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to college life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31초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 Shin, Myong-Suk;Han, Ji-Hyoung;Hwang, Ji-M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7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play a role as a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e extr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Gyeonggi and one Chungcheong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July 20 to October 31, 2020. In order to comply with research ethic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ith the consent of the subjects. The sample was analyzed for the final 351. Results: Dental hygien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was 3.74 points, conflict management types was 3.01 point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3.30 points. In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oblem-solving method, the avoidance method, the compromise method, and the concession metho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r=0.613)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solving method and the compromise method.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concentration, forced method, self-disclosure, conversational coherence, and social relax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s sub-area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that influen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al hygienists by continuous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targeting dental hygienists, and responding more proactively and actively to conflict situations in the clinical field.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 Il-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5-254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216 university students were enroll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nd multiple serial mediating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college life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ath of simpl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major field and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bilit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학사경고생이 지각하는 대학교육서비스 질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역량 간 구조적 관계 분석 (A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rvi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Learning Competency Perceived by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 강대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51-356
    • /
    • 2023
  • 본 연구는 학사경고생이 지각하는 대학교육서비스 질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사경고생 대상 설문개발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는 대학생활적응과 학습역량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p<.05, β=.-468)을 미치는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은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학습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p<.001, β=.782)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p<.001, β=.897)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사경고생 맞춤 대학행정서비스 및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생활적응 및 학습역량 향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치기공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 적응의 융합적 관련성 (The Convergence relation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 유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95-101
    • /
    • 2020
  •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적응의 융합적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충북과 전북에 소재한 3년제 치기공과에 재학 중인 2,3학년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3.50, 문제해결능력은 3.55, 대학생활적응은 3.27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이었으며, 전공만족도, 대학만족도 순이었다. 치기공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고, 전공과 대학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최순옥;박진경;김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2-18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at adaptation. Methods: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three nursing colleges were surveyed from November 24 through December 5, 2014; and data from 206 respondent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age (p=.002), emotional intelligence (p<.001), and self-efficacy (p<.001)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was explained by self-efficacy (${\beta}=.327$, p<.001), emotional intelligence (${\beta}=.222$, p=.001),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n their academic major (${\beta}=-.217$,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beta}=.136$, p=.018);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1.2%. Conclusion: To facilitat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prior to clinical practice, developing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n their major, and academic achievement is deemed necessary.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department adaptation of field practice adaptation, college adaptation, and awarenes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 제남주;박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00-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전공적응과 현장실습적응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시, J시 간호학과 3.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C 대학교 IRB의 승인을 받은 후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현장실습적응은 평균 3.58점, 대학적응은 평균 3.33점,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 3.15점, 간호학과 학과적응은 평균 3.38점이었다. 대상자의 학과적응과 현장실습적응(r=.56, p<.001), 죽음에 대한 부정도(r=-.15, p=.016), 생명존중의지(r=.33,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r=.48, p<.001), 생명존중의지(r=.16, p=.009)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적응과 생명존중의지(r=.32,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적응이었으며(F=171.67, p<.001), 이 모형은 6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를 위해 학부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인식 변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생명존중의지 프로그램 실시 후 간호학과 적응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Freshme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조미숙;박정현;장경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대구광역시 지역의 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변인들의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요인에서 모두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은 낙관주의(p<0.001)와 자기효능감(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개인정서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낙관주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Humanity,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 방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09-41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시 지역 간호학과 신입생 190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 친구 수였으며,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성(β=.659, p<.001)이었고, 셀프리더십(β=.274, p=.001), 친구 수(β=.258, p=.003)순이었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51.2%이었다(F=40.72, p<.001). 또한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인성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업몰입도, 시간관리 행동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College of Health Students)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89-29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업몰입도, 시간관리 행동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U시의 보건계열 대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업몰입도, 시간관리 행동은 대학생활 적응에 양의 상관을 보여주었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전공만족도와 시간관리 행동을 높이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몰입을 높일 수 있는 대학환경의 개선과 보완,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등과 같은 제도의 뒷받침이 요구된다.a

S지역 치위생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S Area)

  • 신선행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19-1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학업 및 진로진도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치위생과 재학생 245명을 임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검정, 독립표본 평균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고, 입학전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치위생 전공 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업 및 진로지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