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ress Translatio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7초

Implementation of Memory Efficient Flash Translation Layer for Open-channel SSDs

  • Oh, Gijun;Ahn, Sung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142-150
    • /
    • 2021
  • Open-channel SSD is a new type of Solid-State Disk (SSD) that improves the garbage collection overhead and write amplification due to physical constraints of NAND flash memory by expos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SD to the host. However, the host-level Flash Translation Layer (FTL) provided for open-channel SSDs in the current Linux kernel consumes host memory excessively because it use page-level mapping table to translate logical address to physical addres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mplemente a selective mapping table loading scheme that loads only a currently required part of the mapping table to the mapping table cache from SSD instead of entire mapping table. In addition, to increase the hit ratio of the mapping table cache, filesystem information and mapping table access history are utilized for cache replacement policy. The proposed scheme is implemented in the host-level FTL of the Linux kernel and evaluated using open-channel SSD emulato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we can achieve 80% of I/O performance using the only 32% of memory usage compared to the previous host-level FTL.

IMS에서 효율적인 NAT Traversal 해결 시나리오 (The Efficient Scenario of Solving NAT Traversal in the IMS)

  • 한석준;이재오;강승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35-1941
    • /
    • 2013
  • IP 주소 공간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NAT의 주소 변환 테이블에 없는 바인딩과 관련된 패킷을 제거하는 필터링 특성 때문에 NAT Traversal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장비를 활용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최근의 네트워크 시장은 유선과 무선이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라는 유무선 통합 제어 망이 등장하였다. IMS에서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와 IBGF(Interconnection Border Gateway Function)라는 부가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NAT Traversal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SCF(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활용하여 부가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NAT Traversal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Pv4/IPv6 변환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ion of IPv4/IPv6 Translation Protocol)

  • 박석천;이광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6호
    • /
    • pp.783-792
    • /
    • 2001
  • 인터넷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대되면서 IPv4의 32Bit의 주소공간의 얼마가지 않아 고갈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따라서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6의 효과적인 전이 방안으로의 기술 전이가 필연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인터넷의 적용범위와 거대한 용량으로 인해 IPv6로의 동시 전환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 빠른 변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 IPv4와 IPv6의 공존은 특별하고 실용적으로 배열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 변환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IPv4에서 IPv6로의 보다 용이한 변환을 제안하고 있으며, IPv4 및 IPv6로 동시 전환을 할 수 있도록 IPv4/IPv6 변환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IPv4/IPv6 변환 프로토콜은 C로 구현하였으며 동작 확인 테스트를 위해 오류 검출능력이 가장 뛰어나고 ISO에 의해서 권고된 국부 시험 방법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테스트하여 설계 및 구현한 변환 프로토콜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PDF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NAPT 기능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PT Function Based on Wireless Access Point)

  • 이승호;송병훈;정광수;오승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394-396
    • /
    • 2002
  • 최근 다양한 무선 인터넷 기술 중에서도 무선랜을 이용한 서비스는 기존의 유선랜 기반의 서비스들을 그대로 적용 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상당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무선랜 기술의 핵심 중 하나는 기능적으로 유무선의 호스트들 간의 서비스 연동을 담당하는 장비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상용화 된 대부분의 액세스 포인트 장비는 단순한 브리지 및 게이트웨이 기능과 인터넷 주소의 부족에 의한 해결책으로 기본적인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만을 지원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응용에 따른 서비스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지원이 미비하다 할 수 있다. 사설망과 공인망 사이의 서비스 연동을 NAT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바로PAT(Port Address Translation)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NAT 기반의 모듈들과 효과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최적화된 PAT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합한NAPT 액세스 포인트를 개발하여 그 기능을 시험하고 검증하였다.

  • PDF

동적 NAT과 PAT의 구현과 검증 사례연구 (The case study for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Dynamic NAT and PAT)

  • 김노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31-1138
    • /
    • 2015
  • 인터넷의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IPv4 주소는 고갈되었고 IPv6로의 전이는 지연되고 있다. 차선책으로 IPv4 주소공간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공중망과 사설망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주소변환(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소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적 NAT과 PAT 기반의 네트워크 설계를 기존의 이론중심에서 탈피하기 위해 토폴로지 설계 후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하여 공통 가상 망을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의 검증이 가능한 효과적인 구현사례를 제시하였다.

