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o smartphon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Experi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진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21-429
    • /
    • 2017
  • 청소년 및 성인기 초기 연령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접근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중독자를 선별하였고, 고위험군 중에서 최종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면담은 녹음과 녹취 과정을 거쳐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범주는 '중독의 악순환'으로, 세부 범주는 금단 증상의 자각, 다양한 부정적 결과 경험, 중독으로부터 탈출 시도, 중독된 현실에 안주함 이었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는 연구 참여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으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정서적, 대인관계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들을 이해하고, 중독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을 개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심리적 마음상태와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mindedness)

  • 백현기;윤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89-400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주시에 소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한 자료는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심리적 마음상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방향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복지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경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rend Improvement in Koreans)

  • 최도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2-27
    • /
    • 2019
  • 스마트폰 보편화와 함께 스마트폰 중독은 신체적/정신적으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성인,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중독으로 인한 문제점에 대한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으로 나타나는 건강문제, 우울증, 반사회성, 정신분열, 자존감 저하, 사회적 기대감 저하 등 SNS와 메신저 사용이 부정적인 요소와 가장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게임과 동영상 등은 비교적 부정적인 문제점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중독비율이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 대상자에게 문제점 해결책에 대한 선호도를 추가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감소를 위한 개선책을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테크노스트레스, 플로우, 스마트폰 중독이 스마트폰 사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on the influence of techno-stress,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 Satisfaction of Smart-phones use)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9-202
    • /
    • 2015
  •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negative factors from smart-phone as internal affecting the use of smartphone and found their relationship. For the validation of this study model, 300 university students randomly selected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The measurement model was evaluated by using SPSS 18.0, and the evaluated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chno-stress of smartphone us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un and pleasure felt from using smatphone. It was assumed that a higher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s fun and pleasure from using smartphone. Second, the techno-stress of smartphone users was found to affect smartphone addiction. This means that more techno-stress users feel as they use smartphone, the more tendency to smartphone addiction. Third, flow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martphone addiction. Forth, Flow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the smartphones use. Fifth, it was indicated that when users had more flow and addiction from using smartphone,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lso higher.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Interven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황재인;신재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3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이 최근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독현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심리치료에 효과성이 검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기존에 개발된 인터넷중독 개입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중독 개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비합리적인 사고와 습관적 행동으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장애, 내성과 같은 스마트폰 중독의 부정적 요인들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 이영창;김남희;권성진;김보성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103-112
    • /
    • 2020
  •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을 통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진단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s Comparison through internet usag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 김희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0
    • /
    • 2014
  • 유비쿼터스의 기능이 결합된 뉴미디어의 보급으로 인터넷 중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은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지역 인근 대학교의 일부 대학생들에게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와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S-척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패턴을 취득하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K-척도와 S-척도로는 별견되지 않는 숨겨진 인터넷 중독자와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아서 K-척도와 S-척도의 진단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K-척도 및 S-척도와 달리 대학생들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주활동과 예상 및 실제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구한 내성정도를 이용하여 중독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숨겨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이용 동기와 자기 통제력 및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 이영주;박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59-465
    • /
    • 2014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어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자기통제력,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 동기 중 정보획득, 사회적 관계, 오락성, 여가시간활용 동기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통제 특성은 조절성이 떨어질수록, 또한 충동성이 강할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사회적 위축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 및 개선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되며,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의 강압적인 제지보다는 청소년들의 놀이 활동을 우선 점검하고, 스스로 조절하고 충동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기통제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요구된다.

스마트폰 사용 패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 예방 시스템 (A Smartphone Addiction and Disease Prevention System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Patterns)

  • 류명운;류요한;현우석;임지영;유일선;정해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5-10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과 잘못된 이용습관은 '스마트폰 중독(smartphone addiction)'과 '스마트폰 질병(smartphone disease)'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의 패턴을 방향센서를 이용해서 수집하고 분석해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형태와 사용시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사전에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의 의지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 고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9-54
    • /
    • 2020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문제인식을 토대로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으로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은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파급된 아동·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청소년의 성격, 사회성, 대인관계, 우울증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독의 문제를 아동·청소년들 당사자들의 특성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게 만드는 아동·청소년의 환경, 즉 학업스트레스, 가정불화, 또래간의 관계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아동·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들이 아동·청소년에게 끼치는 영향과 더 나아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스마트폰 중독 예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