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ipate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1초

고농축 복합화약 시뮬란트의 유변학적 특성: 벽면 미끄러짐, 틱소트로피, 유동불안정성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ly Concentrated Polymer Bonded Explosive Simulant: Wall Slip, Thixotropy, and Flow Instability)

  • 이상묵;홍인권;안영준;이재욱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213-219
    • /
    • 2014
  • 고분자 결합제로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HTPB)와 폴리에틸렌 플라스토머인 Exact를 사용한 고농축 복합화약 시뮬란트의 유변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충전제로서 설탕 및 research department explosive(RDX)와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Dechlorane을 사용하였다. HTPB 사용시에는 가소제로 diethyl hexyl adipate(DEHA or DOA)를 첨가하기도 하였다. 농축 현탁계의 혼화는 시그마 블레이드가 장착된 회분식 혼련기(Rheomix 600, Haake) 를 사용하였고 유변학적 물성은 평판-평판 레오미터 및 모세관 레오미터를 이용하였다. 고농축 결합제/충전제 현탁계의 벽면 미끄러짐 현상, 전단 히스테리시스에 따른 틱소트로피 거동, 전단속도 및 충전제 첨가에 따른 유동불안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LA/PBAT 블렌드의 개질과 열적, 기계적 특성 (Modification of PLA/PBAT Blends and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 김대진;민철희;박해윤;김상구;서관호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104-1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중 비교적 고가인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와 상대적으로 저가의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 (PLA)의 블렌드에 3종류의 개질제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개질제로는 에폭시계의 커플링제와 diisocyanate계열의 methylenediphenyl 4,4'-diisocyanate (MDI)와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를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 조성의 블렌드에 용융흐름지수, 동적 점탄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인장시험을 통한 기계적 물성 조사와 FE-SEM으로 시편의 파단표면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PLA/PBAT 블렌드의 상용성과 개질제의 효과 및 기계적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개질제로 HDI를 사용했을 때 PLA/PBAT의 인장물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용융방사에 의한 생분해성 PBS/PBAT 블랜드 모노 필라멘트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butylene succinate/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blend monofilament by melt spinning)

  • 박성욱;김성훈;최혜선;조현혹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3호
    • /
    • pp.257-264
    • /
    • 2010
  • In order to improve the breaking strength and elongation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monofilament, the monofilament was produced by blending PBS and Polybutly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The PBS/PBAT blend monofilament was prepared by the melt spinning system, and the weight ratios of the compositions of PBS/PBAT was 100/0, 95/5, 90/10 and 85/15, respectively. The breaking strength, elongation, softness and crystallization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 were analyzed by using a tensionmeter, softness measurement, X-ray diffractometer in the both dry and wet conditions. The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spun in the take-up velocity of 1.19m/sec under the drawing ratio of 6.8:1 condition. The production volumes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showed 20% less than that of Nylon. The breaking strength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decreased as PBAT contents increased, while elongation and softness were increased. In case of PBAT content were over 5%, the breaking strength, elongation and softness of PBS/PBAT blend monofilaments were not shown to increase in spite of increasing in PBAT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make the monofilaments with the maximized physical properties when the PBAT contents at 5%.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장내에서 분리된 종속영양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Source Utilization by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rnal Organs of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이건형;송경자;이오형;최문술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61
    • /
    • 2002
  • 전라남도 장흥군 인근 해안에서 채집한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를 대상으로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를 측정하였고, 분리동정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탄소원 이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는8.65$\pm$0.65 $\times$$10^3$ cfu . g$^{-1}$이 였으며, 분리 동정된 24균주(그람음성균 11균주, 그람양성균이 13균주)중에서 Vibrio속,Staphylococcus속,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다. 불가사리 장내에서 분리 동정된 세균들은 그람양성의 간균이 높은 비율을차지하였고, catalase와 oxidase의 활성은 각각 54.2%,20.8%로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의 경우, 탄소원으로 glucose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ucrose, mannose, maltose,그리고 trehalose의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으며, adipate, phenol acetat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glucose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고, 그 다음은 fructose, trehalose, maltose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에 의한 Cyclohexanol Dehydrogenase의 유도 (Induction of Cyclohexanol Dehydrogenase in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

  • 박희동;최선택;이인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304-310
    • /
    • 1986
  • CL 배지에서 자란 A. calcoaceticus C10은 glucose dehydrogenase(GDH)와 cyclohexanol dehydrogenase(CDH)를 모두 생산하였다. A. calcoaceticus C10에 의한 사이클로헥사놀의 산화가 비특이적인 GDH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GDH와 CDH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GDH는 $NAD^+$$NADP^+$를 모두 조효소로 이 용하였으나 CDH는 $NAD^+$만을 조효소로 이용하였으며 $NADP^+$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GDH는 LB 배지와 0.2%의 포도당 또는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한 LB 배지 및 CL 배지에서 모두 생산되었으나 CDH는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한 배지에서만 생산되었으며 7.5% polyacrylamide 젤 전기영동 결과 GDH와 CDH는 서로 다른 활성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GDH와 CDH는 서로 다른 것이며 사이클로헥사놀의 산화는 비특이적인 GDH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LB 배지에서 A. calcoaceticus C10을 4시간 배양 후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할 경우 배양 24시간에 LB 배지에서보다 약 8배의 CDH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육도는 약 2배의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CDH는 사이클로헥사놀,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1,2-diol 및 cyclohexene oxide에 의해 유도되었으나 ${\varepsilon}-caprolactone$과 adipate에 의해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 PDF

