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Photo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초

무인항공영상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텍스처 매핑 (Texture Mapping of a Bridge Deck Using UAV Images)

  • ;한동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41-1047
    • /
    • 2017
  • 도로의 상태를 관측하는 많은 방법의 하나로 무인항공기 영상이 사용된다. 무인항공기 영상 파일이 너무 크고, 불필요한 정보가 많을 때, 특징적 정보를 압축한 텍스처 추출 기법이 사용된다. 특히 무인항공기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시뮬레이션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입력되기 때문에 텍스처 추출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고해상 영상을 얻기 위하여 무인항공기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브이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3차원 교량 모델을 취득한다. 둘째, 기하보정 정보를 가진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텍스처를 추출한다. 셋째, 개별 영상에서 추출된 텍스처를 융합한다. 본 연구 결과는 브이월드 텍스처를 고해상 영상으로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IS를 이용한 하천공간 데이타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ing River Space Database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태식;구지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93-101
    • /
    • 1994
  • 하천공간은 하천을 주제로한 주위의 모든 공간을 의미하는것인데, 하천환경의 정비와 관리 기본계획의 수립시 하천공간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 하천공간 자료가 2차원성과 3차원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지리정보시스셈을 구축하여 자료를 관리하고 필요한 분석을 실시하는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여 시범적으로 한강의 동작대교에서 잠실철교까지 약 12Km의 구간을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여 RSDB '93(River Space Database 93)이라 명명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S/W는 PC ARC/INFO이고 H/W386PC였다. 도형정보는 1 : 10,000서울특별시도를 이용하여 강, 고수부지, 주변 주요도로,수리구조물의 위치, 횡단도의 위치 등을 각각의 레이어로 하였고 속성정보로는 횡단측량자료, 하천이용현황자료, 하천생태계자료, 하천공작물자료, 문화사적자료, 수문자료, 수질자료, 인고위성사진을 입력하였다. 구축된 데이타베이스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메뉴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ARC/INFO 의 자체 Macro Language인 SML을 이용하였다. RSDB '93은 하천공간의 정비와 관리의 기법에 있어서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준 시스템으로서 그 이용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차후에 국내의 모든 하천으로 대상범위가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축척 1/10,000 수치지도 제작 (1/10,000 Scale Digit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 이병환;김정희;박경환;정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23
    • /
    • 2000
  • 본 논문은 항공사진측량이 통제되고 있는 수도권 북부 지역 중 파주시 교하지역을 대상으로 러시아의 2m 급 고해상도 인공위성영상인 Alternative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1:10,000 축척의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방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주요 방법론으로는 MK-4(공간해상도 8m) 스테레오 위성영상으로 수치표고모델(DEM)을 추출하여 정사보정을 하였으며, GPS 측량을 통해 지상기준점(GCP)을 얻어 정밀한 기하보정을 하였다. 한편, 현장 지리조사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별 스크린 디지타이징을 하였으며 그 정확도는 평면위치에서 평균제곱근(RMS)오차가 ${\pm}0.4m$, 수직에서의 RMS 오차는 ${\pm}15m$였다. 따라서 평면위치 오차에 대해서는 NGIS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만족시키는 한편, 지리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추가함으로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도 등으로 활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VR기법으로 현실감을 고려한 도로설계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t Road Design in the Light of the Sense for the Real from the Virtual Reality)

  • 최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42-184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환경 영향평가를 위한 도로설계단계에서부터 가상현실기 법으로 현실감을 고려한 도로설계기 법에 관한 연구로 3차원 모델의 구축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시 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작된 3차원 모델은 도로공사 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극대화 시켜서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수단이 될 것이다. 수치지도와 항공사진으로 생성된 다면체 모델을 구성하는 중요 구조물을 실제질감을 매핑하여 작업하였으므로 사실감을 더욱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도로 노선으로 인한 장기간의 소모적인 협의기간을 단축하고 현행 환경 영향평가에서는 사후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저감대책을 심도 있게 다루어 보다 현실적으로 발전한 경관을 고려한 도로가 건설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SGLDM을 이용한 문서영상의 블록 분류 (Block Classification of Document Images Using the Spatial Gray Level Dependence Matrix)

