcription Assay for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 Jeong Sang-Hee;Cho Joon-Hyoung;Park Jong-My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5-22
    • /
    • 2006
  • Many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nduce effects via interaction with hormone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in target cells. We investigated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some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including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CPM, aflatoxin B1, cadmium chloride, genistein, TCDD and PCBs in yeast transformants expressing human steroid hormone receptors along with steroid responsive elements. The response limit of genetically recombinant yeast to $17{\beta}$-estradiol,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was $1{\times}10^{-16},\;1{\times}10^{-12}\;and\;1{\times}10^{-13}M$, respectively. BHT induced weak transcriptional activity in estrogen sensitive yeast, while BHA and sorbic acid interacted weakly with androgen receptor/responsive element. CPM induced transcriptional activities in all types of yeasts sensitive to steroid hormones. Zearalenone and genistein induced high transcriptional activation in estrogen sensitive yeast with relative potencies almost $10^8$ folds lower than $17{\beta}$-estradiol. TCDD induc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weakly in estrogen- and progesterone- sensitive yeasts. This study elucidated that recombinant yeast is a sensitive and high-throughput system and can be used for the direct assessment on chemical interactions with steroid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Also, the present study raises the requirement of evaluation on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BHT, BHA, sorbic acid, CPM and TCDD for their transcription activity in yeast screening system though weak in intensity.

김치로부터 항돌연변이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Antimutagenic Substance from Korean Kimchi)

  • 이창호;박희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1999
  •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orean Kimchi in order to study their antimutagenic substances.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showed the strain KLAB21 to have the highest antimutagenic activity among the 230 isolated strains against MN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PD (4-nitro-O-phenylenediamine), NQO (4-nitrosoquinoline-1-oxide) and AFB1 (aflatoxin B1).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its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timutagenic activity of L. plantarum KLAB21 was found in culture supernatant suggesting the bacterium secrete antimutagenic substance in the media. No mutagenic activity was found in the culture supernatant. The isolated strain L. plantarum KLAB21 showed much higher antimutagenic activity than L. plantarum IAM1261 which is being used industrially for fermented milk production.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L.plantarum KLAB21 was reconfirmed by the spore-rec assay using spores of Bacillus subtilis H17($Rec^+$) and M45($Rec^-$).

  • PDF

암모니아 및 가성소다 처리가 Mycotoxin 오염 사료용 볏짚의 사일레지 저장 및 반추위 미생물의 섬유소 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reatment on the Storage and Rumen Microbial Fiber Degradation in Silage of Rice Straw Contaminated Mycotoxin)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0-86
    • /
    • 2020
  • 본 연구는 볏짚 사일리지의 곰팡이 독소 저감을 위한 효율적 방안으로 화학적 처리 방법에 따른 효능에 관한 진보적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암모니아 및 가성소다를 이용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볏짚의 4% 수준으로 각각 처리하고 사일리지 저장에 따른 곰팡이독소 저감, 발효 품질 및 섬유소 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였다. 모든 실험구에서 Aflatoxin B1, B2, G1, G2 그리고 Fomonisin B1, B2 뿐만 아니라 Dexynivale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Ochratoxin A와 Zearalenone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Ochratoxin A은 대조구(41.23g/kg)보다 화학적 처리구에서 낮게 검출되었다(p<0.05). Zearalenone은 대조구(600.33㎍/kg) 및 암모니아 처리구(376.00㎍/kg)에 비하여 가성소다 처리구(297.44㎍/kg)가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볏짚 사일리지의 pH는 암모니아 처리구(4.63)가 가장 낮았고, 가성소다 처리구가 가장(8.19) 높았다(p<0.05). lactic acid 함량은 대조구와 암모니아 처리구(10.85와 10.98mM)는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가성소다 처리구(8.80mM)가 가장 낮았다(p,0.05). Propionic acid는 대조구(0.55mM)가 화학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며(p<0.05), 암모니아와 가성소다 처리구간(0.09와 0.07mM)에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화학처리에 따른 볏짚 사일리지의 반추위 미생물의 NDF 및 ADF의 분해율 모두 가성소다 처리구가 가장 높은 분해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암모니아 처리구이었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볏짚 사일리지 제조공정에서 암모니아 및 가성 소다 처리가 곰팡이 독소 저감 및 볏짚 사일리지의 반추위 미생물 분해율 증진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가성소다 처리는 암모니아 처리에 비하여 곰팡이 독소 저감 및 섬유소 분해율 증진에 더 효율적이었으나 사일리지 발효에는 비효율적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쪽 추출물의 생리적 기능과 염색특성(제2보)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Effects and Dyeing Properties of the Extract of Fermented Indigo(Part II))

  • 한신영;최석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46-115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and dyeing properties of the fermented indigo extract. The methanol extract of fermented indigo showed a strong inhibition effect on Trich. mentagrophytes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aflatoxin B$_1$(AFB$_1$) in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We also fou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fermented indigo and it was evaluated by using Clone M-3 mouse melanoma cells and A431 human epidermoid carcinoma cells and exerted little cytotoxity against 3T3-L1 embryo fibroblast ce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S values of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fermented indigo and dyeing repeating times, the K/S values became higher as the repeating times were increased. The K/S values were high when the fabrics were dyed at low temperture. The K/S values of cotton fabric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lk fabrics. Changes of surface color of silk fabric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tton fabrics after water fastness test, laundering, irradiation and treatment of acidic and alkaline perspiration.