Application of Different Too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ranslation Language

  • Mohammad Ahmed Manasr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3호
    • /
    • pp.144-150
    • /
    • 2023
  • With progressive advancements in Man-made consciousness (computer based intelligence) and Profound Learning (DL), contributing altogether to Normal Language Handling (NLP), the precision and nature of Machine Interpretation (MT) has worked on complex. There is a discussion, but that its no time like the present the human interpretation became immaterial or excess. All things considered, human flaws are consistently dealt with by its own creations. With the utilization of brain networks in machine interpretation, its been as of late guaranteed that keen frameworks can now decipher at standard with human interpreters. In any case, simulated intelligence is as yet not without any trace of issues related with handling of a language, let be the intricacies and complexities common of interpretation. Then, at that point, comes the innate predispositions while planning smart frameworks. How we plan these frameworks relies upon what our identity is, subsequently setting in a one-sided perspective and social encounters. Given the variety of language designs and societies they address, their taking care of by keen machines, even with profound learning abilities, with human proficiency looks exceptionally far-fetched, at any rate, for the time being.

Dual Addressing Scheme in IPv6 over IEEE 802.15.4 Wireless Sensor Networks

  • Yang, Soo-Young;Park, Sung-Jin;Lee, Eun-Ju;Ryu, Jae-Hong;Kim, Bong-Soo;Kim, Hyung-Seok
    • ETRI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674-684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dual addressing scheme (DAS) for IPv6 over IEEE 802.15.4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DAS combines a global unicast address to cope with association link changes and node mobility, and it links local addresses to lighten the overhead of the system to save energy and resources. This paper describes DAS address formats, address autoconfiguration, and address translation tables in the gateway. A detailed description of DAS is provided through examples.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s of the DAS compared with the IPv6-based WSN, which uses the conventional single address.

  • PDF

The Study on Security Vulnerabilities in IPv6 Autoconfiguration

  • Kim, Myung-Eun;Seo, Dong-I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545-1549
    • /
    • 2005
  • According as computer is supplied in a lot of homes and offices and Internet use increases, various service based on the Internet. Including wireless PDA in the future, many devices such as Internet telephone, TV, refrigerator and oven will be connected on the Internet and Internet address exhaustion will be raised to serious problem gradually. Today, the IPv4 address exhaustion problem has been solved partially using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however, the transition to next Generation Internet will be accelerated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mobility, security service, QoS, and abundant IP addresses. In IPv6, all hosts are designed to create and set their address automatically without manager's intervention using Neighbor Discovery Protocol. But, when an IPv6 host sets its address automatically, there are seriou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is paper, we analysi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auto-configuration and provide security requirements for secure auto-configuration.

  • PDF

페이지 주소 캐시를 활용한 NAND 플래시 메모리 파일시스템에서의 효율적 주소 변환 테이블 관리 정책 (An Efficient Address Mapping Table Management Scheme for NAND Flash Memory File System Exploiting Page Address Cache)

  • 김정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97
    • /
    • 2010
  • 비휘발성, 저전력 소모,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NAND 플래시 메모리는 고집적화, 대용량화, 저가격화를 통하여 다양한 디지털시스템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확대와 동시에 플래시 메모리의 대용량화는 플래시 메모리의 주소 변환 테이블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켜 SRAM에 저장하기에 용량이 부족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변환 기법 기반의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에서 페이지 주소 캐시를 이용한 효율적인 주소 테이블 관리 정책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다양한 메타 데이터 기반의 전체 테이블의 정보를 맵블록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PC 환경에서의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페이지 주소 캐시는 2.5% 이하의 낮은 미스율로 높은 효율성을 유지하며 전체 쓰기 연산 요청에서 평균 33%의 실제 쓰기 연산의 실행으로 전체 쓰기 연산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줄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