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Domain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3초

자기조절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 성취,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Self-regulati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 정영란;안미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389-400
    • /
    • 2010
  •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self-regulati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fifth grades of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61 students. One class (31 students) out of selected two classes was applied to Self 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the other (30 students) took conventional methods of teaching. The experiment proceeded for 21 weeks, 51 times of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d the children's Academic self regulation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d the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d the children's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Furthermore, six distinct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 have correlation with scientific attitudes, interests of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 PDF

컴퓨터교과교육의 교수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정의적 요소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Affective Components Influencing the Teaching of Computer Education)

  • 김혜정;김홍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1-32
    • /
    • 2008
  • 본 연구는 컴퓨터교육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활동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정의적 요소를 탐색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개발하고, 13명의 교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질적 연구 방법 및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업활동과 관련하여 감성, 태도, 자기효능감, 동기, 기대 등의 정의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교수활동에 내적 혹은 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목표 성취를 위하여 인지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교사의 정의적 요소도 매우 중요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컴퓨터교육에서 교사 및 학생의 정의적 요소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ts Instructional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9-44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2013년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의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 요인에 대한 의미 및 교육적 함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또 지금까지 수학교육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던 몇몇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학 교과에 적용 가능한 흥미, 자아효능감,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에 대한 수업 지도 방안을 탐색하여 마련하였다.

영어동화와 융합한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 교육이 유아의 초기 읽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Convergence of Story Character Phonics on Preschoolers' Early Reading Development)

  • 임은경;송해성;배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 영어교육에서 유아의 음소인식과 음철법 향상을 위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아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부여에 유용한 교육 자료를 연구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를 활용한 수업이 유아영어의 음소인식과 음철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 학습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음소인식과 음철법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G시 S유치원 유아 24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2016년 3월부터 5주간 주3회 30분, 총 15차시로 실시했다.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가 음소인식과 음철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집단으로 15차시에 걸친 수업 후,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를 활용한 집단의 음철법과 음소인식 영역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유아들은 스토리 캐릭터 파닉스로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 흥미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자 변인과 영어 학업 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variables and English accomp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심순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61-286
    • /
    • 2005
  • Lately, teaching methods and instruments have become student-centered and are directed towards developing a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earners. However,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the level of our students English is not very good. I guess the reason is that our English education is focused on the uniformal teaching method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of intelligence, affective domains and study time.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s. So I divided the students into 2 groups of superior and inferior students by the standard of intelligence, affective domain and study time and compared the scores between the groups in the fields of reading comprehension, grammar, pronunciation, accent, vocabulary, and listening. These were the results that followed: First, intelligence has a great influenc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 in all fields. Second, affective domains such as motivation, anxiety, attitude, confidence, and studying time also have some influence on th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s. Third, the sequence of these factors according to their influence force are as follows: study time, anxiety, intelligence, motivation, attitude, and confidence. So we can conclude that we should teach English according to our students' ability in the field of intelligence and affective domains and should not ignore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ey have.

  • PDF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 기반의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cused on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Based Classroom Culture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 오미희;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수학교실문화 형성을 위한 규범 협의 및 수학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2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경청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학교실문화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실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연계된 수학교실문화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 PDF

과학 수업에서 정의적·행동적·인지적 영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자기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Perception o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of Science Instruction)

  • 박선이;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60-37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in science class.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grade levels, a self-perception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ird and fifth grade students in Seoul,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affective domai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gnitive domain in third grad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level of the fifth grade students. Both third and fifth grade students perceiv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one year of science teaching. Second, in the life science class, the same tendency was also observed. The students in the third and fifth grade reported that cognitive domains were the most improved through the one-year life science class. Third, when the students' perceptions were compared by grades, the third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self-perception scores than fifth grade students. As the grade increased, the perception scores of the students' lowere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teaching and learning at school are discussed.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n Elementary School Biology)

  • 심규철;이현욱;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4
    • /
    • 1998
  • 교육 목표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이 실제 각 단원, 소단원 그리고 수업 차시 목표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수업 목표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목표설정 영역은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과 STS 영역 등 6개이다.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가장 많았으나,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원 목표와 소단원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정의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STS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나, 차시 수업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탐구 과정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목표 영역 중에서 인지적 영역과 탐구과정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단원, 소단원과 차시의 수업 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단원, 소단원, 차시 수준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속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형식적인 구분보다는 교과서의 개발시 목표 영역의 일관성 있고, 균형 있는 반영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목표 설정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안배가 요구된다.

  • PDF

창의사고필터링모형 (CTFM) 교육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Filtering Model to Creativity Domains)

  • 송홍준;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505-516
    • /
    • 2014
  • 본 연구는 국제영재교육에서 창의사고필터링모형(Creative Thinking Filtering Model : CTFM)교육프로그램 적용이 창의성의 인지적 영역(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 정의적 영역(독자성, 호기심, 다양성, 민감성, 유모감각, 개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으로 공분산분석 (Analysis of Covariance :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TFM을 적용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3요인 모두에서, 정의적 영역에서는 민감성을 제외한 독자성, 호기심, 개별성, 다양성, 민감성, 유모감각의 5요인에서 CTFM을 적용한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TFM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에 인지적 영역의 창의성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의 3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유창성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TFM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에 정의적 영역의 창의성을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의 6요인 중 독자성, 다양성, 유모감각, 개별성의 4요인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독자성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