생분해성 PLA-PBAT 블렌드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포트의 특성 연구 (Study on Properties of Eco-friendly Pot with Biodegradable PLA/PBAT Blend Film)

  • 박한샘;강재련;송강엽;서원준;이선주;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37-1043
    • /
    • 2015
  • Since single-use disposable plastic usage has steadily been increasing, recent trends in polymeric research point to increasing demand for eco-friend materials which reduce plastic waste. A huge amount of non-degradable polypropylene (PP)-based pots for seedling culture are discarded for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material as a possible substitute for PP pot. The blend of poly(lactic acid) (PLA) with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was used because of its good mechanical and flexible properties as well as biodegradation. After landfill, various properties of the blend pot were investigated by UTM, SEM, NMR and TGA. The results show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lend film rapidly decreased after 5 weeks of landfill due to degradation. From NMR data after landfill, the composition of PLA in the blend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degradation of the blend preferentially occurs in PLA compon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les in pot bottom and side on root growth, a plant in the pot was grown. Some roots came out through holes as landfill period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co-friendly pot can be directly planted without the removal of pot.

냉동 및 레토르트식품에서 상업적 변성전분의 적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Application of Commercial Modified Starch to Frozen and Retort Foods)

  • 장재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81-889
    • /
    • 1998
  •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mmercially modified starch in frozen and retort foods, apparent viscosity and water loss were measured at each stages of heating, sterilization and freezing-thawing stages. Apparent viscosity showed the exponential increase with concentration and the slopes of apparent viscosity against concentration in the Firm-Tex(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Hi-Flo(acetylated distarch adipate) and Colflo 67(acetylated distarch adipate) from waxy maize st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Amyloacetate M20(starch acetate) and X-amylo 250(distarch phosphare) from potato starch. In the presence of 1 or 2% NaCl, X-amylo 250 among modified starches showed the increase in water loss and the decrease in apparent viscosity, whereas Colflo 67, Hi-Flo and Firm-Tex were little affected by NaCl. In the presence of 1 or 2% sucrose, water loss and apparent viscosity of the modified starches were not affected. In the range of pH 4~8, water loss and apparent viscosity of the modified starches had no change but the differences were detected to some extent between each of heating, sterilization and freezing-thawing stages. In the apparent viscosity and water loss of the modified starches after 3 week storage from heating and sterilization, Hi-Flo, Amyloacetate M20 and X-amylo 250 were not changed at the storage period,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retort food containing the modified starches such as Firm-Tex and Amyloacetate M20 were favored more than others. In the apparent viscosity and water loss of the modified starches which have been frozen and thawed three times repeatedly, Colflo 67, Hi-Flo and Firm-Tex were not changed in freezingthawing,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frozen food containing Firm-Tex was most favored.

  • PDF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내가수분해성 향상 (Improved Hydrolysis Resistance of Biodegradable Mulching Films)

  • 심재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49-354
    • /
    • 2022
  • 본 연구는 PBAT(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와 PLA(Poly Lactic Acid)를 사용하여 수지의 컴파운드와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내가수분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어닐링 온도조건에 따른 다양한 비율의 사슬연장제와 기계적 물성을 검토하였다. 어닐링공정은 컴파운드 수지의 결정화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사슬연장제의 첨가로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필름의 내가수분해성도 증가하였다. 사슬연장제 0.6phr. 첨가의 경우에 인장강도는 383.0Kgf/cm2으로 대조 필름과 비교하여 155% 향상되었다. 팽창비(BUR)가 2.5일 때, 필름의 최적 인장강도는 기계 방향(MD)과 가로 방향(TD) 에서 379.0/195.2kgf/cm2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내가수분해성이 향상 된 PBAT의 컴파운드 필름 및 이의 응용 (PBAT Compound Films with Improved Hydrolysis Resistance and its Application)

  • 심재호;심재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53-559
    • /
    • 2022
  • 필름의 멀칭 기술은 토양 표면을 덮어 토양 온도와 수분을 조절하고, 잡초를 억제하는 기능에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내가수분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BAT(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와 PLA(Poly Lactic Acid)를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질한 후, 필름의 물성과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멀칭필름을 토양에 매립 후 기간별 필름의 중량감소를 확인하였고, 건답에서 벼농사용 멀칭 후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내가수분해성이 향상된 멀칭 필름은 작물의 성장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생분해되는 멀칭 필름은 환경 친화적이고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한 농업관행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공 할 수 있다.

상분리법을 활용한 생분해성 폴리젖산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동향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 Membranes via Phase Separation: A Review)

  • 투미스 아요드 오티토주;조영훈
    • 멤브레인
    • /
    • 제34권1호
    • /
    • pp.20-29
    • /
    • 2024
  • 분리막 기술은 해수담수화, 기체분리 등 산업용 분리 정제 공정을 비롯하여 우리 주변의 생활용품, 의료 및 헬스케어 제품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지속가능한 친환경 분리막 제조 기술 또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polylactic acid (PLA),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butylene succinate (PBS) 등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분리막 제조기술이 보고되어 왔다. 기존 분리막 소재와 마찬가지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들 또한 상분리 공정을 통해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을 통해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 기반의 상분리 공정을 활용한 분리막 제조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개발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