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곽영순(2001).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2(5), 427-447.
|
2 |
교육과학기술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3 |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4 |
김미영, 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DOI
|
5 |
김범기(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41-358.
|
6 |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
7 |
김현정, 여상인(2010).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9(4), 451-464.
|
8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1999).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
9 |
노태희, 최용남(1996).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
10 |
박강은, 김덕구(2002). 초파리의 한살이 단원에 대한 발견식 관찰 수업과 설명식 관찰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1(1), 135-142.
|
11 |
박형민, 임채성(2018).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과 모둠 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생물교육, 46(3), 318-329.
|
12 |
임채성(2005).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 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심체적․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초등과학교육, 24(1), 86-101.
|
13 |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
14 |
윤혜경, 박승재(2000).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한 중 학생의 탐구 동기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37-153.
|
15 |
이미경, 정은영(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
16 |
임채성, 김재영, 정다운(2013). 초등과학 생명 영역 수업에서 학생의 흥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물교육, 41(4), 638-656.
|
17 |
임채성, 이은희, 김재영, 김남일(2007). 과제의 탐구 요구 수준에 따른 초등 생명 영역의 협동 학습에서 상호 작용 양상 및 효과 분석. 생물교육, 35(4), 704-719.
|
18 |
최승현(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9 |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
20 |
최선미, 차희영(2006). 초등학교 과학 탐구 및 실험 학습 실태 조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6(1), 17-30.
|
21 |
Cross, S. E., Hardin, E. E. & Gercek-Swing, B. (2011). The what, how, why, and where of self-constru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5(2), 142-179.
DOI
|
22 |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ce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DOI
|
23 |
Glynn, S. M., Yeany, R. H. & Britton, B. K. (2000).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심리학(권성기, 임청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서출판 1991).
|
24 |
Hall, D. A. (1990). Reducing science anxiety in a biology course for non-science majors.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Atlanta, GA, April, 1990.
|
25 |
전민정, 김흥태, 김재근(2012).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생물교육, 40(1), 1-14.
|
26 |
Hodson, D. (1998). Is this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Wellington, J.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NY: Routledge. pp. 93-108.
|
27 |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Boston:ISC.
|
28 |
Jennings, P. A. & Greenberg, M. T. (2009).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1), 491-525.
DOI
|
29 |
Peters, E. (2005). Reforming cookbook labs. Science Scope, 29(3), 16-21.
|
30 |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31 |
Randler, C. & Bogner, F. (2007). Pupils' interest before, during, and after a curriculum dealing with ecological topic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3(5), 463-478.
DOI
|
32 |
Schibeci, R. A. & Riley, J. P. (1986). Influe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erceptions on science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3), 177-187.
DOI
|
33 |
Yorek, N. (2009). The only good snake is a dead snake: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nakes. Biotechnology & Biotechnological Equipment, 23(sup1), 31-35.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