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cast of Land use Change for Efficient Development of Urban-Agricultural city

도농도시의 효율적 개발을 위한 토지이용변화예측

  • 김세근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공학과) ;
  • 한승희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재해위성정보연구소)
  • Received : 2012.05.11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changes in land use patterns in a compound urban and agricultural city Kimje-si, using LANDSAT TM imagery and to forecast future changes accordingly. As a new approach to supervised classification, HSB(Hue, Saturation, Brightness)-transformed images were used to select training zones, and in doing so classification accuracy increased by more than 5 percent. Land use changes were forecasted by using a cellular automaton algorithm developed by applying Markov Chain techniques, and by taking into account classification results and GIS data, such as population of the pertinent region by area, DEMs, road networks, water systems. Upo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forecast of the land use changes, it appears that geographical featur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s. Moreover, a forecast of post-2030 land use change patterns demonstrates that 21.67 percent of mountain lands in Kimje-si is likely to be farmland, and 13.11 percent is likely to become city areas. The major changes are likely to occur in small mountain land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city. Based on the study result, it seems certain that forecasting future land use changes can help plan land use in a compound urban and agricultural city to procure food resources.

본 연구는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도농중심도시인 김제시의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고 미래 변화예측을 시도한 것이다. 감독분류 시 새로운 시도로 훈련영역 선정 시 HSB(Hue, Saturation, Brightness) 변환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약 5% 이상의 분류정확도 향상을 가져왔다. 분류결과와 해당지역의 구역 별 인구, DEM, 도로망, 수계 등 GIS데이터를 고려하여 셀룰라오토마타 알고리즘을 발전시킨 Markov Chain 기법으로 토지이용변화예측을 실시하였다. 토지변화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형적인 특성이 토지이용의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030년 후의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 김제시 전체에서 산악지의 21.67%가 농경지로 13.11%는 시가지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주된 변화는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규모가 작은 산악지인 것으로 예측 되었다. 연구결과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한 도농도시의 토지이용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철원, 2006, 도시화 과정 및 발전방향, 경기도청, pp.6-8.
  2. 김근남, 2005,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김성준, 정인균, 2006, 셀룰라 오토마타와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한국관개배수회지 제13권, 1호, pp.110-117.
  4. 김태경, 2008, 도시성장관리모형구축을위한기초연구, 정책연구 2008-66.
  5. 박소영, 2010, 도시성장 예측을 위한 CLUE 모형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6. 사공호상, 2002, 원격탐사와 GIS 연계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54.
  7. 이현직, 유지호, 김상연, 2011,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1호, pp.105-113.
  8. 이형동, 2005, 택지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분석,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27-28.
  9. 전형섭, 조기성, 2000, 토지피복분류에 있어 신경망과 최대우도분류기의 비교,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8 권, 2호, pp.23-33.
  10. 정재준, 한동엽, 김용일, 이재원, 2001,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수도권의 도시성장 예측, 한국GIS학회지, 제9권, 3호, pp.397-412.
  11. 조대헌, 2008,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1호, pp.117-133.
  12. 조성휘, 2004,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3. 조우석, 2005, 국토모니터링작업규정 연구, 국토모니터링보고서, pp.180-194.
  14. Andrey Andreevich Markov, 1960. The Theory of Algorithm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ranslations, series 2, 15, pp.1-14.
  15. Jacek Malczewski, 2004, GIS-based land-use suitability analysis: a critical overview, Progress in Planning 62, pp.3-5. https://doi.org/10.1016/j.progress.2003.09.002
  16. Yu,J. Y.Chen J.P.Wu, 2009, Cellular automata and GIS based landuse suitability, 18th World IMACS / MODS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