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on Properties

검색결과 1,674건 처리시간 0.033초

표면 절연층이 나노결정립 합금 리본의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e Insulation Layer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Alloy Ribbons)

  • 오영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26-231
    • /
    • 2007
  • 나노결정질 비정질 리본 표면에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TiO_2$$SiO_2$ 졸을 딥 코팅법을 이용하여 절연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전기 비저항의 증가를 통한 고주파 손실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졸-겔법에 의한 슬러리 제조에서, 금속 알콕사이드의 혼합조건 및 절연층 형성용 슬러리의 제조조건을 확립하였고, 비정질 합금 리본 표면에 균일하고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 절연층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표면 절연층이 형성된 나노 결정질 합금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심재료는 전기 비저항의 증가로 인해 코어 손실을 약 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표면 절연층을 형성시킨 자심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접촉식 커플러는 코어 손실의 감소로 인해 삽입손실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삽입손실의 감소효과는 주파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국내유통공산품(國內流通工産品)의 품질조사연구(品質調査硏究)(I) (조깅화와 테니스화) (Studies on the Quality of Domestic Industrial Products(I) (Jogger and Tennis shoes))

  • 허동섭;김종석;안병국;서수교;김경자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1권4호
    • /
    • pp.309-322
    • /
    • 1986
  • This survey reports on the extensive examination of the qualify of 14 jogging and tennis shoes separately, availavable in the domestic market, Both jogging and tennis shoes were catagorised in two groups, namely the general goods(less expensive ones) and the exclusive goods(expensive models).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re shown below; The domestic products meet the general purpose just as that of the foreign products. Due to the adhesion technology, the domestic tennis shoes consist of rubber sole with natural leather upper;In fact, the desirable combination, as foreign products, must be polyurethane/natural leather. The expensive models were heavier than the less expensive ones. The greater weight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shoes are shown in the expensive models than that of the less expensive ones. The moisture absorption ratio of the expensive model is far superior in comparison with the less expensive model. The reason is identified by the material supplyed to produce the expensive model consisted of the natural leather and proper parts.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xpensive models were excellent that of the less expensive ones, because the rubber soles were showed the properties better than polyurethane sole which was used in the less expensive model.

  • PDF

은 나노 입자가 코팅된 인공경량골재의 생물오손 방지 특성 (Anti-biofouling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 coate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 김성열;김유택;박용준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12-217
    • /
    • 2015
  • 본 연구는 해상 양식장 내에 유해 조류로 인해 발생하는 수산 동, 식물의 폐사를 막고, 양식장을 주기적으로 정화하는 폰툰 시스템 내의 멤브레인 층(Membrane Layer)의 생물오손(Biofouling)을 막고자, ML에 적용되는 인공경량골재 및 골재의 구조에 따른 미생물 흡착을 비교하고자 지오폴리머에 은 나노 입자를 코팅하여 생물오손 정도를 확인하고 그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후 코팅에 따른 미생물 기능 억제 능력을 확인하고자 항균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앞바다에 설치하여 생물오손 정도와 무게변화율을 관찰하였다. 항균 테스트 결과 은 나노 입자를 코팅한 인공경량골재에서 99.99 %의 세균 감소율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오손 정도를 관찰한 결과 2개월부터 은 나노 입자의 효과에 의해 생물오손 정도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은 나노 입자 코팅에 의한 생물오손 억제기간은 인공경량골재에서 5개월, 지오폴리머에서 3개월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은 나노 입자가 코팅된 인공경량골재가 효과적으로 생물오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중합방법에 따른 악안면 보철용 폴리우레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veness between Polyurethane Sheet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and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in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 김두열;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23-132
    • /
    • 2000
  • The field of maxillofacial prosthetics is concerned with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of missing head and neck tissue. Currently, facial prostheses are usually applied in cases of defects caused by the surgical removal of tumors or congenital defects. While silicone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missing maxillofacial defects, it does not have ideal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bonding a thin polyurethane sheet to silicone prostheses was recommended. In this case skin adhesives were used for the reten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But retention of devices has always been problematic. The contributions of implants can b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Implants have reduced the need for adhesive use, simplifying cleaning procedures and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stheses. For implant-retained prostheses, retentive matrix is necessary to hold attachments and/or magnets. The retentive matrix is usually fabricat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or visible light- polymerized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dhesion-in-peel force of silicone adhesive to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polyurethane sheet with two different surface textures : pumice polish only or retention groove, and three surface primers : Dow corning 1205 primer or Dow corning S-2260 primer or FactorII A-304 primer, and two polymerization methods : room temperature or dry heat oven.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as determined as described in ASTM Standard D1876-72.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NOVA test,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peel bond strength of A-304 primer was the highest an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2260(p<0.05). 2.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ith retention groov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polished with pumice(p<0.05). 3.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polymerized in dry heat oven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in room temperature(p<0.01).