  • 김중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47-135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공간 명암도 의존 행렬을 이용하여 문서영상의 다양한 블록들을 상세하게 분류해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블록분류 방법에서는 먼저 명암도 문서영상을 이진화하여 평활화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명암도 영상의 질감특징을 이용하여 분할하는 것보다 신속하게 블록을 분할하고 동시에 그 위치정보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할된 각 블록들의 공간 명암도 의존 행렬로부터 문서블록들의 7가지 질감특징을 구하고, 이를 정규화한 다음 역전파 신경회로망를 이용하여 문서블록들을 분류하였다. 문서블록들을 큰 문자, 중간 문자, 작은 문자, 표, 그래픽 및 사진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상세 분류하였다. 또한 명암도 문서영상의 2차 통계 질감특징을 얻기 위해 공간 명암도 의존 행렬을 구할 때, 기존의 사진과 같은 일반 영상분할에서와는 달리, 문서블록 고유의 특징이 잘 반영되도록 하였다. 즉, 분할된 각 블록을 하나의 마스크로 정하여 수평 한 방향의 공간 명암도 의존 행렬을 구함으로써 고속의 질감특징추출과 상세 블록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지형공간 콘텐츠 융합에 의한 도시 및 지역의 3차원 모델링 및 활용기법 연구 (3-D modeling and Application Methods for Urban Areas by Convergence of Topographical Spatial Contents)

  • 연상호;이영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8-490
    • /
    • 2009
  • 3차원 지형 환경의 공간영상콘텐츠는 국토계획 및 통신설비계획, 철도건설, 시공, 입체적인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요구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국내 운행하고 있는 국토 및 도시지역의 지형공간정보를 가장 정밀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고해상도 디지털 지상촬영 카메라를 탑재하여 원하는 지역에 대한 항공사진 촬영을 실시하여 지상의 기준점에 맞도록 기하보정을 실시하고, 각 지형에 수직대응 방향으로의 조건식을 적용한 정사보정작업을 거쳐 정확한 지도영상을 작성하였다. 지형공간위의 다양한 지형정보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정확한 초기 공간 자료의 수집, 저장, 편집, 조작 및 응용기술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도시 및 지역 계획 및 설계뿐만 아니라 관련 미래의 공간콘텐츠 구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정보통신에서 크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새로운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정합기법에 의한 3차원 선소추출 (3D Line Segment Detection using a New Hybrid Stereo Matching Technique)

  • 이동훈;우동민;정영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3권4호
    • /
    • pp.277-285
    • /
    • 2004
  • We present a new hybrid stereo matching technique in terms of the co-operation of area-based stereo and feature-based stereo. The core of our technique is that feature matching is carried out by the reference of the disparity evaluated by area-based stereo. Since the reference of the disparity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feature matching combinations, feature matching error can be drastically minimized. One requirement of the disparity to be referenced is that it should be reliable to be used in feature matching.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disparity, in this paper, we employ the self-consistency of the disunity Our suggested technique is applied to the detection of 3D line segments by 2D line matching using our hybrid stereo matching, which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e generation of the rooftop model from urban imagery. We carry out the experiments on our hybrid stereo matching scheme. We generate synthetic images by photo-realistic simulation on Avenches data set of Ascona aerial image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ed 3D line segments have an average error of 0.5m and verify our proposed scheme. In order to apply our method to the generation of 3D model in urban imagery, we carry out Preliminary experiments for rooftop generation. Since occlusions are occurred around the outlines of buildings, we experimentally suggested multi-image hybrid stereo system, based on the fusion of 3D line segments. In terms of the simple domain-specific 3D grouping scheme, we notice that an accurate 3D rooftop model can be generated. In this context, we expect that an extended 3D grouping scheme using our hybrid technique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3D models with more general types of building rooftops.