  • PDF

인공(人工) 위액(胃液)에 의한 Sterigmatocystin의 실활물(失活物)에 관한 위생화학적(衛生化學的) 연구(硏究) (Hygienic Studies on Inactive Substances of Sterigmatocystin by Artificial Gastric Juice)

  • 김수연;오유진;여신구;장성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70
    • /
    • 1986
  • Sterigmatocystin bears a close structural relationship to aflatoxin $B_1$ and is a carcinogenic compound that has been shown to affect various species of experimental animals. Reaction and toxicity of sterigmatocystin in the artificial gastric juice were investigated. Sterigmatocystin was degraded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extracted by the method of A.O.A.C. After cleaned up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s substance was detected and characteriz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UV, IR and mass spectra. It showed $R{\mathcal{f}}$ 0.4 and brick-red color by TLC. Especially, in the mass spectrum of it, fragment peak at m/e 327 was due to the loss of the $-CH_3$ and $-H_2O$, fragment peak at m/e 341 was due to the loss of the $H_2O$ and $-H^+$, and fragment peak at m/e 239 was due to the loss of the 2-chloro-tetrahydrofuran and methyl group from the parent molecule. Therefore, a degraded substance of sterigmatocystin reacted in artificial gastric juice (Sub. K) was estimated with additional formation of hydrochloric acid. In four-day-old chicken embryos, the mean lethal dose $(LD_{50})$ was $140\;{\mu}g/egg$, and 90 to 100% of the embryos were killed with 1 mg/egg. This $LD_{50}$ $140\;{\mu}g/egg$ compared with an $LD_{50}$ $14.69\;{\mu}g/egg$ for sterigmatocystin (acute toxicity) showed the substance to be much less toxic than sterigmatocystin.

  • PDF

국내에 유통되는 종국 곰팡이의 분류학적 특성 및 안전성 (Taxonomic Characterization and Safety of Nuruk Molds Used Industrially in Korea)

  • 홍승범;홍성용;조규홍;김영식;도종호;도지영;노석범;윤한홍;정수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9-157
    • /
    • 2015
  • 장류와 주류 제조를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하경발효의 황국균(HK1), 수원발효의 황국균(SW101), 백국균(SW201), 충무발효의 된장용 황국균(CF1001), 간장용 황국균(CF1002), 청주용 황국균(CF1003), 주류용 백국균(CF1005)과 전통 메주에서 분리하여 산업화 준비를 하고 있는 황국균(KACC 93210)의 분류학적 특성과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공시한 6균주의 황국균은 모두 A. oryzae로 동정되었으며 이중 HK1, SW101, CF1001, CF1003은 분생포자를 생성하는 대(stipe)의 길이가 중간크기($711{\sim}1,121{\mu}m$, 중모(中毛))로써 서로 유사한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청주용인 CF1003이 다른 3균주에 비하여 포자를 다소 적게 그리고 균사를 다소 많이 생성하였다. 간장제조용인 CF1002는 대의 길이가 평균 $543{\mu}m$로서 짧았으며(단모(短毛)) omtA 유전자 분석에서 다른 황국균이 ICAo 그룹에 위치하는 반면에 IBLB-그룹에 소속되어 명쾌히 구분되었다. 전통메주에서 분리되어 산업화 과정에 있는 황국균 KACC93210 균주는 대(stipe)가 평균 $270{\mu}m$로 매우 짧았으며(초단모(超短毛)) 다른 황국균이 양털모양의 집락을 형성하는 반면 벨벳모양의 집락을 형성하여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되었고 omtA 유전자에서도 공시한 황국균은 물론 세계적으로 보고된 어떤 황국균과도 염기서열이 서로 달랐다. 수원발효의 백국균(SW201)과 충무발효의 백국균(CF1005)은 모두 A. luchuensis (또는 A. luchuensis mut. kawachii)로 동정되었으며 집락 형태가 다소 상이하였으나 기타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계통학적 특징에서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 황국균 6균주는 aflatoxin, cyclopiazonic acid, sterigmatocystin의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지 않았고 백국균(A. luchuensis)은 유해한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이미 보고되었으므로 국내에 유통되는 황국균과 백국균은 모두 곰팡이독소에서 안전한 곰팡이임이 입증되었다.

목장형 유가공업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고찰 (Microbiological Safety Concerns with Dairy Products from Farmstead Plants)

  • 이지연;윤요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15-220
    • /
    • 2017
  • The consumption of natural cheese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7. However, most of the cheeses consumed in Korea are imported. Thus, surplus milk has accumulated in Korea.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established a policy to create a farmstead dairy industry. Although the law governing the industry was established in 2016, food safety guidelines have not been prepared. Milk and cheese are prone to contamination with mycotoxins such as aflatoxin M1 and ochratoxin A, antibiotic residues such as penicillin and tetracycline, and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Staphylococcus aureus. L. monocytogenes infections have a very high mortality rate; henc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eventing contamination of milk and cheese with this organism.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armstead dairy products, the HACCP model has been used. However, this model is not suitable for current processing environments of farmstead dairy products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operations. In addition, scientific data 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armstead dairy product are limited and are urgently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