  • PDF

전자선 조사에 의해 상용화된 PLA/PCL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성질 (Morphology and Rheological Property of PLA/PCL Blend Compatibiliz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신부영;조백희;홍기헌;김봉식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88-59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단량체인 glycidyl methacrylate(GMA)와 전자선을 이용하여 비혼화성 poly (lactic acid) (PLA)/polycaprolactone (PCL) 블렌드의 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GMA를 포함하는 PLA/PCL 블렌드에 10, 50, 100 kGy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시료를 제조한 후 모폴로지 및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50과 100 kGy로 조사된 블렌드는 크게 변화된 계면 형상을 보였고, 복합점도와 저장탄성률 또한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블렌드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100 kGy로 조사된 PLA/PCL(9/1) 블렌드의 복합점도는 순수 PLA보다 약 100배 가까운 증가를 보였다. 기능성 단량체 첨가와 적절한 전자선 조사로 비혼화성 PLA/PCL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아미노실록산이 그래프팅된 폴리(이미드실록산) 공중합체 제조와 필름 모폴로지 및 점착 특성 연구 (Preparation of Aminosiloxane-grafted Poly(imidesiloxane) Copolymer and its Morphology and Adhesive Properties in Film)

  • 이지목;권은진;이선영;정현민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547-552
    • /
    • 2013
  • 폴리이미드에 폴리실록산 블록을 포함시키는 형태의 공중합체를 통해 내열 점착특성을 갖는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를 중합하여 디아미노실록산과 반응하면서 필름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에서 그래프트화 및 가교결합을 형성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X)를 통한 모폴로지 조사에서 폴리이미드와 폴리실록산 부분은 각각 100 nm 크기의 구형 도메인과 연속상을 갖는 마이크로 상분리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분석에서는 공기-필름 계면에 폴리실록산 성분이 주로 노출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400^{\circ}C$까지 내열성을 갖는 폴리(이미드실록산) 박막층은 상온에서 $300^{\circ}C$까지 그 점착 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폴리이미드의 카르복시기와 아미노실록산의 그래프트화가 마이크로도메인 형성과 점착특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하게 작용함을 비교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미세패턴 전사기법을 위한 다양한 몰드 제작법 소개 (The Review for Various Mold Fabrication toward Economical Imprint Lithography)

  • 김주희;김연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6-104
    • /
    • 2010
  • NIL, S-FIL과 같은 각인 기술(Imprinting lithography)를 적용하기 위한 투명하고 단단한 복제 틀(replica hard mold)을 제작하여 고가의 원판(master)와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과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경제적인 공정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실리콘 웨이퍼(Si wafer)와 같은 원판(master)과 패턴 형성 시 사용되는 기판과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 액상 공정을 이용하여 비접착성 표면처리된 고분자 복제(polymer copy)를 매개체(carrier)로 단단한 복제 틀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단단한 복제 틀(replica hard mold)는 유리와 거의 같은 강도와 투명도를 나타내며, 각인 공정(imprinting process)에서 석영 틀, 실리콘 웨이퍼(quartz mold, Si wafer)과 같이 값비싼 원판(master)의 직접 사용을 대체하여 성공적으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 위에 polysilazane을 이용한 UV 경화형 하드코팅 도막 제조 (Preparation of UV Cured Hard Coating Films Using Polysilazane on Plastic Substrates)

  • 양준호;조용주;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62-168
    • /
    • 2018
  • 유기 및 무기 폴리실라잔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혼합시킴에 따라 UV 경화형 하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용액을 polymethylmethacrylate (PMMA) 시트에 흐름 코팅한 후 UV 경화시킴에 의해 UV 경화형 하드 코팅 도막을 제조하였다. 이 과정 중 폴리실라잔의 종류 및 첨가량을 변화시켜 코팅 도막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기 폴리실라잔의 경우 $95^{\circ}$의 수접촉각을 보여 높은 소수성을 나타내었으며, 7H의 연필경도와 92%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였다. 반면에 무기 폴리실라잔을 코팅한 도막은 8H의 높은 연필경도와 기재와의 우수한 접착력 및 $82^{\circ}$의 수접촉각을 나타내었다.

Arc Ion Plating 방식에 의한 TiCN 증착시 반응가스가 코팅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ctive gases on the propertise of TiCN layer synthesized by Arc Ion plating process)

  • 서창민;김창근;;유임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6-68
    • /
    • 1997
  • This work was intended to study the effect of a partial pressure ratio and a total pressure of reactive gases on the properties of TiC$_{x}$N$_{1-x}$ . coated layer. In this regard, various TiC$_{x}$N$_{1-x}$ coatings were synthesized with C2112 and N2 Mixture gas of different compositions by Arc Ion Plating process which has been highlighted for an industrial purpose. It was revealed from colors and X-ray diffraction patterns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of a TiC$_{x}$N$_{1-x}$ coating increases with a partial pressure ratio (PC$_{2}$H$_{2}$/PN$_{2}$) as well as a total pressure Of $C_{2}$H$_{2}$ and N$_{2}$ mixture gas. Accordingly, the hardness of TiC$_{x}$N$_{1-x}$ coated layer increased but the adhesion to the substrate of SKH 51 was degraded. On the other hand, the deposition rate was independent of a partial pressure ratio and a total pressure of mixture gas. It was found that a uniform gas distribution is critical for an industrial application since the composition of a coating depends strongly on the location of a substrate inside of the furnace. As a result of milling tests with different TiC$_{x}$N$_{1-x}$ coated end mills, the one which has a low carbon concentration was better than others studied in this work.d in this work.

  • PDF

폴리올의 구조와 NCO Index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상온과 초저온에서의 물성 변화 (Effect of Polyester Polyol and NCO Index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Adhesives in Cryogenic and Room Temperature)

  • 김상범;조일성;강성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8-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구조와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의 변화에 따라 초저온($-190^{\circ}C$)과 상온($25^{\circ}C$)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접착강도변화를 고찰하였다. 전단강도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plywood에 접착하여 측정하였으며, 접착제의 화학적, 기계적 물성 변화를 UTM, DSC, FT-IR로 비교 분석 하였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은 초저온에서의 전단강도가 상온에서의 전단강도보다 증가하였으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의 경우는 초저온에서의 전단강도가 상온에서보다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접착강도는 사용된 MDI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지방족계 폴리올은 초저온에서 그리고 방향족계 폴리올은 상온에서 높은 접착 강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