도농도시의 효율적 개발을 위한 토지이용변화예측 (Forecast of Land use Change for Efficient Development of Urban-Agricultural city)

  • 김세근;한승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79
    • /
    • 2012
  • 본 연구는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도농중심도시인 김제시의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고 미래 변화예측을 시도한 것이다. 감독분류 시 새로운 시도로 훈련영역 선정 시 HSB(Hue, Saturation, Brightness) 변환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약 5% 이상의 분류정확도 향상을 가져왔다. 분류결과와 해당지역의 구역 별 인구, DEM, 도로망, 수계 등 GIS데이터를 고려하여 셀룰라오토마타 알고리즘을 발전시킨 Markov Chain 기법으로 토지이용변화예측을 실시하였다. 토지변화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형적인 특성이 토지이용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030년 후의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 김제시 전체에서 산악지의 21.67%가 농경지로 13.11%는 시가지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주된 변화는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규모가 작은 산악지인 것으로 예측 되었다. 연구결과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한 도농도시의 토지이용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TMDL에서의 토지피복지도 활용 제고를 위한 GIS기반 현행화 방법 연구 (A Study on a GIS based Updating Methodology of Landcover Maps for the Enhancement of Utilization in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 곽근호;김계현;이철용;오성광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50
    • /
    • 2014
  • Recently, TMDL has been implemented to estimate the amount of pollutant loads and to establish proper mitigation strategy to decrease the pollutant load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estimate the amount of pollutant loads with reasonable accuracy, securing landcover map with periodically updating is essential. However, in reality, due to the technic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e landcover map has not been updated annually. Hence, this study mainl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GIS-based updating method in order to promote utilization of landcover map in the estimation of pollutant loads. Bupyeong-gu at the City of Incheon with the total area of $31.98km^2$ was chosen for this study and spatial data including digital topographic maps, ortho aerial photo, and satellite imag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A total of 7,235 feature entities were newly produced through the updating process of five step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landcover with the total area of $3.34km^2$ was to be changed.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were proved with the accuracy of 97.9% from the field verification. Further study needs to be made for devising more automated method to update landcover map to facilitate TMDL for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시흥군(始興郡) 서면일대(西面一帶)의 광화구제구조(鑛化規制構造)와 항공사진해석결과(航空寫眞解析結果)와의 비교연구(比較硏究) (The Study of Structural Control and Relative Photogeological Interpretation on Shiheung Mine Region)

  • 지정만;류병화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4호
    • /
    • pp.199-222
    • /
    • 1970
  • One of the biggest sulfide metallic (Cu, Pb, Zn) ore deposits of South Korea is located in the area of Seo-myeon, Shiheung-gun, Gyeonggi-do. Geology of the region is mostly composed of metasediments of biotite schist, graphite schist, injection gneiss, sericite schist, limesilicate and quartzite from bottom, those are applicable to so-called Yeoncheon System of Pre-Cambrian, and granodiorite, quartz porphyry, basic dykes are outcroped in a small scope as intrusives. The origin of the ore deposit is pyrometasomatic contact deposits due to hydrothermal replacement and the ore bodies are imbedded in lower bed of limesilicate formation as impregnation and ore minerals are galena, sphalerite, marmatite, chalcopyrite, bornite, chalcocite, covellite, and the later two minerals are both hypogene and supergene. Gangue minerals are mostly skarn minerals those hornblende, diopside, epidote, hedenbergite, chlorite, garnet and quartz except primary calcite and quartz. Boundary plane (NS strike) between schists and limesilicate seemed to be primary opening of ore solution and fractures bearing $N50^{\circ}{\sim}80^{\circ}W$ are secondary structural control for localization of ore minerals and the third structural controls are both irregular gashes and schistosity in small scale. Photogeological study was carried with vertical aerial photo scaled 1: 38,000 and enlarged 1 : 10,000 under stereoscope. The study on the area convinced the fact that the geologic boundaries between rocks, limesilicates and quartzites, are traced easily by their typical topographic feature and drainage, and the main fracture patterns which derived from the result of fracture traces, that photogeologic lineament observed under stereoscope, are those bearing (1) $N20^{\circ}W$, (2) $N58^{\circ}W$, (3) $N76^{\circ}W$, (4) EW, (5) $N20^{\circ}W$, (6) $N62^{\circ}W$, (7) $N77^{\circ}W$. Among the written fractures, (5) (not schistosity, in case of fault) (6) (7) are post-mineral faults and others are pre-mineral faults and others are pre-mineral structures, and (2) (3) (6) (7) are coincided with statistical figure of 208 fractures surveyed in underground. By the result of the study, mineralized zone, are presumed to extend north and southward, total length about 4k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