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engineer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가상현실 기반 건설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CAMIL 이론을 활용하여 -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on the learning performance of construction workers - Using CAMIL theory -)

  • 박현수;구충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04-115
    • /
    • 2022
  •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전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제도에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체험형 교육방식의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및 기자재 인프라 미흡, 전문인력 부족 등의 한계로 인해, 사진기반 VR 컨텐츠를 시청하는 방법(간접교육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G기반 VR 컨텐츠를 체험하는 방법(직접교육방식, 유형 B)과 기존의 VR 시청교육(간접교육방식, 유형 A) 간의 학습효과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CAMIL (Cognitive & Affective Model of Immersive Learning) 기반의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t-test(평균차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CAMIL 이론에 따른 4단계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VR 시청교육(간접교육방식) 대비하여 VR 체험교육(직접교육방식)의 학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의 올바른 방법(시청교육이 아닌 체험교육)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VR 체험교육의 확대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안전교육 학습효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 불편도와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erceived Exertion and Satisfaction in Opening and Closing Tailgates of Sport Utility Vehicles)

  • 손병창;류태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17
  • The difficulties in opening and closing a sport utility vehicle (SUV) tailgate is important aspect of JD (James David) power's Initial Quality Survey (IQS) assessment, and affective quality has a big impact on the the success of thesedays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ailgate an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eaction force. The mechanical force required to open and close 42 domestic and overseas SUV tailgates was measured with the help of an auto company. In the experiment, 100 male drivers in their 20s to 50s evaluated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the tailg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vehicle, but did not depend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regression model of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was developed by mechanical force variables and had a relatively high adjusted $R^2$ ranging from 0.62 to 0.73. The models showed that the the initial close and open force, the difference between initial and maximum close for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itial and auto-fall angle should be small for the low perceived exertion and high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QS score of tailages and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IQS scores were more related to the perceived difficulty and satisfaction of closing than those of ope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helpful to design and test mechanical open and close structure of SUV tailgates.

공과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융합태도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of Engineering Students)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47-57
    • /
    • 2022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of engineering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first, differences in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among engineering students were examined. Second,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as perceived by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on empathy were explored.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two engineering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Korea responded to survey based on a two-variables scale. The findings were that, firstly,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of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was identified. Secondly, attitudes toward curricula integration could explain about 12% of empath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in, with particular attention on education for promotion of empathy for engineering students.

비디오 에스노그래피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 연구 (The Behavioral Patterns of Neutral Affective State for Service Robot Using Video Ethnography)

  • 송현수;김민중;정상훈;석현정;권동수;김명석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29-636
    • /
    • 2008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로봇 연구는 특정한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작업수행 상태가 아닌 외부로부터 입력 값이 없는 대기상태의 행동패턴을 제시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비디오 판독 방법을 선택하였고, 실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10명의 사람들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사람들과 상호작용이 없는 대기상태의 반복적인 행동패턴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총 21개의 반복적 행동을 기록하였고, 비슷한 항목들을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행동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패턴들 가운데 6개의 대표적인 행동들을 EEEX라는 로봇에 적합하도록 인코딩 작업을 하였고, 이것들이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들은 대부분의 로봇 행동패턴을 실험에서 의도한 바와 같이 인식하였으나 로봇의 하드웨어 특성상 몸과 팔의 움직임에서 약간의 혼동 요소가 있었다. 추후 실험을 통해 EEEX를 대형 마트의 입구에 실제로 배치하여 대기 중에 중립행동을 보일 때와 보이지 않을 때의 손님의 관심도 차이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 PDF

뇌기반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tic Review of Effects of Brain-Based Education)

  • 장환영;장봉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1-47
    • /
    • 2020
  • 이 연구는 뇌기반 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뇌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국내 선행연구 27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7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학업성취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자기조절능력, 창의성, 핵심역량, 의사소통능력, 탐구 능력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사회성, 학습 흥미, 교과 태도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고력 개발 관련 뇌기반 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두 개 영역이상 통합한 경우, 뇌 단련, 풍요로운 환경 제공, 우뇌 계발 학습법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활동 관련 뇌기반 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기억 공고화 전략, 주의 촉진 전략의 순서로 나타났다.

디자인 조형언어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적 인지특성 (Characteristic on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language)

  • 민경택;허성철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87-96
    • /
    • 2009
  • 디자인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소비자들은 제품의 형태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나 제안을 하기도 하며, 기업에서도 이러한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제품의 형태를 다루는 데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어느 정도의 시각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곧 제품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에 대한 특징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알아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먼저 제품 형태 기반의 감성 이미지 어휘에 대한 정립을 진행하였다. 정립된 이미지 어휘를 기반으로 각각 소비자와 디자이너에게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형태에 대한 감성 반응은 유의한 성향을 띄게 되는데 이 때 디자이너가 소비자에 비해 보다 극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특징이 나타났다.

  • PDF

청소년 대상 파이썬(Python)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Python Education for Adolescents)

  • 장봉석;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63-369
    • /
    • 2020
  • 이 연구는 청소년 대상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 파이썬 활용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6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이썬 활용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4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효과를 종속변수 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 0.871, 인지적 영역 0.625, 정의적 영역 0.428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영역의 경우, 자기효능감 0.833, 문제해결능력 0.283, 컴퓨팅사고력 0.276, 코딩 역량 0.251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영역의 경우, 학습 흥미 0.56, 프로그래밍 흥미 0.417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급의 경우, 중학교 0.851, 고등학교 0.585, 대학교 0.435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과 영역의 경우, 수학 1.057, 디자인 0.595, 정보 0.585, 소프트웨어 0.28의 순서로 나타났다.

Intelligent Emotional Interface for Personal Robot and Its Application to a Humanoid Robot, AMIET

  • Seo, Yong-Ho;Jeong, Il-Woong;Jung, Hye-Won;Yang, Hyun-S.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764-1768
    • /
    • 2004
  • In the near future, robots will be used for the personal use. To provide useful services to humans, it will be necessary for robots to understand human intention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rfaces for robots is an important expansion of human-robot interactions. We designed and developed an intelligent emotional interface for the robot, and applied the interfaces to our humanoid robot, AMIET. Subsequent human-robot interaction demonstrated that our intelligent emotional interface is very intuitive and friendly

  • PDF

정서 인지를 위한 뇌파 전극 위치 및 주파수 특징 분석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Position and Spectral Feature for Emotion Recognition)

  • 정성엽;윤현중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4-7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the selection of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de positions and spectral features to recognize emotion, where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are classified into three and two levels, respectively. Ten experiments for a subject were performed under three categorized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pictures, i.e., high valence and high arousal, medium valence and low arousal, and low valence and high arousal. The electroencephalogram was recorded from 12 sit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referenced to Cz. The statistical analysis approach using ANOVA with Tukey's HSD is employed to ident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EEG electrode positions and spectral features in the emotion recognition.

장면 시자극에 대한 감성측정에 관한 연구 (Human Sensibility Measurement or the Visual Picture Stimulus)

  • 김동선;김동윤;임영훈;손진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6
    • /
    • 1997
  • We present several biosignal measurement results and analysis algorithms or the visual stimulus from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Since human body is nonlinear dynamic system, we investigated both linear and nonlinear methods. We found that the chaos was diminished when unpleasant picture is presented relative to pleasant picture, and the alpha wave of EEG was slightly augmented in pleasant picture, but was not convincing result. These can be used as the parameter or the measurement of human sensi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